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건보공단, 『2016년 건강검진통계연보』 발간
- 등록일 : 2017-11-21[최종수정일 : 2017-11-21]
- 조회수 : 8371
- 담당자 : 김재식
- 담당부서 :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운영실 통계부
『2016년 건강검진통계연보』주요내용
- 건강검진 수검률 … 최근 5년간 전반적인 증가 추세
- 일반검진 : (2011년) 72.6%, (2015년) 76.1%, (2016년) 77.7%
- 암 검 진 : (2011년) 50.1%, (2015년) 48.3%, (2016년) 49.2%
(2016년)위암 59.4%, 대장암 35.7%, 간암 65.4%, 유방암 63.0%, 자궁경부암 53.0%
※ 암검진의 경우 2012년 대장암 검진주기 변경(2년→1년)으로 수검률이 다소 감소
※ 간암검진의 경우 2016년 검진주기 변경(1년→6개월)으로 전년대비(15‘ 55.3%) 수검률 증가
- 생애전환기건강진단 : (2011년) 70.7%, (2015년) 77.1%, (2016년) 79.3%
- 영유아 건강검진 : (2011년) 53.9%, (2015년) 69.5%, (2016년) 71.9%
- 일반건강검진 판정 결과
- 1차 판정 비율 : 정상(42.0%), 고연령층일수록 질환의심 또는 유질환자 판정 비율 상승
- 전체 판정비율 : 정상A(7.4%), 정상B(34.6%), 질환의심(37.2%), 유질환자(20.8%)
- 연령별 비율 : 20대 이하는 정상 비율 74.6%, 70대 이상은 유질환자 비율 58.0% 차지, 연령 높아질수록 정상 판정 줄고, 질환의심과 유질환자 판정 증가
- 2차 판정 수검인원(56만명) 중 21만명이 당뇨병 검사, 35만명이 고혈압 검사 받아
- 유질환 판정비율은 당뇨병 50.5%, 고혈압 52.1% … 전년대비 0.4%p↑, 0.7%p↑
※ 2015년 판정비율 : 당뇨병 50.1%, 고혈압 51.4%
- 판정비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40~50대로, 당뇨병 53.1%, 고혈압 54.1%
※ 2015년 판정비율 : 당뇨병 52.5%, 고혈압 53.2%
- 유질환 판정비율은 당뇨병 50.5%, 고혈압 52.1% … 전년대비 0.4%p↑, 0.7%p↑
- 1차 판정 비율 : 정상(42.0%), 고연령층일수록 질환의심 또는 유질환자 판정 비율 상승
- 문진, 검사항목별 성적 … 현재 흡연율 22.1%, 비만율(BMI≥25) 34.9%
※ 현재 흡연율 : 평생 담배 5갑(100개비) 이상을 피웠고, 현재까지 담배를 피우는 분율
- 남성 흡연율 38.4%, 여성 흡연율 3.4%이며, 40대 남성 흡연율(46.5%)이 가장 높음
- 흡연율 최근추세 : (2011년) 25.6%, (2015년) 21.9%, (2016년) 22.1%
최근 5년간 남성 흡연율 : (2011년) 43.4% → (2016년) 38.4% … 5.0%p↓
- 남성 비만율 41.3%, 여성 비만율 27.6%
남성은 30~40대 비만율(45.3%), 여성은 60~70대 비만율(38.9%)이 가장 높음
- 비만율 증가추세 : (2011년) 32.6%, (2015년) 34.1%, (2016년) 34.9%
-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분포 현황
- 수검인원(1천5백만명) 중 72.6%(1천1백만명)가 위험요인 1개 이상 보유 (남성 79.8%, 여성 64.3%)
→ 수검인원의 25%(363만명)가 대사증후군(남성 28.4%, 여성 21.1%)
※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1〜2개 보유 : 주의군, 위험요인 3이상 보유 : 대사증후군
- 대사증후군, 50대까지 남성 비율 높으나, 60대 이후 여성비율이 더 높음
50대 비율: 남성 33.1% > 여성 21.7%, 60대 비율: 남성 37.0% < 여성 38.2%
- 수검인원(1천5백만명) 중 72.6%(1천1백만명)가 위험요인 1개 이상 보유 (남성 79.8%, 여성 64.3%)
※ 상기 자료는 건강보험 대상자 기준으로 작성됨(의료급여 제외)
* 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보건복지부가 창작한 "건보공단, 『2016년 건강검진통계연보』 발간"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