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로고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메인네비게이션

보도자료

동네 병·의원에서도 코로나 대면 진료 추진

  • 등록일 : 2022-03-29[최종수정일 : 2022-03-31]
  • 조회수 : 6319
  • 담당자 : 이영지
  • 담당부서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중앙사고수습본부

동네 병·의원에서도 코로나 대면 진료 추진

◈ 코로나19 확진자의 원활한 대면 진료를 위한 외래진료센터 확충
- 현재(3.29. 0시 기준) 운영 중인 외래진료센터 279개소
- 모든 병·의원 대상 외래진료센터 신청받아, 별도 심사 없이 의료기관에서 신청한 날부터 즉시 대면 진료 가능

◈ 병상 확충 및 병상 운영 효율화를 통해 확진자 증가에 대응
- (3.29. 0시 기준 병상 가동률) 중증 68.2%, 준중증 68.7%, 감염병 전담병원 42.9%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본부장: 국무총리 김부겸)는 어제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 권덕철) 주재로 정부세종청사 영상회의실에서 각 중앙부처, 17개 광역자치단체와 함께 ▲코로나19 주간 동향 보고* ▲재택치료 외래진료센터 확충 추진방안 ▲주요 지자체 코로나19 현황 및 조치사항 등을 논의하였다.

* 중앙방역대책본부(질병관리청) 별도 보도참고자료 배포 (3.28.)

1. 재택치료 외래진료센터 확충 추진방안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코로나19 확진자 증가에 따른 대면진료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하여 중대본 회의를 통해 재택치료 외래진료센터 확충 추진방안을 논의하였다.

재택치료 중 필요한 경우 외래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난 12월부터 외래진료센터를 지정·운영*하고 있으며, 최근 확진자 급증에 따라 대면진료 수요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 3.29일 0시 기준 279개소 진료 실시 중

이에, 가까운 동네 병·의원에서 코로나 및 코로나 외 질환까지 대면진료가 가능하도록,

- 외래진료센터 신청대상을 모든 병·의원으로 확대하고, 신청방법도 기존의 시도 지정에서 의료기관 직접 신청*(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 절차를 간소화한다.

* 「코로나19 재택치료 외래진료센터 신청·변경서」를 작성하여 FAX 전송(033-811-7621) → 4.8일부터 보건의료자원통합신고포털(www.hurb.or.kr)로 신청

외래진료센터를 신청한 의료기관은 신청 후 별도 심사 없이 신청한 날부터 즉시 대면진료를 실시할 수 있으며, 참여하는 병·의원에 대해서는 건강보험 수가(감염예방관리료 등) 청구가 가능하다.

코로나19 확진자 외래진료센터 참여를 희망하는 모든 병·의원은 별도 시간 또는 공간을 활용하여 진료하고, 코로나 또는 코로나 외 진료가 가능한 의사, 간호인력을 확보하여야 한다.

병원급 의료기관은 3월 30일부터, 의원급 의료기관은 4월 4일부터 심평원을 통해 직접 신청할 수 있으며

- 이를 통해 국민들이 필요 시 적절한 진료를 받고, 일반의료체계로 전환하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주요방역지표 현황

【병상】

3월 29일(화) 0시 기준, 코로나19 치료 병상은 관리 가능 범위 내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정부는 병상 확충 및 운영효율화를 지속 추진 중에 있다.

전체 병상 보유량은 전일 대비 290병상 감소하여, 52,578병상이 운영 중이다

3월 29일(화) 0시 기준,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68.2%, 준-중증병상 68.7%, 중등증병상 42.9%이다. 생활치료센터 가동률은 21.6%이다.

< 3.29. 0시 기준 중등도별 병상 현황 > (단위 : 개, %) : 본문 참조

【입원대기】

입원대기는 병상여력이 회복되면서 2021년 12월 29일 0명으로 해소된 이후 지속적으로 0명이다.
【위중증·사망자】

3월 29일(화) 0시 기준,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1,215명(전일 대비 58명 감소)으로 3월 8일부터 1천 명 대를 유지하고 있다.

신규 사망자는 237명이고, 60세 이상이 224명(94.5%)이다.

고위험군인 60세 이상 확진자는 56,425명이고, 확진자(347,554명) 중 60세 이상 확진자의 비중은 16.2%며, 최근 1주간 16.2%~20.9% 사이를 유지하고 있다.

【확진자·위중증·사망자 예방접종력】

최근 8주간(1.23.~3.19.) 만 12세 이상 확진자의 7.4%, 위중증 환자의 45.8%, 사망자의 43.3%가 미접종자(미접종자와 1차접종 완료자를 포함)이다. ※ 만 12세 이상 미접종자 비율 5.5%

< 주차별 예방접종력 분포(1.23.~3.19.)> : 본문 참조

【재택치료】

신규 확진자 중 재택치료로 배정된 환자(3.29.0시 기준)는 307,342명으로, 수도권 157,844명, 비수도권 149,498명이다. 현재 1,703,065명이 재택치료 중이다.

【재택치료체계 현황】

재택치료자 집중관리군 대상 건강관리(1일 2회)를 위한 집중관리의료기관은 현재 1,148개소(3.29. 0시)로 38.8만 명 이상의 집중관리군을 관리할 수 있는 역량이다.
재택치료자 일반관리군 대상 전화상담·처방이 가능한 동네 의료기관은 전국 9,206개소*가 운영되고 있고, (3.28. 17시 기준)
* 운영개시 예정인 기관도 포함

- 이외 24시간 운영되는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도 전국 261개소 운영되고 있다. (3.28. 17시 기준)

재택치료 중 필요한 경우 검사, 처치, 수술, 단기입원 등 대면진료가 가능한 외래진료센터는 279개소 운영되고 있다. (3.29. 0시 기준)

재택치료 관련 전화 상담·처방 의료기관, 단기외래진료센터 등 명단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및 일부 지자체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신속항원검사 의료기관 현황】

3월 28일(17시 기준) 기준 신속항원검사를 실시하는 호흡기전담클리닉은 469개소,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은 9,550개소이다.

호흡기전담클리닉 및 진료 지정 의료기관 명단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누리집, 코로나19 누리집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붙임 > 감염병 보도준칙

공공누리 제1유형
보건복지부가 창작한 "동네 병·의원에서도 코로나 대면 진료 추진"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 담당부서 : 홍보기획담당관

홈페이지 기능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