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로고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메인네비게이션

보도자료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 7월부터 5.6% 인상

  • 등록일 : 2022-03-30[최종수정일 : 2022-03-31]
  • 조회수 : 19275
  • 담당자 : 박은경
  • 담당부서 : 국민연금정책과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 7월부터 5.6% 인상
- 상한액 524만 원 → 553만 원, 하한액 33만 원 → 35만 원으로 인상 -

지난해와 달라지는 것들

지난해와 달라지는 것들-구분,2021년,→,2022년
구 분 2021년 2022년
기준소득월액 상한액 524만원 553만 원 (+29만 원)
하한액 33만 원 35만 원 (+2만 원)
국민연금 보험료 최고 47만1,600원 49만 7,700원 (+2만 6,100원)
최저 2만9,700원 3만 1,500원 (+1,800원)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2022년 7월 1일부터 국민연금 보험료의 산정 기준인 기준소득월액 상한액이 553만 원, 하한액은 35만 원으로 상향 조정된다고 밝혔다.

국민연금 보험료 산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소득월액 조정은 「국민연금법」시행령 제5조에 따라 전체 가입자 평균소득의 최근 3년간 평균액 변동률(5.6%)*을 반영한 결과이며, 이를 통해 가입자의 실제소득이 반영되고 있다.

* (최근 5년간 변동률) 4.3%(’18) → 3.8%(’19) → 3.5%(’20) → 4.1%(’21) → 5.6%(’22)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 조정은 국민연금심의위원회*의 심의(‘22.2.28.) 및 행정예고(‘22.3.15~24)를 거쳐 보건복지부 고시로 관보 게재(‘22.3.31.)되었다.

* 위원장(보건복지부 제1차관), 사용자·근로자·지역가입자·공익·수급자 대표 등 24명
2022년도 기준소득월액의 조정으로 국민연금 최고 보험료는 전년보다 2만 6,100원이 인상된 49만 7,700원이 되고, 최저 보험료는 전년보다 1,800원이 인상된 3만 1,500원이 된다.

상·하한액 조정으로 일부 가입자는 보험료가 인상*됨에 따라, 연금급여액 산정에 기초가 되는 가입자 개인의 생애 평균 소득월액이 높아져 연금수급 시 더 많은 연금급여액을 받게 된다.

* 상한액에 해당하는 가입자 239만 명의 월 보험료는 최대 26,100원 인상되고, 하한액에 해당하는 가입자 14.7만 명의 월 보험료는 최대 1,800원 인상됨

< 기준소득월액 조정에 따른 보험료 변동현황 >

기준소득월액 조정에 따른 보험료 변동현황-구분,상한액,하한액
구분 상한액 하한액
기준소득월액 524만 원 초과 553만 원 이하 553만 원 초과 33만 원 미만 33만 원 이상 35만 원 미만
보험료 인상분 최대 26,100원 26,100원 1,800원 최대 1,800원
예상 대상자수 (’21.12월 자료 기준) 28만 명 211만 명 11.6만 명 3.1만 명

보건복지부 정호원 연금정책국장은 “가입자의 소득수준 향상에 따라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이 조정되어 일부 가입자는 보험료가 증가하지만 수급 연령 도달 시 더 많은 연금급여액을 받게 되어 국민연금을 통한 노후소득 보장이 강화될 것”이라고 전했다.

<붙임> 국민연금법 관련 규정

공공누리 제1유형
보건복지부가 창작한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액 7월부터 5.6% 인상"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 담당부서 : 홍보기획담당관

홈페이지 기능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