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로고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메인네비게이션

보도자료

메르스 확진자 23명(이 중 D의료기관 17명)추가 발생

  • 등록일 : 2015-06-08[최종수정일 : 2015-06-23]
  • 조회수 : 14308
  • 담당자 : 장영진
  • 담당부서 :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메르스 확진자 23명(이 중 D의료기관 17명) 추가 발생

총 87명, B의료기관 추가 환자는 없어

메르스 대상자 조회 시스템으로 D의료기관 외 추가 전파 차단

보건복지부「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는 6월 8일(월), 메르스 검사결과 양성으로 확인된 23명의 추가사례를 발표하였다.

이 중 17명의 환자는, 14번째 확진자와 관련하여 5.27~5.29일 사이에 D의료기관 응급실에서 노출된 사람들로, 발열 등 증상이 있어 실시한 메르스 유전자 검사에서 최종 양성으로 확인되었다.

나머지 6명의 환자는 16번째 확진자와 관련된 사례들로, 이 중 4명은 5.25~5.28일 사이에 F의료기관에서 동일 병동에 입원했던 경우이며, 2명은 5.28~5.30일 사이에 E의료기관에서 동일 병동에 입원한 경우이다.

대책본부는 이번 확진자 중 D의료기관에서 노출된 76번째 확진자*가, 격리 전 강동경희대병원 응급실(6.5~6.6), 건국대병원 응급실(6.6일)을 경유하였음을 밝히고, * 5.27일 고칼슘혈증으로 D의료기관 응급실 내원, 6.5일 발열 증상 * ○○요양병원(5.28~6.1)은 확진자 발열 전 경유하여 감염위험 없음 이 2개 병원이 환자발생 병원은 아니지만 감염위험이 있을 수 있으므로 해당 기간 내 내원·방문한 사람들은 증상이 의심되는 경우 절대 의료기관에 방문하지 말고 자택에서 대기하며,

서울콜센터(120), 대전콜센터(042-120), 경기도 콜센터(031-120) 등이나 시도 홈페이지에 신고해 줄 것을 당부하고, 서울시에는 이들에 대한 전수조사 및 추적관리도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책본부는 이번 76번째 확진자와 같은 일부 추적관리에서 누락된 접촉자들이, 대형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다수의 환자들을 재접촉하는 상황을 방지하는 것이 메르스 조기 차단의 핵심 요인이 될 것으로 보고, 누락 접촉자 발굴을 위해 의료기관과 연계한 정보시스템* 구축 계획을 밝혔다.

[참고] 메르스 대상자 조회 시스템

☞ 외래 환자 방문시, 의료기관에서 환자가 메르스 의심자인지 여부를 직접 조회(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게 한 시스템

* 대상자 정보는 복지부, 지자체 등에서 입력할 예정

이미 기술적인 시스템 구축은 대부분 완료하였으며, 6.8(월) 병원협회 관계자 등과 회의를 통해 동 시스템의 활용에 의료기관의 적극 참여를 당부할 예정이다.

대책본부는 D의료기관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들의 2차 유행이 진행됨에 따라 많은 환자가 나타나고 있지만,

B의료기관을 통한 1차 유행은 안정화 상태로 접어들었으며, 기타 다른 의료기관에서 발생하는 경우도 산발적 발생 양상을 보이고 있는 만큼

D의료기관 관련 확진자들의 증상 발현 후 5~7일이 지나는 이번 주를 계기로 환자가 정체되거나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공공누리 제1유형
보건복지부가 창작한 "메르스 확진자 23명(이 중 D의료기관 17명)추가 발생"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 담당부서 : 홍보기획담당관

홈페이지 기능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