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알림

전체

2023년 아동관련시설을 운영하거나 취업한 아동학대 관련 범죄 전력자 13명 적발

  • 작성일2024-02-22 12:00
  • 조회수995
  • 담당자김동현
  • 담당부서아동학대대응과


2023년 아동관련시설을 운영하거나 취업한 아동학대 관련 범죄 전력자 13명 적발

- 아동 관련 기관(386,739개소) 종사자(2,680,374명) 대상 점검 실시 -

- 아동 관련 기관 명칭, 소재지, 조치(처분)결과 등 아동권리보장원 홈페이지에 공개 -



<요약본>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문화체육관광부, 여성가족부 등 관계부처와 2023년 3월부터 12월까지 전국 학교, 학원, 체육시설 등 아동 관련 기관*을 대상으로 아동학대 관련 범죄 전력자가 해당 기관을 운영?취업하였는지 여부를 점검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


    * 아동복지법 제29조의3 제1항 각호에 따른 기관


  아동복지법에 따르면 아동학대 관련 범죄로 형 또는 치료감호를 선고받아 확정된 사람은 일정 기간 아동 관련 기관을 운영하거나 해당 기관에 취업할 수 없는데, 이는 아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아동 관련 기관에서 아동학대에 노출될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번 일제 점검?확인은 아동 관련 기관 386,739개소의 종사자 2,680,374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이 중 총 13개소에서 13명(시설운영자 4명, 취업자 9명)이 법령을 위반하여 아동 관련 기관을 운영하거나 취업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연도별 적발자 수(조사연도 기준)) (’20년) 20명, (’21년) 15명, (’22년) 14명


  법령위반이 확인된 13명에 대해 해당 기관을 관할하는 행정관청은 ①운영자 4명에 대해서는 기관폐쇄(시설등록 말소) 또는 운영자를 변경하도록 하고, ②취업자 9명에 대해서는 해임 등 행정조치를 하였다.



  현수엽 인구아동정책관은 “아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기관에서 아동학대 관련 범죄 전력자가 배제될 수 있도록 하여, 아동이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자라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상세본>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문화체육관광부, 여성가족부 등 관계부처와 2023년 3월부터 12월까지 전국 학교, 학원, 체육시설 등 아동 관련 기관*을 대상으로 아동학대 관련 범죄 전력자가 해당 기관을 운영?취업하였는지 여부를 점검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


    * 아동복지법 제29조의3 제1항 각호에 따른 기관


  아동복지법에 따르면 아동학대 관련 범죄로 형 또는 치료감호를 선고받아 확정된 사람은 일정 기간 아동 관련 기관을 운영하거나 해당 기관에 취업할 수 없는데, 이는 아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아동 관련 기관에서 아동학대에 노출될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①아동 관련 기관의 장은 그 기관에 취업 또는 사실상 노무를 제공하려는 사람에 대하여 아동학대 관련 범죄 전력을 확인(법 제29조의3제5항)하여야 하며, ②아동 관련 기관을 관할하는 행정기관의 장은 아동 관련 기관의 장이 이러한 의무를 이행하였는지 여부 등을 연 1회 이상 점검(법 제29조의4)하여야 한다.


  관련 법령에 따라 실시된 이번 일제 점검?확인은 전국 아동 관련 기관 386,739개소의 종사자 3,680,374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총 13개소에서 13명(시설운영자 4명, 취업자 9명)이 법령을 위반하여 아동 관련 기관을 운영하거나 취업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연도별 적발자 수(조사연도 기준)) (’20년) 20명, (’21년) 15명, (’22년) 14명


  법령위반이 확인된 13명에 대해 해당 기관을 관할하는 행정관청은 ①운영자 4명에 대해서는 기관폐쇄(시설등록 말소) 또는 운영자를 변경하도록 하고, ②취업자 9명에 대해서는 해임 등 행정조치를 하였다.


  아동학대 관련 범죄 전력자가 운영하거나 취업 또는 사실상 노무를 제공하도록 하는 등의 방법으로 아동복지법을 위반한 아동 관련 기관의 명칭, 소재지, 조치(처분)결과 등이 담긴 사항을 국민 누구나 확인할 수 있도록 아동권리보장원 누리집(http://ncrc.or.kr)을 통해 1년간 공개한다.



 

(단위 : 개소, , )

구분

적발 기관 및 인원 수

조치 현황

기관 수

인원

조치완료

조치예정

소계

운영자

취업자

총계

13

13

4

9

12

1

체육시설

6

6

2

4

5

1

학원

1

1

1

 

1

 

학교

1

1

 

1

1

 

정신건강증진시설

1

1

 

1

1

 

의료기관

1

1

 

1

1

 

영화상영관

1

1

1

 

1

 

도서관

1

1

 

1

1

 

사회복지관

1

1

 

1

1

 


  한편, 각 중앙행정기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아동 관련 기관의 장이 그 기관에 취업하려 하거나 사실상 노무를 제공하려는 사람에 대하여 아동학대 관련 범죄 전력 유무를 확인하지 않는 사례를 점검?확인하여 과태료를 부과* 하고 있다.


    * (아동복지법 제29조의3⑤, 제75조②) 아동관련기관의 장이 취업자등에 대하여 아동학대관련범죄 전력을 확인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현수엽 인구아동정책관은 “아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기관에서 아동학대 관련 범죄 전력자가 배제될 수 있도록 하여, 아동이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자라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붙임1> 아동학대관련범죄 전력자 취업제한제도 및 점검 개요

<붙임2> 아동학대관련범죄 종류

<붙임3> 아동관련기관 현황


첨부파일
  • hwpx 첨부파일 [2.23.금.조간]2023년 아동관련시설을 운영하거나 취업한 아동학대관련범죄 전력자 13명 적발.hwpx ( 246.91KB / 다운로드 102회 / 미리보기 69회 ) 다운로드 미리보기/음성듣기
  • pdf 첨부파일 [2.23.금.조간]2023년 아동관련시설을 운영하거나 취업한 아동학대관련범죄 전력자 13명 적발.pdf ( 540.91KB / 다운로드 163회 / 미리보기 68회 ) 다운로드 미리보기/음성듣기
공공누리 제1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