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로고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메인네비게이션

보도자료

2022년 제6차 장기요양위원회 개최(12.16)

  • 등록일 : 2022-12-17
  • 조회수 : 2892
  • 담당자 : 이윤희
  • 담당부서 : 요양보험제도과


2022년 제6차 장기요양위원회 개최(12.16)
- 제3차 장기요양기본계획 추진상황 보고, 장기요양 재정건전화 방향 및 종사자 처우개선, 인력수급 논의를 위한 협의체 운영 방안 논의 -


□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12월 16일(금) 10시 국민건강보험공단 영등포남부지사에서 2022년 제6차 장기요양위원회*(이하 ‘위원회’)를 개최하였다. 

   *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45조에 따라 장기요양보험료율 등 장기요양과 관련한 주요 사항을 심의하기 위해 가입자·공급자·공익 대표로 구성(위원장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1차관)

 ○ 이번 위원회에서는 ▴제3차 장기요양기본계획(’23-’27) 수립 추진상황, ▴장기요양재정 건전화 추진방향, ▴요양보호사 등 종사자 처우개선 및 인력확보 방안 마련을 위한 협의체 운영계획 등을 논의하였다.

□ 각 안건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제3차 장기요양기본계획 수립(’23-’27) 추진상황 >

□ 보건복지부는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6조에 따라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한 5년 단위 장기요양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 이번에 수립하는 장기요양기본계획은 제도 시행 이후 세 번째 계획으로 2023년부터 2027년까지 향후 5년간 장기요양보험제도의 중장기 비전과 발전 방향 등을 제시할 예정이다.


 ○ 보건복지부는 이번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의뢰하였고 초기 단계에서부터 다양한 의견을 충실하게 수렴하기 위해 학계 전문가, 장기요양위원회 위원 등을 포함한 추진단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 이번 회의에서는 추진단 운영 과정 등을 거쳐 마련한 ‘제3차 장기요양기본계획 수립 연구결과(안)’을 연구책임을 맡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강은나 연구위원이 발표하였다.

 ○ 보건복지부는 향후 추진단 회의, 공청회, 장기요양위원회 등 의견수렴단계를 거쳐 2023년 3월 기본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다.

< 장기요양재정 건전화 추진방향 >

□ 지난 제5차 장기요양위원회(2022.9.23.)에서는 장기요양 재정을 보다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추진체계가 필요함을 논의한 바 있다.

 ○ 이에 따라, 이번 위원회에서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보건복지부 인구정책실장을 단장으로 하는‘장기요양 재정건전화 추진단’구성 및 운영방안을 보고하였다.

 ○ 구체적으로, 대상자 적정 관리, 합리적 급여 이용지원, 장기요양기관 투명성 제고 및 장기요양급여 사전‧사후 관리강화 등 4대 중점 분야를 중심으로 장기요양재정 전반의 관리 및 운영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설정하고 논의하였다.

 ○ 장기요양재정 건전화를 위한 중장기 제도개선 과제는 향후 장기요양위원회 논의를 거쳐 제3차 장기요양기본계획(’23-’27)에 반영할 예정이다.

< 종사자 처우개선 및 인력확보 방안 마련을 위한 협의체 운영 계획 >

□ 인구 고령화 등으로 장기요양 수요 및 서비스 질 제고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나, 경제활동인구 감소, 요양보호사 등 종사자 고령화 심화 등으로 장기요양기관 등 종사자 인력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 되고 있다.

 ○ 이에 따라 보건복지부는 장기요양기관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등 종사자 처우개선 및 장기요양 인력 확보 방안 마련을 위해 2023년부터 관련 연구용역을 추진하고, 

 ○ 전문가 및 이해관계자로 구성된 협의체를 위원회 논의를 거쳐 2023년 1월부터 구성하고 관련 사항을 논의할 계획이다.

□ 보건복지부 이기일 제1차관은“초고령사회 진입, 사회적 돌봄 수요 증가 등 환경변화 속에서도 노인장기요양보험이 더 많은 어르신에게 보다 나은 장기요양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노인돌봄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공누리 제1유형
보건복지부가 창작한 "2022년 제6차 장기요양위원회 개최(12.16)"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 담당부서 : 홍보기획담당관

홈페이지 기능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