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아프면 쉴 수 있는 사회’ 상병수당 도입 첫걸음
- 등록일 : 2022-06-15[최종수정일 : 2022-06-16]
- 조회수 : 2616
- 담당자 : 김정환
- 담당부서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중앙사고수습본부
아프면 쉴 수 있는 사회’ 상병수당 도입 첫걸음
◈ ‘아프면 쉴 수 있는 사회’ 초석 마련을 위한 상병수당 시범사업 시행
- 7월 4일부터 6개 시·군·구에서 시범사업 시작 - 단계별 시범사업 및 사회적 논의 통해 제도 운영방안 마련 예정 - ‘상병수당 시범사업 추진’을 통해 아프면 쉴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논의 본격 착수 |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본부장: 국무총리 한덕수)는 오늘 제2차장(행정안전부 장관 이상민) 주재로 정부서울청사 영상회의실에서 각 중앙부처, 17개 광역자치단체와 함께 ▲아프면 쉴 수 있는 상병수당 시범사업 시행계획 ▲2022년 지방공무원 9급 공채시험 방역관리 대책 ▲주요 지자체 코로나19 현황 및 조치사항 등을 논의하였다.
1. 아프면 쉴 수 있는 ‘상병수당 시범사업 시행계획’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보건복지부로부터 ‘아프면 쉴 수 있는 상병수당 시범사업 시행계획’을 보고받고 이를 논의하였다.
□ 상병수당은 근로자가 업무와 관련 없는 질병 또는 부상으로 아플 때 소득을 지원하는 제도로, 코로나19 확산을 계기로 ‘아프면 쉴 권리’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일부 사업장에서 근로자들이 증상이 있음에도 쉬지 못하고 출근해 집단감염으로 확산된 사례 발생
○ 이에, 2020년 7월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사회적 협약이 체결되면서 상병수당 도입에 대한 본격적 논의가 시작되었다.
□ 7월 4일에 시작되는 시범사업은 상병수당을 도입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6개 지역*에서 시행된다.
* ‘22.4월 공모를 통해 서울 종로구, 경기 부천시, 충남 천안시, 경북 포항시, 경남 창원시, 전남 순천시 등 6개 지역 선정
○ 6개 지역을 3개 그룹으로 나누어 각기 다른 상병수당 시범사업 모형을 적용하고, 모형별로 지원 대상자의 규모, 소요재정과 정책 효과를 비교·분석한다.
< 상병수당 시범사업 모형 >
구분 |
모형1 |
모형2 |
모형3 |
입원 여부 |
제한 無 |
제한 無 |
입원 |
급여 |
근로활동 불가기간 |
근로활동 불가기간 |
의료이용일수 |
대기기간/최대보장 |
7일/90일 |
14일/120일 |
3일/90일 |
지역 |
부천시, 포항시 |
종로구, 천안시 |
순천시, 창원시 |
○ 시범사업은 상병 범위에 따라 3개 모형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모형별로 보장범위와 급여기준을 서로 다르게 적용하여 효과를 분석할 계획이다.
* (모형 1) 질병유형 및 요양방법(입원·외래·재택요양) 제한 없이 상병으로 근로활동이 어려운 기간 동안 인정, 대기기간 7일, 최대 보장기간 90일
** (모형 2) 모형1과 동일하되, 대기기간 14일, 최대 보장기간 120일
*** (모형 3) 입원이 발생한 경우만 인정하고 해당 입원 및 외래 진료일수에 대해 상병수당 지급, 대기기간 3일, 최대 보장기간 90일
○ 지원 대상자는 시범사업 지역에 거주하는 취업자 및 지자체가 지정한 협력사업장의 근로자이며, 업무와 관련 없는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일을 할 수 없는 기간 동안 하루에 43,960원을 지원한다.
□ 시범사업에 따른 구체적인 상병수당 지원 요건 및 신청방법 등에 대해서는 6월 중, 별도 발표할 예정이다.
□ 보건복지부는 ’상병수당‘이 아프면 쉴 수 있는 사회의 초석을 놓기 위한 중요한 제도인 만큼 시범사업이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대상 지역의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지역주민 대상 홍보 등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 아울러, 정부는 상병수당 지원 뿐만 아니라 아픈 근로자에 대한 고용 안정과, 사회적 인식 제고 등을 통해 아프면 쉴 수 있는 제도적, 문화적 환경을 마련해 나갈 수 있도록 다각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2. 주요 방역지표 현황
【병상】
□ 6월 14일(화) 17시 기준, 전체 병상 보유량은 전일 대비 1개의 병상이 감소한 6,589병상이다.
○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8.1%, 준-중증병상 8.9%, 중등증병상 5.3%이다. 생활치료센터 가동률은 0.9%이다.
< 6.14. 17시 기준 중등도별 병상 현황 > (단위 : 개, %)
구분 (개, %) |
위중증(危重症) |
준중증(準-重症) |
중등증(中等症)병상 |
무증상·경증(輕症) |
|||||||||
중환자 전담치료병상 |
준-중환자병상 |
감염병 전담병원 |
생활치료센터 |
||||||||||
보유 (증감) |
사용 (가동률) |
가용 (증감) |
보유 (증감) |
사용 (가동률) |
가용 (증감) |
보유 (증감) |
사용 (가동률) |
가용 (증감) |
보유 (증감) |
사용 (가동률) |
가용 (증감) |
||
전국 |
1,537 |
124 |
1,413 |
2,418 |
214 |
2,204 |
2,518 |
134 |
2,384 |
116 |
1 |
115 |
|
(+0) |
8.1 |
(+1) |
(-1) |
8.9 |
(-4) |
(+0) |
5.3 |
(+16) |
(+0) |
0.9 |
(+1) |
||
수도권 |
1,172 |
75 |
1,097 |
1,800 |
97 |
1,703 |
1,319 |
41 |
1,278 |
116 |
1 |
115 |
|
(+0) |
6.4 |
(+4) |
(+0) |
5.4 |
(+4) |
(+0) |
3.1 |
(+0) |
(+0) |
0.9 |
(+1) |
||
|
중수본 |
0 |
0 |
0 |
0 |
0 |
0 |
0 |
0 |
0 |
116 |
1 |
115 |
서울 |
140 |
30 |
110 |
232 |
42 |
190 |
276 |
18 |
258 |
0 |
0 |
0 |
|
경기 |
657 |
33 |
624 |
991 |
40 |
951 |
607 |
17 |
590 |
0 |
0 |
0 |
|
인천 |
375 |
12 |
363 |
577 |
15 |
562 |
436 |
6 |
430 |
0 |
0 |
0 |
|
비수도권 |
365 |
49 |
316 |
618 |
117 |
501 |
1,199 |
93 |
1,106 |
0 |
0 |
0 |
|
(+0) |
13.4 |
(-3) |
(-1) |
18.9 |
(-8) |
(+0) |
7.8 |
(+16) |
(+0) |
0 |
(+0) |
||
|
중수본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강원 |
44 |
9 |
35 |
12 |
3 |
9 |
36 |
8 |
28 |
0 |
0 |
0 |
|
충청권 |
87 |
12 |
75 |
93 |
25 |
68 |
493 |
14 |
479 |
0 |
0 |
0 |
|
호남권 |
100 |
10 |
90 |
180 |
27 |
153 |
246 |
26 |
220 |
0 |
0 |
0 |
|
경북권 |
51 |
5 |
46 |
125 |
40 |
85 |
259 |
37 |
222 |
0 |
0 |
0 |
|
경남권 |
75 |
13 |
62 |
185 |
22 |
163 |
141 |
2 |
139 |
0 |
0 |
0 |
|
제주 |
8 |
0 |
8 |
23 |
0 |
23 |
24 |
6 |
18 |
0 |
0 |
0 |
※ 증감은 전일 대비 변동량
【위중증·사망자】
□ 6월 15일(수) 0시 기준,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93명(전일 대비 5명 감소)으로 1백 명 대 이하를 유지하고 있다.
○ 신규 사망자는 9명이고, 60세 이상이 9명(100%)이다.
○ 고위험군인 60세 이상 확진자는 1,485명이고, 확진자(9,435명) 중 60세 이상 확진자의 비중은 15.7%이며, 최근 1주간 13.6%~17.1% 사이를 유지하고 있다.
【확진자·위중증·사망자 예방접종력】
□ 최근 8주간(4.10.~6.5.) 만 12세 이상 확진자의 6.3%, 위중증 환자의 34.7%, 사망자의 41.4%가 미접종자(미접종군과 1차 접종 완료군 포함)이다.
※ 만 12세 이상 미접종자 비율 5.4%
< 주차별 예방접종력 분포>
※ [분석대상] ’22.4.10~’22.6.5. 12세 이상 확진자/위중증/사망자
|
|
|
단위:명(%) |
|||||||||||||||
주 차 |
확진 |
위중증 |
사망 |
|||||||||||||||
전체 |
미접종 |
1차 접종 완료 |
2차 접종 완료 |
3차 접종 완료 |
4차 접종 완료 |
전체 |
미접종 |
1차 접종 완료 |
2차 접종 완료 |
3차 접종 완료 |
4차 접종 완료 |
전체 |
미접종 |
1차 접종 완료 |
2차 접종 완료 |
3차 접종 완료 |
4차 접종 완료 |
|
전 체 |
2,414,053 |
129,677 |
20,719 |
579,360 |
1,644,745 |
39,552 |
2,010 |
656 |
43 |
260 |
937 |
114 |
2,167 |
829 |
66 |
297 |
840 |
135 |
(100%) |
(5.4%) |
(0.9%) |
(24.0%) |
(68.1%) |
(1.6%) |
(100.0%) |
(32.6%) |
(2.1%) |
(12.9%) |
(46.6%) |
(5.7%) |
(100.0%) |
(38.3%) |
(3.1%) |
(13.7%) |
(38.8%) |
(6.2%) |
|
4월 2주 |
820,909 |
44,615 |
7,256 |
201,629 |
559,167 |
8,242 |
618 |
203 |
14 |
80 |
298 |
23 |
820 |
323 |
28 |
109 |
314 |
46 |
(100%) |
(5.4%) |
(0.9%) |
(24.6%) |
(68.1%) |
(1.0%) |
(100.0%) |
(32.9%) |
(2.3%) |
(12.9%) |
(48.2%) |
(3.7%) |
(100.0%) |
(39.4%) |
(3.4%) |
(13.3%) |
(38.3%) |
(5.6%) |
|
4월 3주 |
499,819 |
26,663 |
4,418 |
116,604 |
346,676 |
5,458 |
405 |
138 |
8 |
62 |
182 |
15 |
508 |
197 |
19 |
70 |
198 |
24 |
(100%) |
(5.3%) |
(0.9%) |
(23.3%) |
(69.4%) |
(1.1%) |
(100.0%) |
(34.1%) |
(2.0%) |
(15.3%) |
(44.9%) |
(3.7%) |
(100.0%) |
(38.8%) |
(3.7%) |
(13.8%) |
(39.0%) |
(4.7%) |
|
4월 4주 |
325,806 |
16,950 |
2,611 |
73,337 |
229,138 |
3,770 |
297 |
101 |
8 |
33 |
142 |
13 |
283 |
115 |
4 |
29 |
124 |
11 |
(100%) |
(5.2%) |
(0.8%) |
(22.5%) |
(70.3%) |
(1.2%) |
(100.0%) |
(34.0%) |
(2.7%) |
(11.1%) |
(47.8%) |
(4.4%) |
(100.0%) |
(40.6%) |
(1.4%) |
(10.3%) |
(43.8%) |
(3.9%) |
|
5월 1주 |
232,075 |
12,466 |
1,871 |
54,641 |
159,345 |
3,752 |
219 |
71 |
6 |
24 |
108 |
10 |
193 |
75 |
2 |
27 |
74 |
15 |
(100%) |
(5.4%) |
(0.8%) |
(23.5%) |
(68.7%) |
(1.6%) |
(100.0%) |
(32.4%) |
(2.7%) |
(11.0%) |
(49.3%) |
(4.6%) |
(100.0%) |
(38.9%) |
(1.0%) |
(14.0%) |
(38.3%) |
(7.8%) |
|
5월 2주 |
205,161 |
10,800 |
1,795 |
50,840 |
136,220 |
5,506 |
202 |
65 |
2 |
25 |
100 |
10 |
163 |
56 |
4 |
27 |
65 |
11 |
(100%) |
(5.3%) |
(0.9%) |
(24.8%) |
(66.4%) |
(2.7%) |
(100.0%) |
(32.2%) |
(1.0%) |
(12.4%) |
(49.5%) |
(5.0%) |
(100.0%) |
(34.4%) |
(2.5%) |
(16.6%) |
(39.9%) |
(6.8%) |
|
5월 3주 |
152,217 |
8,102 |
1,259 |
37,483 |
99,808 |
5,565 |
126 |
32 |
2 |
24 |
46 |
22 |
102 |
33 |
4 |
21 |
30 |
14 |
(100%) |
(5.3%) |
(0.8%) |
(24.6%) |
(65.6%) |
(3.7%) |
(100.0%) |
(25.4%) |
(1.6%) |
(19.1%) |
(36.5%) |
(17.5%) |
(100.0%) |
(32.4%) |
(3.9%) |
(20.6%) |
(29.4%) |
(13.7%) |
|
5월 4주 |
106,017 |
5,903 |
898 |
26,368 |
68,460 |
4,388 |
109 |
33 |
3 |
9 |
49 |
15 |
72 |
22 |
4 |
12 |
25 |
9 |
(100%) |
(5.6%) |
(0.9%) |
(24.9%) |
(64.6%) |
(4.1%) |
(100.0%) |
(30.3%) |
(2.8%) |
(8.3%) |
(45.0%) |
(13.8%) |
(100.0%) |
(30.6%) |
(5.6%) |
(16.7%) |
(34.7%) |
(12.5%) |
|
6월 1주 |
72,049 |
4,178 |
611 |
18,458 |
45,931 |
2,871 |
34 |
13 |
0 |
3 |
12 |
6 |
26 |
8 |
1 |
2 |
10 |
5 |
(100%) |
(5.8%) |
(0.9%) |
(25.6%) |
(63.8%) |
(4.0%) |
(100.0%) |
(38.2%) |
(0.0%) |
(8.8%) |
(35.3%) |
(17.7%) |
(100.0%) |
(30.8%) |
(3.9%) |
(7.7%) |
(38.5%) |
(19.2%) |
1」 (미접종군) 코로나19 백신 미접종자 또는 1차 접종 후 14일 미경과자
(1차접종 완료군)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 후 14일 경과자 또는 2차 접종 후 14일 미경과자
(2차접종 완료군) 코로나19 백신 2차 접종 후 14일 경과자 또는 3차 접종 후 14일 미경과자
(3차접종 완료군)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 후 14일 이상 경과자
2」 국외 예방접종 후 확진, 재감염·재검출 및 주민등록번호가 불분명한 확진자의 예방접종력 제외
3」 위중증, 사망 관찰 기간인 28일 이내
4」 상기통계자료는 확진일을 기준으로 산출하였으며,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재택치료 현황】
□ 신규 확진자 중 재택치료로 배정된 환자는 9,366명으로, 수도권 4,297명, 비수도권 5,069명이다. 현재 48,180명이 재택치료 중이다. (6.15. 0시 기준)
○ 재택치료자 집중관리군 대상 건강관리(1일 2회)를 위한 집중관리의료기관은 현재 865개소(6.15. 0시)로 13만명 이상의 집중관리군을 관리할 수 있는 역량이다.
【일반의료체계 기관 현황】
□ 신속항원검사를 실시하는 의료기관은 10,446개소이다.(6.14. 17시 기준)
□ 재택치료자 일반관리군 대상 전화상담·처방이 가능한 동네 의료기관은 전국 9,681개소*가 운영되고 있고, 이외 24시간 운영되는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도 전국 234개소 운영되고 있다. (6.14. 17시 기준)
* 운영개시 예정인 기관도 포함
□ 재택치료 중 가까운 동네 병·의원에서 코로나 및 코로나 외 질환까지 대면진료가 가능하도록 외래진료센터를 지속 확충하고 있다.
○ 현재 병원급 의료기관은 860개소, 의원급 5,605개소로 총 6,465개소에서 대면진료를 실시하고 있다. (6.15. 0시 기준)
○ 대면 진료 시에는 감염위험을 최소화하고 원활한 진료를 위해 반드시 사전예약 후 의료기관을 방문하여야 한다.
3. 이동량 분석 결과
□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는 통계청이 제공한 휴대전화 이동량 자료*를 기초로 이동량 변동을 분석하였다.
* S이동통신사 이용자가 실거주하는 시군구 외에 다른 시군구의 행정동을 방문하여 30분 이상 체류한 경우를 이동 건수로 집계
○ 거리두기 해제 8주차(6.6.~6.12.) 전국 이동량은 2억 5,320만 건으로, 전 주(5.30.~6.5.) 이동량(2억 6,677만 건) 대비 5.1%(1,357만 건) 감소하였다.
- 수도권은 1억 3,200만 건으로 전 주(5.30.~6.5.) 1억 3,679만 건 대비 3.5%(479만 건) 감소하였다.
- 비수도권은 1억 2,120만건으로 전 주(5.30.~6.5.) 1억 2,997만건 대비 6.7%(877만 건) 감소하였다.
○ 코로나19 발생 이전 2019년도 동기(6.6.~6.12.) 전국 이동량은 2억 5,766만 건으로, 현재 이동량은 2019년 동기에 비해 1.7%(446만 건) 감소한 수치이다.
< 주간(월요일~일요일) 이동량 추이 분석 > (단위 : 만 건)
구분 |
1주차 (11.1.~11.7.) |
… |
3주차 (5.2.~5.8.) |
4주차 (5.9.~5.15.) |
5주차 (5.16.~5.22.) |
6주차 (5.23.~5.29.) |
7주차 (5.30.~6.5.) |
8주차 (6.6.~6.12.) |
|
거리 두기 단계 |
거리두기 이전 단계적 일상회복 (11.1~) |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4.18~) |
|||||||
주간 이동량 |
전국 |
25,141 |
- |
26,075 |
26,196 |
26,196 |
25,994 |
26,677 |
25,320 |
직전 주 대비 증감 |
- |
▲7.9% |
0.5% |
0.5% |
▲0.8% |
2.6% |
▲5.1% |
||
수도권 |
13,137 |
- |
13,904 |
13,868 |
13,868 |
13,803 |
13,679 |
13,200 |
|
직전 주 대비 증감 |
- |
▲1.2% |
▲0.3% |
▲0.3% |
▲0.5% |
▲0.9% |
▲3.5% |
||
비수도권 |
12,004 |
- |
12,171 |
12,328 |
12,328 |
12,191 |
12,997 |
12,120 |
|
직전 주 대비 증감 |
- |
▲14.6% |
1.3% |
1.3% |
▲1.1% |
6.6% |
▲6.7% |
<붙임> 감염병 보도준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