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로고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메인네비게이션

보도자료

국립보건연구원,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연구 본격화

  • 등록일 : 2020-03-10[최종수정일 : 2020-03-10]
  • 조회수 : 8767
  • 담당자 : 김경창
  • 담당부서 : 신종감염병·매개체연구과

국립보건연구원,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연구 본격화

  • 혈액 내 코로나19 바이러스 중화항체*를 탐지하는 특이 단백질 제작 성공
    * 중화항체 :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무력화시키거나 소멸시킬 수 있는 항체
  • 항체치료제와 혈장치료제 개발 연구를 통한 치료제 개발 가속화 촉진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 국립보건연구원(원장 권준욱)은 코로나19 대응 연구를 위하여 항체 치료제 개발에 필수적인 코로나19 항체 탐지용 단백질* 제작에 성공하였다고 10일 밝혔다.

* 프로브: 코로나19 바이러스 항체를 발견하여 분리해 낼 수 있는 탐지용 단백질

이번 항체 탐지용 단백질 제작을 통해 회복기 환자 혈액에 존재하는 중화항체 생산 세포(B세포)를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어 코로나19 바이러스 항체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간 완치자 혈액을 확보하여 면역형광검사법(IFA)을 확립하였으며, 향후 다양한 코로나19 항원 단백질을 정제하고 중화시험법을 확립하여 치료제 효능 평가도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다.

국립보건연구원은 코로나19 치료, 백신, 진단 및 임상연구를 위한 긴급 현안 과제 12개를 2차례 공모*하여,

치료항체 개발, 백신후보물질 발굴, 임상역학 및 혈청학적 연구, 약물 사용범위 확대 연구, 신속진단제 개발 등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개발의 기반을 마련하고 학계 및 기업 등과 협력연구를 통해 개발을 촉진하고 있다.

* 1차 긴급현안과제 공모 (4과제, 4.57억원), 2차 긴급현안과제 공모 (8과제, 10억원)

또한, 이번 추경 예산을 확보하여 향후 치료제 및 백신 연구용 동물모델 개발, 회복기 환자 혈장을 이용한 혈장치료제* 개발에 노력하여,

향후 국가바이러스·감염병연구소 설립 검토 및 계획 수립을 위한 기획과제도 추진할 예정이다.

* 특정 질환 감염 후 회복된 사람의 혈장 속에 있는 항체나 면역글로블린을 이용한 치료제

국립보건연구원 김성순 감염병연구센터장은 “긴급현안 과제를 통한 항체치료제 개발과 추경을 통한 혈장치료제 개발 연구로,

외부 기업·학계·의료계와 협력연구를 촉진하여 임상 적용이 가능한 코로나19 치료체 개발에 한 발 앞서 나아가는 계기가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공공누리 제1유형
보건복지부가 창작한 "국립보건연구원,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연구 본격화"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 담당부서 : 홍보기획담당관

홈페이지 기능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