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로고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메인네비게이션

보도자료

질병관리본부, 2017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 발표

  • 등록일 : 2018-03-28[최종수정일 : 2018-03-30]
  • 조회수 : 7866
  • 담당자 : 권윤형
  • 담당부서 : 만성질환관리과

질병관리본부, 2017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 발표

  • 흡연을 제외한 음주와 걷기 실천 등 건강행태가 크게 개선되지 않았음
    • 흡연은 감소하고 있지만 한번에 술을 많이 마시는 고위험음주는 개선되지 않았음
    • 걷기 실천율과 건강생활실천율(금연, 절주, 걷기를 모두 실천)은 지속 감소하다가 ’15년에 소폭 증가, 이후에는 정체
  • 지역 간 건강격차*는 조사를 시작한 2008년 이후 감소하지 않았고, ’17년에 대부분 건강지표에서 전년 대비 증가
    • (남자 현재흡연율) 연도별 증감이 있었고, ’17년에는 ’16년 대비 증가 (’16년 24.3%p → ’17년 28.6%p)
    • (연간음주자의 고위험음주율) 연도별 증감이 있었고, ’16년부터 증가 (’15년 20.8%p → ’16년 25.7%p → ’17년 27.4%p)
    • (걷기 실천율) 감소추세였으나 ’17년에 ’16년 대비 증가 (’16년 51.9%p → ’17년 61.3%p)
    • (건강생활실천율) 감소추세였으나 ’16년부터 증가 (’15년 39.8%p → ’16년 41.7%p → ’17년 47.4%p)
      * 지역별 산출한 지표 값 중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7년 지역사회건강조사*』주요결과를 발표했다.

* 질병관리본부가 지역보건법 제4조에 근거하여 전국 254개 보건소와 함께 지역별 평균 900명의 표본을 추출하여 매년 8-10월에 조사하는 지역단위 일제 건강조사로, 2008년부터 시작하였고 2017년에는 22만 8381명을 대상으로 조사 완료

주요 지표별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재흡연율) ’17년 21.2%로 ’08년 대비 4.2%p 감소, 전년대비 0.7%p 감소

전년보다 증가한 지역 수는 91개, 감소한 지역 수는 158개

지역 간 격차(최대값-최소값)는 16.2%p로 전년(13.4%p)보다 증가하였고, ’08년부터 감소추세였으나 ’14년 증가, 다시 감소하다가 ’17년에 증가

(남자 현재흡연율) ’17년 39.3%로 ’08년 대비 8.5%p 감소, 전년대비 1.3%p 감소

전년보다 증가한 지역 수는 90개, 감소한 지역 수는 160개

지역 간 격차는 28.6%p로 전년(24.3%p)보다 증가하였고, ’08년부터 감소추세였으나 ’14년 증가 이후로 연도별 증감이 있음

현재흡연율, 남자 현재흡연율의 추이 및 지역 간 건강격차, 2008-2017년 : 첨부자료 참조

(연간음주자의 고위험음주율) ’17년 18.4%로 ’08년 대비 0.2%p 감소, 전년대비 0.4%p 증가

전년보다 증가한 지역 수는 147개, 감소한 지역 수는 106개

지역 간 격차는 27.4%p로 전년(25.7%p)보다 증가하였고, ’08년부터 연도별 증감이 있고, ’16년부터 증가

(걷기 실천율) ’17년 45.4%로 ’08년 대비 6.0%p 감소, 전년대비 2.0%p 증가

전년보다 증가한 지역 수는 155개, 감소한 지역 수는 97개

지역 간 격차는 61.3%p로 전년(51.9%p)보다 증가하였고, 연도별 증감과 함께 감소추세였으나, ’17년에 증가

연간음주자의 고위험음주율, 걷기 실천율의 추이 및 지역 간 건강격차, 2008-2017년 : 첨부자료 참조

(건강생활실천율*) ’17년 32.0%로 ’08년 대비 3.3%p 감소, 전년대비 1.6%p 증가

* 금연, 절주, 걷기를 모두 실천하는 사람의 분율

전년보다 증가한 지역 수는 149개, 감소한 지역 수는 104개

지역 간 격차는 47.4%p로 전년대비(41.7%p) 증가하였고, ’08년부터 감소추세였으나, ’16년 이후 증가

(비만율, 자가보고*) ’17년 27.5%로 ’08년 대비 6.4%p 증가, 전년대비 0.6%p 증가

* 조사대상자가 응답한 본인의 키와 몸무게 수치로 체질량지수(BMI) 산출, 실제 신체계측을 통한 체질량지수와는 다를 수 있음

전년보다 증가한 지역 수는 144개, 감소한 지역 수는 105개

지역 간 격차는 20.7%p로 전년대비(21.2%p) 감소하였고, ’08년부터 연도별 증감이 있었고, ’16년에 두드러지게 증가

건강생활실천율, 비만율(자가보고)의 추이 및 지역 간 건강격차, 2008-2017년 : 첨부자료 참조

(아침결식 예방인구 비율*) ’17년 62.3%로 ’10년 대비 8.7%p 감소, 전년대비 1.1%p 감소

* 최근 1주일 동안 아침식사를 5일 이상 한 사람의 분율

전년보다 증가한 지역 수는 101개, 감소한 지역 수는 150개

지역 간 격차는 37.2%p로 전년대비(35.5%p) 증가하였고, ’14년까지 감소추세 였으나, ’15년 이후 증가 추세로 전환

(저염선호율 typeⅠ*) ’17년 43.0%, ’08년 대비 6.4%p 증가, 전년대비 1.0%p 증가

* 평소 식습관, 조리음식 등에서 저염선호 여부를 묻는 3가지 문항 중 1가지만 선택한 사람의 분율(지표 상세설명은 붙임 1 참조)

전년보다 증가한 지역 수는 144개, 감소한 지역 수는 108개

지역 간 격차는 42.0%p로 전년대비(29.3%p) 증가하였고, 연도별 증감과 함께 감소추세였으나, ’17년에 증가

(영양표시 독해율*) ’17년 28.6%, ’14년 대비 1.4%p 증가, 전년대비 0.8%p 증가

* 가공식품 사거나 고를 때 영양표시를 읽는 사람의 분율

전년보다 증가한 지역 수는 140개, 감소한 지역 수는 112개

지역 간 격차는 33.3%p로 전년대비(27.4%p) 증가하였고, 조사를 시작한 ’14년부터 증가 추세

아침결식 예방인구 비율, 저염선호율(typeⅠ)의 추이 및 지역 간 건강격차, 2008-2017년 : 첨부자료 참조

(혈압수치 인지율) ’17년 55.3%로 ’11년 대비 10.3%p 증가, 전년대비 2.2%p 증가

* 본인의 혈압수치를 알고 있는 사람의 분율, ’11년, ’13-’14년, ’16-’17년에 조사

전년보다 증가한 지역 수는 147개, 감소한 지역 수는 104개

지역 간 격차는 49.5%p로 전년대비(42.7%p) 증가하였고, 이전에 감소추세였으나 ’16년부터 증가 시작

(혈당수치 인지율) ’17년 17.9%로 ’11년 대비 6.3%p 증가, 전년대비 1.6%p 증가

* 본인의 혈당수치를 알고 있는 사람의 분율, ’11년, ’13-’14년, ’16-’17년에 조사

전년보다 증가한 지역 수는 151개, 감소한 지역 수는 102개

지역 간 격차는 35.4%p로 전년대비(24.3%p) 증가하였고, ’16년까지 감소추세, ’17년에 증가

혈압수치 인지율, 혈당수치 인지율의 추이 및 지역 간 건강격차, 2011-2017년 : 첨부자료 참조

(뇌졸중 조기증상 인지율 및 심근경색증 조기증상 인지율*) ’17년 뇌졸중(중풍) 조기증상 인지율은 50.0%, 심근경색 조기증상 인지율은 44.7%

* 2017년에 조사를 시작한 신규 지표이며, 뇌졸중과 심근경색증은 증상 발생 후 신속히 치료를 받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여 지역주민의 조기증상 인지율 모니터링 필요

* 미국(2014년) 뇌졸중, 심근경색증 조기증상 인지율 68.2%, 49.7%

(안전벨트 착용률) ’17년 운전자석과 동승차량 앞좌석의 안전벨트 착용률은 각각 88.4%, 81.3%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나, 뒷좌석 안전벨트 착용률은 14.8%로 매우 낮은 상태이며, ’14년 대비 6.7%p 증가, 전년대비 1.7%p 증가

뒷좌석 안전벨트 착용률이 증가한 지역 수는 154개, 감소한 지역 수는 99개

지역 간 격차(최대값-최소값)는 35.5%p로 전년대비(31.2%p) 증가하였고, ’16년까지 감소추세, ’17년에 증가

동승차량 뒷좌석 안전벨트 착용률의 추이 및 지역 간 건강격차, 2014-2017년 : 첨부자료 참조

질병관리본부는 이번 2017년 지역사회건강조사의 경과보고 및 질관리 평가대회를 겸하여 지난 3월 22-23일 양일간 지역사회건강조사 10주년 기념행사를 개최하였다.

행사를 통해,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활용 우수 사례 6개를 공유하고, 우수사례로 선정된 보건소*에 대해서는 보건복지부 장관상을 수여하였다.

* 서울 송파구보건소, 부산 부산진구보건소, 대전 서구보건소, 경기 성남시 수정구보건소, 경기 용인시 수지구보건소, 경남 의령군보건소

시‧도 간 또는 지역 간 건강지표별 격차는 ’08년 이후 지표별로 감소추세 또는 연도별 증감을 반복하고 있었으나, ’17년에는 대부분의 지표에서 ’16년 대비 격차가 증가하였다.

이에 대해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지역 간 격차 원인을 찾고, 이를 해소하고자 하는 정책과 사업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각 지역사회가 건강해지고 격차가 해소될 때 국가 전체의 건강이 향상되므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함께 해야 함을 당부하였다.

2017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는 각 보건소에서 통계집 형태로 최종결과를 공표할 예정이며, 질병관리본부는「2008-2017 지역건강통계 한눈에 보기」통계집을 발표할 예정이다.

*「2008-2017 지역건강통계 한눈에 보기」는 지역사회건강조사 홈페이지(http://chs.cdc.go.kr)에 공개

<붙임>

  1. 2017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개요
  2. 2008-2017년 주요 지표별 평균값 및 격차 추이
  3. 2008-2017년 주요 지표별 세부 현황
  4.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활용 우수 사례(6개) 요약
  5. 「2008-2017 지역건강통계 한눈에 보기」의 ‘일러두기’

<별첨>

  1.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활용 우수 사례(붙임4)의 ‘지역사회 건강과 질병’ 게재 원고
  2. 「2008-2017 지역건강통계 한눈에 보기」요약본
공공누리 제1유형
보건복지부가 창작한 "질병관리본부, 2017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 발표"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 담당부서 : 홍보기획담당관

홈페이지 기능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