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65세 이상 노년층 등록장애인 지속 증가
- 등록일 : 2020-04-19[최종수정일 : 2020-04-21]
- 조회수 : 13686
- 담당자 : 홍화영
- 담당부서 : 장애인정책과
65세 이상 노년층 등록장애인 지속 증가
- 2019년 등록장애인 통계 발표 -
< 주요 내용 >
2019년 말 기준 등록장애인은 261만 8000명(전체 인구 대비 5.1%)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70대(58만 2000명, 22.2%), 60대(58만 4000명, 22.3%)에서 등록장애인 수가 가장 많으며, 전체 인구대비 장애인 등록 비율도 60대 이상(60대 9.3%, 70대 16.2%, 80대 21.6%)에서 높게 나타났다.
(성별) 남성 등록장애인의 비율(151만 명, 57.8%)이 여성(110만 명, 42.2%)보다 높다.
(장애유형별) 15개 장애유형 분석 결과, 지체(122만 3000명, 46.7%), 청각(37만 7000명, 14.4%), 시각(25만 3000명, 9.7%), 뇌병변(25만 2000명, 9.6%) 순으로 비율이 높았으며, 가장 낮은 유형은 뇌전증(7,000명, 0.3%), 심장(5,000명, 0.2%), 안면(3,000명, 0.1%) 장애 순으로 나타났다.
(장애정도별) 심한 장애로 등록된 장애인은 98만 명(37.6%), 심하지 않은 장애로 등록된 장애인은 163만 명(62.4%)이다.
(지역별) 지역별로는 경기도 등록장애인 수가 560만 명(21.4%)으로 가장 많았으며, 세종이 1만 2000명(0.5%)으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2019년 등록장애인의 연령별·장애유형별․성별․장애정도별 등 주요 지표별 『2019년도 등록장애인 현황』*을 발표하였다.
* 보건복지부 누리집(www.mohw.go.kr) > 정보 > 현황 > 장애인 등록현황(2019년)
2019년 말 기준 등록장애인은 261만 8000명(전체 인구 대비 5.1%)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70대(58만 2000명, 22.2%), 60대(58만 4000명, 22.3%)에서 등록장애인 수가 가장 많으며, 전체 인구대비 장애인 등록 비율도 60대 이상(60대 9.3%, 70대 16.2%, 80대 21.6%)에서 높게 나타났다.
(성별) 남성 등록장애인의 비율(151만 명, 57.8%)이 여성(110만 명, 42.2%)보다 높다.
(장애유형별) 15개 장애유형 분석 결과, 지체(122만 3000명, 46.7%), 청각(37만 7000명, 14.4%), 시각(25만 3000명, 9.7%), 뇌병변(25만 2000명, 9.6%) 순으로 비율이 높았으며, 가장 낮은 유형은 뇌전증(7,000명, 0.3%), 심장(5,000명, 0.2%), 안면(3,000명, 0.1%) 장애 순으로 나타났다.
(장애정도별) 심한 장애로 등록된 장애인은 98만 명(37.6%), 심하지 않은 장애로 등록된 장애인은 163만 명(62.4%)이다.
(지역별) 지역별로는 경기도 등록장애인 수가 560만 명(21.4%)으로 가장 많았으며, 세종이 1만 2000명(0.5%)으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 2019년 주요 지표별 등록장애인 현황 >
(단위 : 천 명, %)
성별 | 연령별 | 장애유형별 | 장애정도별 | 시도별 | ||||||||||
---|---|---|---|---|---|---|---|---|---|---|---|---|---|---|
구분 | 인원 | 비율 | 구분 | 인원 | 비율 | 구분 | 인원 | 비율 | 구분 | 인원 | 비율 | 구분 | 인원 | 비율 |
합계 | 2,618(100) | |||||||||||||
남성 | 1,513 | 57.8 | 0~9세 | 31 | 1.2 | 지체 | 1,223 | 46.7 | 심한 장애 | 985 | 37.6 | 서울 | 395 | 15.1 |
부산 | 175 | 6.7 | ||||||||||||
시각 | 253 | 9.7 | ||||||||||||
10~19세 | 60 | 2.3 | ||||||||||||
대구 | 125 | 4.8 | ||||||||||||
청각 | 377 | 14.4 | ||||||||||||
인천 | 145 | 5.5 | ||||||||||||
언어 | 21 | 0.8 | ||||||||||||
20~29세 | 96 | 3.7 | ||||||||||||
광주 | 70 | 2.7 | ||||||||||||
지적 | 213 | 8.1 | ||||||||||||
대전 | 73 | 2.8 | ||||||||||||
30~39세 | 129 | 4.9 | ||||||||||||
뇌병변 | 252 | 9.6 | ||||||||||||
울산 | 51 | 1.9 | ||||||||||||
자폐성 | 29 | 1.1 | ||||||||||||
40~49세 | 253 | 9.7 | ||||||||||||
세종 | 12 | 0.5 | ||||||||||||
정신 | 103 | 4.0 | ||||||||||||
경기 | 560 | 21.4 | ||||||||||||
여성 | 1,105 | 42.2 | 심하지 않은 장애 | 1,633 | 62.4 | |||||||||
50~59세 | 476 | 18.2 | ||||||||||||
강원 | 101 | 3.9 | ||||||||||||
신장 | 92 | 3.5 | ||||||||||||
충북 | 98 | 3.7 | ||||||||||||
심장 | 5 | 0.2 | ||||||||||||
60~64세 | 309 | 11.8 | ||||||||||||
충남 | 134 | 5.1 | ||||||||||||
호흡기 | 12 | 0.5 | ||||||||||||
65~69세 | 275 | 10.5 | ||||||||||||
전북 | 132 | 5.0 | ||||||||||||
간 | 13 | 0.5 | ||||||||||||
전남 | 142 | 5.4 | ||||||||||||
안면 | 3 | 0.1 | ||||||||||||
70~79세 | 582 | 22.2 | ||||||||||||
경북 | 181 | 6.9 | ||||||||||||
장루요루 | 15 | 0.6 | ||||||||||||
경남 | 188 | 7.2 | ||||||||||||
80세~ | 407 | 15.5 | ||||||||||||
뇌전증 | 7 | 0.2 | ||||||||||||
제주 | 36 | 1.4 |
< 2019년 연령별 등록장애인 수 및 전체 인구 대비 비율 >
(단위 : 명, %)

구분 | 9세이하 | 10~19세 | 20~29세 | 30~39세 | 40~49세 | 50~59세 | 60~69세 | 70~79세 | 80세이상 |
---|---|---|---|---|---|---|---|---|---|
등록장애인수 | 31,120 | 59,648 | 96,406 | 129,055 | 253,470 | 476,126 | 584,049 | 581,700 | 407,344 |
인구 대비 장애인비율 | 0.7% | 1.2% | 1.4% | 1.8% | 3.0% | 5.5% | 9.3% | 16.2% | 21.6% |
등록장애인의 연도별 증감 추이는 다음과 같다.
등록장애인 수 및 전체 인구 대비 비율은 등록장애인에 대한 서비스의 확대, 등록제도에 대한 인식 개선으로 2003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였으나, 2010년부터는 전체 인구 대비 5% 정도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연도별 등록장애인 수 및 전체 인구 대비 비율 >
(단위 : 명, %)

(노년층 장애인 증가) 인구 고령화에 따라 65세 이상 노년층 장애인 수가 지속 증가(’10년 37.1%→’15년 42.3%→‘19년 48.3%)하고 있어 장애인구의 고령화가 상당한 수준으로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 노년층 장애인 중 가장 많은 장애유형은 지체(48.5%), 청각(22.7%), 뇌병변(11.1%), 시각(10.2%), 신장(2.8%) 장애 순으로 나타났다.
< 65세 이상 등록장애인 및 장애유형별 비율 >
(단위 : 명, %)

구 분 | 2014년 | 2016년 | 2018년 | 2019년 |
---|---|---|---|---|
65세 이상 전체인구 | 6,520,607 | 6,995,652 | 7,650,408 | 8,026,915 |
65세 이상 등록장애인 | 1,033,307 | 1,089,316 | 1,206,482 | 1,263,952 |

등록장애인 | 지체 | 청각 | 뇌병변 | 시각 | 신장 |
---|---|---|---|---|---|
1,263,952 | 613,193 | 287,170 | 140,840 | 129,321 | 35,460 |
(장애유형별 증감) 지체장애(’10년 53.1%→‘15년 51.5%→‘19년 46.7%)는 2010년 이후 감소 추세인 반면, 청각장애(‘15년 10.1%→’19년 14.4%), 발달장애(‘10년 7.0%→’15년 8.5%→‘19년 9.2%), 신장장애(‘10년 2.3%→’15년 3.0%→‘19년 3.5%)는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 연도별 지체·청각․지적․자폐성․신장 장애인 수 >
(단위 : 천 명)

(장애정도별) 심한 장애인에 비하여 심하지 않은 장애인의 비율이 2003년 이후 지속적으로 높은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심한장애인 ’10년 40.1%→ ‘19년 37.6%, 심하지 않은 장애인 ‘10년 59.9%→‘19년 62.4%)
< 연도별 장애정도별 장애인 수 >
(단위 : 천 명)

특히, 올해 최초 공표되는 2019년 한 해 동안 새로 등록한 장애인 현황을 살펴보면 최근의 증감 추이를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다.
2019년 신규 등록 장애인은 총 9만 7000명으로, 그 중 65세 이상노년층 비율이 57.6%, 심하지 않은 장애인 비율은 69.6%로 연도별 증감 추세가 심화되고 있으며, 주요지표별 현황은 아래와 같다.
(연령별) 70대(2만 5669명, 26.3%), 80대(2만 1671명, 22.3%)에서 등록장애인 수가 가장 많으며, 10대부터 30대까지의 등록 장애인 수(2115명 ~2986명, 2.2~3.1%)가 가장 적다.
(장애유형별) 가장 많은 비중을 나타낸 장애유형은 청각(39.3%), 지체(15.0%), 뇌병변(14.6%), 신장(8.3%) 장애 순으로 나타났다.
(장애정도별) 심한 장애로 등록된 장애인은 2만 9653명(30.4%), 심하지 않은 장애로 등록된 장애인은 6만 8046명(69.6%)이다.
< 2019년 주요 지표별 신규등록 장애인 현황 >
(단위 : 명, %)
성별 | 연령별 | 장애유형별 | 장애정도별 | ||||||||
---|---|---|---|---|---|---|---|---|---|---|---|
구분 | 인원 | 비율 | 구분 | 인원 | 비율 | 구분 | 인원 | 비율 | 구분 | 인원 | 비율 |
합계 | 97,699(100) | ||||||||||
남성 | 54,750 | 56.0 | 0~9세 | 6,089 | 6.2 | 지체 | 14,690 | 15.0 | 심한 장애 | 29,653 | 30.4 |
시각 | 7,126 | 7.3 | |||||||||
10~19세 | 2,869 | 2.9 | |||||||||
청각 | 38,347 | 39.3 | |||||||||
20~29세 | 2,115 | 2.2 | 언어 | 1,823 | 1.9 | ||||||
지적 | 5,966 | 6.1 | |||||||||
30~39세 | 2,986 | 3.1 | |||||||||
뇌병변 | 14,287 | 14.6 | |||||||||
40~49세 | 5,937 | 6.1 | 자폐성 | 1,427 | 1.5 | ||||||
정신 | 2,280 | 2.3 | |||||||||
여성 | 42,949 | 44.0 | 50~59세 | 12,326 | 12.6 | 심하지 않은 장애 | 68,046 | 69.6 | |||
신장 | 8,141 | 8.3 | |||||||||
60~64세 | 9,141 | 9.3 | 심장 | 247 | 0.3 | ||||||
호흡기 | 920 | 0.9 | |||||||||
65~69세 | 8,896 | 9.1 | |||||||||
간 | 945 | 1.0 | |||||||||
70~79세 | 25,669 | 26.3 | 안면 | 22 | 0.0 | ||||||
장루요루 | 1,255 | 1.3 | |||||||||
80세~ | 21,671 | 22.2 | |||||||||
뇌전증 | 223 | 0.2 |
신규 등록 장애인에 대한 연령별 세부 통계를 작성한 결과,
65세 이상 노년층이 2019년 신규 등록 장애인의 57.6%(5만 6236명)에 해당하며, 장애유형별 비중은 청각(59.8%), 뇌병변(13.0%), 지체(11.1%) 장애 순이다.
18세 미만 아동의 경우 전체 장애인의 8.4%(8,267명)로 지적(47.2%), 자폐성(16.9%), 언어(13.9%) 장애 순으로 발달장애인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그 외 18세~64세까지의 등록 장애인은 34.0%(3만 3199명)로 장애 유형별로는 지체(24.5%), 뇌병변(18.3%), 신장(13.5%) 장애 순으로 나타났다.
< 신규 등록장애인 연령대별 장애유형별 비중 >
(단위 : %)
0세~17세(아동) | 18세~64세 | 65세 이상(노년층) |
---|---|---|
![]() |
![]() |
![]() |
보건복지부 권병기 장애인정책과장은 “매년 등록장애인의 추이 분석을 통해 장애인의 특성과 서비스 욕구에 부합하는 적절한 복지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별첨 > 장애인 등록현황 (2019년 12월 기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