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정보

전체

[96-3-2-4]지역 암 예방사업 수행방안에 관한 연구

  • 작성일1998-11-26 00:12
  • 분류연구조사
  • 조회수5,947
  • 담당자 암관리과
  • 담당부서암관리과
Untitled

필드명

내 용

과제접수

번 호

96-3-2-4

연구과제명

/ 국문

지역 암 예방사업 수행방안에 관한 연구

연구과제명

/ 영문

Establishing Cancer Prevention Program for A Community

연구기관명

/ 국문

가톨릭대학교

연구책임자

/ 국문

맹광호

참 여

연구원수

4명

참여연구원

김석일/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노운녕/신흥전문대

이홍재/의정부보건소

양수형/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요약/국문

연구개발의 목적 및 중요성

진단 및 치료 기술의 발달과 약제의 개발로 인해 일부 암의 경우 치료효과 및 생존율이 향상되고 있으나 아직도 암은 치명적인 질환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따라서 가장 바람직한 암관리는 발암물질에의 노출을 억제시키는 1차 예방과 조기진단을 통해 암을 조기 발견하여 조기 치료하는 2차 예방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암이 사망원인 제1위순위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 전체적으로 뿐만 아니라, 각 지역단위에서의 체계적인 암관리를 위한 정책 방안이나 프로그램 개발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1차년도에 의정부 지역을 대상으로 실시한 주민들의 조기검진 수검현황, 조기검진 효과에 대한 이해정도, 조기검진 수검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인자에 대한 조사결과 그리고 암의 주요위험인자(risk factor)들에 대한 조사결과를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개발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 발암위험요인의 노출을 억제하기 위한 1차 예방 계획을 흡연, 음주, 식습관을 중심으로 세우기 위해 노출 정도 및 지역사회 활용가능 자원에 대해 파악하였고, 이를 기초로 발암위험요인 노출 억제 방안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둘째, 조기검진 수검률 증진을 위한 2차 예방 계획을 자궁경부암, 유방암, 위암을 중심으로 수립하기 위해 조기검진 수검률 및 지역사회 활용가능 자원에 대해 파악하였고, 이를 기초로 조기검진 수검률 증진 방안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셋째, 현행 암관리 체계 현황을 파악하고, 지역 암 지표를 개발함으로써 지역 암 예방 사업을 기획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넷째, 외국의 암 예방사업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지역 암 예방사업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 수행을 통해 지역사회의 특성을 고려한 지역사회 차원의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암관리 정책 개발을 위한 기반이 조성되어질 수 있으며, 또한 전국민 조기진단 사업개발의 시범연구로서 궁극적으로 지역내 암발생과 암사망을 감소시키는데 공헌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필드명

내 용

요약/국문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본 연구의 대상지역인 의정부시는 1963년 시로 승격되어진 도시형의 산업구조를 갖춘 지역으로 생활양식이 비교적 도시형에 가까운 중소도시이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첫째, 조기검진 수검률 증진 방안의 수립 방안, 둘째, 발암위험요인의 노출 억제 방안 수립 방안, 셋째, 현행 암 관리체계 현황 조사 및 지역 암지표 파악 가능성, 넷째, 외국의 암 예방사업에 대한 파악으로 구분되어진다. 조기검진 수검률을 증진시키기 위해 지역사회 주민의 수검률 현황 및 활용 가능한 의료자원을 파악하였고, 이를 기초로 조기검진 수검률 증진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였다. 또한 발암위험요인의 노출 억제를 위해 지역사회 차원에서 수행 가능한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지역사회 주민의 특성 및 활용 가능한 사회자원을 파악하였고, 이를 기초로 발암위험요인 노출 억제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였다. 다음으로 지역 암 지표를 개발하기 위해 현재 수행되고 있는 암관리 체계 현황을 국립의료원, 의정부시내 병의원 등의 기록을 통해 파악하였고, 효과적인 지역사회차원의 암 예방사업 전개를 위해 외국의 성공적인 사례를 조사하였다.

연구개발 결과 및 활용에 대한 건의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의정부시 지역사회 주민의 조기검진 수검률을 파악한 결과 일생동안 암 조기검진을 받아 본 경험이 있는 사람은 위암은 남자가 16.1%, 여자가 25.8%였으며, 자궁경부암 및 유방암의 수검률은 62.6%, 21.6%였다. 의정부 성모병원의 암환자 통계자료에 의하면 1위가 남자는 위암, 여자는 자궁경부암이었다.

2) 의정부시 지역사회내의 조기검진 시설을 갖춘 의료기관으로는 보건소 및 종합병원 4개소, 병원 5개소, 의원 75개소가 있으며, 의사 및 간호사, 임상병리기사, 방사선기사 등의 의료인력이 충분히 확보된 상태였다.

3) 조기검진 수검률 증진을 위한 방안으로 자궁경부암, 유방암에 관한 조기검진 수검률 증진 프로그램을 보건교육 및 홍보, 조기검진 시범사업 등을 활용하여 계획하였고, 평가를 위한 실현 가능한 기준을 설정하였다.

4) 의정부시 지역사회 주민의 발암위험인자 노출 정도를 파악한 결과 흡연에 대한 노출 정도는 20-50대의 남자가 가장 높았고, 흡연률의 증가추세 및 흡연 시작 연령의 조기화 등을 고려하여 여자 및 청소년의 흡연에 대한 노출 정도가 증가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5) 발암위험인자 노출 억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역사회 활용 가능한 자원으로는 학교 및 지역사회내의 병의원,

보건소, 의정부시 홍보 담당 공식기구 등이 있으며, 대중 집단교육 실시를 위한 공공시설로는 청소년회관, 시민

회관, 복지회관, 장암사회복지관 등이 있다.

6) 발암위험인자 노출 억제를 위한 방안으로 흡연, 음주, 식습관에 관한 예방 프로그램을 보건교육 및 홍보를 활용하여 계획하였고, 평가를 위한 실현 가능한 기준을 설정하였다.

7) 지역 암 지표를 개발하기 위해 현재 수행되고 있는 암관리 체계 현황을 국립의료원, 의정부시내 병의원 등의 기록을 통해 파악한 결과 조기검진 대상 및 간격, 검사 결과에 대한 자료구축, 유소견자에 대한 사후관리를 위한 프로그램개발이 요구되어짐으로 암관리를 위한 관련서식의 개발, 보건소와 의료기관과의 연계, 자료구축 및 암 예방관리 수첩 개발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필드명

내 용

요약/국문

8) 암 예방사업 계획 수립 및 시행과 평가를 위한 지역사회내의 암 발생률 및 유병률, 사망률에 대한 자료는 현재 파악되어 있지 않았다. 가능한 자료 추적의 방법으로는 동사무소에 신고되는 사망신고 자료 및 국립의료원에 보고된 암 등록 자료 중 의정부시에 주소를 둔 등록자료, 의료보험조합의 의료보험 청구자료 등을 활용하는 것이다.

9) 외국의 암 예방사업 사례를 살펴본 결과 일본의 Miyagi현의 암 예방사업은 일반 민간병원 차원이 아닌, Community Center에서 이동검진 차량을 이용하여 시행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실제적이고 조직적인 암 예방사업에 대한 추후 연구로서 우선적으로 흡연과 자궁경부암을 모델로 하여 이들에 대한 1차, 2차 예방 프로그램을 실시하므로서 이러한 프로그램이 실제로 지역사회에서 어떻게 운영이 되어야 할 것인지에 대하여 다루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① 지역 암 예방사업 개발을 위한 기반조성

② 전국민 조기진단 사업 개발의 시범연구 수행

③ 조기진단 수검자를 위한 정보망 구축의 기반조성

④ 지역내 암발생 및 유병률, 사망률에 대한 기초자료

⑤ 장기적으로는 암 예방사업의 시행으로 인한 지역의 암발생 및 유병률, 사망률의 감소

요약/영문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t up strategy program which can prevent health behavioral risk factors related to smoking, alcohol, diet etc. and to improve prevalence rate of examing cancer screening test. The stratege of programs will be based first year's study which had provided the basic data related to primary prevention and secondary prevention of cancers in Euijongbu-C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dical centers which has instrument for screening are 4 hospitals, 5 clinics, 75 local clinics.

2. The health are consisted of doctors, nurses, pathologist, radiologists, and health department in local Public Center.

3. For educations, there are several instutions which are, local Public Center, public schools, local clinics and hospitals, health department of city hall, a assembly house of adolsences, a inhabitant house, local social assembly house.

4. To mobilization scheme, there are several local meetings which are ladies meeting of dongs, the head of dongs, the meeting for wives of militaries.

5. The data of prevalance rates and death rates are consisted of registry of medical insurance, a demand data of medical insurances, and death certificates in Office of Dong etc.

Thus based these results following implementation strategy and measures are proposed.

- Establish health education for awareness of disease

- Establish a clear policy to examine women > 35 years.

- Identify women age 35-59.

필드명

내 용

요약/영문

- Train primary health care workers to examine cervix and identify abnormalities.

- Ensure link between identification of abnormality and referral for diagnosis, treatment and follow-up

- Establish information system for monitoring and evaluation.

- >70% women age 35-59 receive education on cancer of the cervix

- >70% of primary health care workers informed of the benefits of downstaging for cancer of the cervix

- >90% of women age 35-59 examined at least one

- Short term: >50% of cervix cancers discovered by examination

- Medium term: >20% reduction in proportion of cases of invasive cervical cancer with advanced (Stage 2+) disease

- Long term: >20% reduction in cervical cancer mortality

발행일자

1998년도

원 문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