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주간 주요 방역지표 동향 분석(2.13.~2.19.)
- 등록일 : 2022-02-20[최종수정일 : 2022-02-22]
- 조회수 : 2201
- 담당자 : 이영지
- 담당부서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중앙사고수습본부
주간 주요 방역지표 동향 분석(2.13.~2.19.)
◈ 오미크론 검사·치료체계 빠르게 현장 안착 중
- 2월 3일 동네 병·의원 중심 검사‧치료체계 가동 이후 약 2주 만에 코로나 검사‧치료 참여 기관 5,289개소로 빠르게 증가(2.19 기준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 4,845개소, 호흡기전담클리닉 444개소)
◈ 확진자 수 증가 대비 위중증 환자 수 및 중증 병상 등 의료대응체계는 안정적 관리 중
- 2월 20일(0시) 기준 위중증 환자는 439명, 사망자수는 51명, 확진자 증가 속도에 비해 완만히 증가
- 전국 중증 병상 가동률은 30%대, 준중증 및 감염병 전담병원 병상 가동률은 40%대~50%대로 안정적 유지 중 (※ 해당일 0시 기준)
* 중증(2.13. 22.2% → 2.20. 32.5%), 준중증( 2.13. 43.6%→ 2.20. 56.6%),감염병 전담병원(2.13. 42.6% →2.20. 44.1%)
◈ 노바백스 백신 접종 및 면역저하자, 요양병원‧시설 추가(4차)접종 진행 중
- 2.14부터 노바백스 백신 접종 시작, 2월 3주차 18세 이상 연령 1차접종 4.3만 명, 2차접종 4.1만 명 접종, 미접종자의 접종 참여 증가 중
- 고위험군의 중증‧사망 예방을 위해 3차접종 완료 후 4개월이 경과한 면역저하자, 요양병원‧시설 입원·입소자 및 종사자는 추가(4차) 접종 적극 참여 필요
* 집단 감염 발생이 급증하는 요양병원・시설의 경우 3차접종 완료 3개월 이후부터 접종 가능
◈ 전 세계 주간 확진자 2주 연속 감소, 사망은 7주 연속 증가
- 싱가포르, 덴마크에서 발생 및 사망자 증가세, 중환자 수는 이전 유행에 비해 낮은 수준
-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스텔스 오미크론 비율이 100% 근접, 사망자 지속 증가
1. 오미크론 대응체계 전환 현황
【병·의원 검사·치료체계 전환】
□ 동네 병‧의원 검사‧치료 체계 전환(2.3.)으로 유전자증폭검사(PCR 검사) 우선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일반 국민은 호흡기전담클리닉 및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에서 신속항원검사*를 받을 수 있다.
* 신속항원검사는 개인이 약국 등에서 자가검사키트(일반용)를 구매하여 실시하거나, 의료기관(호흡기전담클리닉 및 호흡기진료 지정의료기관) 및 보건소 선별‧임시선별검사소에서 검사 가능
○ 2월 19일(17시 기준) 기준 호흡기전담클리닉은 444개소,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은 4,845개소로 2월 3일 본격 시행 이후 약 2주 만에 5,289개소로 증가하였다.
- 참고로 호흡기전담클리닉 및 진료 지정 의료기관 명단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누리집, 코로나19 누리집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재택치료체계 개편】
□ 재택치료자 모니터링 체계 개편(2.10)으로 일반관리군은 자택에서 발열 등 증상이 있을 경우 동네 병·의원에서 전화 상담·처방을 받을 수 있고, 약국에서 처방의약품을 전달받을 수 있다.
< 재택치료 모니터링 체계 개편 개요 > : 본문참조
○ 재택치료자 집중관리군 대상 건강관리(1일 2회)를 위한 관리의료기관은 현재 728개소(2.20.0시)로 20만명 이상의 집중관리군을 관리할 수 있는 역량이다.
○ 재택치료자 일반관리군 대상 전화상담·처방이 가능한 동네 의료기관은 전국 6,055개소(호흡기전담클리닉 포함)가 운영되고 있고, (2.19일 기준)
- 이외 24시간 운영되는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도 193개소 운영되고 있다. (2.19일 기준)
○ 재택치료 중 필요한 경우 검사, 처치, 수술, 단기입원 등 대면진료가 가능한 단기외래진료센터는 87개소 운영되고 있다. (2.20일 기준)
○ 재택치료 관련 전화 상담·처방 의료기관, 단기외래진료센터 등 명단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및 일부 지자체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아울러, 재택치료 생활안내, 격리해제일 등 행정적 문의 대응을 위한 재택치료 행정안내센터 241개소(2.19일 기준)가 각 지자체별로 운영되고 있다.
2. 코로나19 주요방역지표 현황
【병상】
□ 2월 20일(일) 0시 기준, 중증ㆍ준중증ㆍ중등증 병상은 25,783개로,
○ 단계적 일상회복을 시작한 2021년 11월 1일(0시, 11,594개)에 비해 총 14,189개의 병상이 확충되었으며,
- 세부적으로는 중환자 전담치료병상이 1,568개, 준-중환자 병상 2,659개, 감염병전담병원 9,962개가 확충되었다.
< ’21년 11월 1일 이후 병상 확충 현황 > (단위 : 개)
구분 | ’21.11.1. (0시) | ’22.2.20. (0시) | |||||
---|---|---|---|---|---|---|---|
보유 | 사용 | (가동률) | 보유 | 사용 | (가동률) | ||
중증 병상 | 1,083 | 489 | 45.2% | 2,651 (+1,568) | 862 | 32.5% | |
수도권 | 667 | 390 | 58.5% | 1,877 | 570 | 30.4% | |
비수도권 | 416 | 99 | 23.8% | 774 | 292 | 37.7% | |
준중증 병상 | 455 | 182 | 60.0% | 3,114 (+2,659) | 1,762 | 56.6% | |
수도권 | 276 | 204 | 73.9% | 2,343 | 1,306 | 55.7% | |
비수도권 | 179 | 69 | 38.5% | 771 | 456 | 59.1% | |
감염병 전담병원 | 10,056 | 5,172 | 51.4% | 20,018 (+9,962) | 8,830 | 44.1% | |
수도권 | 4,655 | 3,265 | 70.1% | 9,612 | 4,033 | 42.0% | |
비수도권 | 5,401 | 1,907 | 35.3% | 10,406 | 4,797 | 46.1% |
○ 정부의 적극적인 병상 확보 및 오미크론의 낮은 치명률 특성 등으로 인해 전국의 중환자 전담치료병상 가동률은 30%대, 준중증 및 감염병 전담병원 병상가동률은 40%대~50%대를 유지하고 있다.
*병상가동률(2.13.→2.20.): 중증(22.2% → 32.5%), 준중증(43.6% → 56.6%), 감염병 전담병원(42.6%) → 44.1%)
□ 2월 3주(2.13.~2.19., 0시 기준) 주간 평균 병상 가동률은,
○ 2월 2주(2.6.~2.12.)에 비해 중증 병상은 8.6%p, 준중증 병상은 0.9%p 상승하였고, 감염병 전담병원 병상은 2.0%p 감소하였다.
* 2월 2주→2월 3주 : (중증)18.7%→27.3%, (준중증) 46.3%→47.2%, (감염병 전담병원)44.6% →42.6%
< 주간(일~토) 주차별 병상 가동률 현황 > (단위: %)
구분 | 1월3주 (1.16.~1.22.) | 1월4주 (1.23.~1.29.) | 2월1주 (1.30.~2.5.) | 2월2주 (2.6.~2.12.) | 2월3주 (2.13.~2.19.) | 증감 | |
---|---|---|---|---|---|---|---|
(중증병상)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 | 25.9 | 18.6 | 15.8 | 18.7 | 27.3 | ▲8.6 | |
수도권 | 26.3 | 18.5 | 15.1 | 19.4 | 26.7 | ▲7.3 | |
비수도권 | 24.8 | 19.0 | 17.6 | 17.0 | 28.5 | ▲11.5 | |
(준중증 병상) 준-중환자 병상가동률(%) | 33.5 | 34.1 | 36.6 | 46.3 | 47.2 | ▲0.9 | |
수도권 | 34.1 | 35.1 | 36.1 | 45.5 | 44.9 | ▼0.6 | |
비수도권 | 31.9 | 31.5 | 38.4 | 49.2 | 54.5 | ▲5.3 | |
(중등증 병상) 감염병전담병원 병상가동률(%) | 30.0 | 35.7 | 39.9 | 44.6 | 42.6 | ▼2.0 | |
수도권 | 23.7 | 27.7 | 31.8 | 37.4 | 40.6 | ▲3.2 | |
비수도권 | 36.8 | 44.0 | 47.9 | 51.5 | 44.5 | ▼7.0 |
※ 해당일 0시 기준, 2월 3주 수치 변동 가능성 있음
【입원대기】
□ 입원대기는 병상여력이 회복되면서 2021년 12월 29일 0명으로 해소된 이후 지속적으로 0명이다.
【신규입원·위중증 등】
□ 2월 3주(2.13~2.19., 0시 기준) 주간 일일 평균 발생현황을 보면,
○ 신규 입원 환자는 일일 평균 1,415명으로 1주 전(2월 2주, 1,371명) 대비 44명(3.2%) 증가하였다.
○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 규모는 일일 평균 343명으로 1주 전 일일 평균(2월 1주, 275명)과 비교 시 68명(24.7%) 증가하였다.
※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규모 : 1월 3주 517명 → 1월 4주 369명 → 2월 1주 272명 → 2월 2주 275명 → 2월 3주(2.13.~2.19.) 343명
○ 사망자는 1주간 일일 평균 44명(총 309명) 발생하였고, 1주 전(2월 2주, 일일평균 27명, 총 187명)에 비해 17명(63.0%) 증가하였다.
○ 60세 이상 확진자는 일일 평균 9,199명 발생하였고, 1주 전(2월 2주, 5,382명)에 비해 3,817명(70.9%) 증가하였다. 60세 이상 확진 비중은 11.4%로 1주 전(2월 2주, 11.7%)보다 소폭 감소하였다.
※ 일일 평균 확진자 수(국내발생) : (2월 2주) 46,039명→(2월3주) 80,416명 (+34,377명, 74.7%)
○ 18세 이하 확진자는 일일 평균 21,973명이고, 1주 전(2월 2주, 10,981명)에 비해 10,992명 증가(100.1%)하였다. 18세 이하 확진 비중도 27.4%로 계속 20%대를 유지하고 있다.
<2월 3주(2.12.~2.19., 0시 기준) 주간 일일 평균 발생현황>
(주간 일일 평균) | 2월 2주(2.6.~2.12.) | 2월 3주(2.13.~2.19.) | 증감 | |
---|---|---|---|---|
신규 입원 | 1,371명 | 1,415명 | ▲ 44명 (3.2% ↑) | |
위중증(재원 중) | 275명 | 343명 | ▲ 68명 (24.7%↑) | |
사망 | 27명(1주간 총 187명) | 44명(1주간 총 309명) | ▲ 17명 (63.0%↑) | |
신규 확진자(국내발생) | 46,039명 | 80,416명 | ▲ 34,377명 (74.7%↑) | |
(60세 이상) | 5,382명 | 9,199명 | ▲ 3,817명 (70.9%↑) | |
(비중) % | 11.7% | 11.4% | ▼ 0.3%p | |
(18세 이하) | 10,981명 | 21,973명 | ▲ 10,992명 (100.1%↑) | |
(비중) % | 23.8% | 27.4% | ▲ 3.6%p |
□ 2월 20일(일) 0시 기준,
○ 신규 입원한 환자는 1,605명으로 전일 대비 126명 증가하였다.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439명(전일 대비 31명 증가)으로 어제(2.19.)부터 4백 명 대로 증가했다.
※ 단계적 일상회복 시점(’21.11.1.)의 위중증 환자 : 343명
○ 신규 사망자는 51명이고, 60세 이상이 50명(98.0%)이다.
※ 누적 사망자 7,405명, 치명률 0.38%
구분 | 2.7. | 2.8. | 2.9. | 2.10. | 2.11. | 2.12. | 2.13. | 2.14. | 2.15. | 2.16. | 2.17. | 2.18. | 2.19. | 2.20. |
---|---|---|---|---|---|---|---|---|---|---|---|---|---|---|
입원 | 1,299 | 1,369 | 1,469 | 1,393 | 1,278 | 1,432 | 1,316 | 1,219 | 1,199 | 1,686 | 1,496 | 1,507 | 1,479 | 1,605 |
위중증 | 270 | 268 | 285 | 282 | 271 | 275 | 288 | 306 | 314 | 313 | 389 | 385 | 408 | 439 |
사망자 | 13 | 36 | 21 | 20 | 49 | 33 | 36 | 21 | 61 | 39 | 36 | 45 | 71 | 51 |
3. 노바백스 백신 접종 및 면역저하자, 요양병원·시설 추가접종 안내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노바백스 백신의 국내 도입(2.9일)에 따라 2월 14일(월)부터 18세 이상 연령을 대상으로 접종을 시행 중이라고 밝혔다.
○ (예약접종) 2월 21일(월)부터 사전예약 누리집(ncvr.kdca.go.kr) 등을 통해 예약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예약이 어려운 고령층은 누리집을 통한 대리예약이나, 전화예약(1339, 지자체콜센터) 등도 가능하다.
○ (당일접종) 2월 14일(월)부터는 노바백스 백신을 보유하고 있는 당일접종 지정위탁기관(약 1.2천개소)* 또는 보건소에서 당일접종을 시행 중이며, 지정위탁기관은 3월 6일(일)까지 운영된다.
* 코로나19 예방접종 누리집(ncv.kdca.go.kr) > “예방접종 현황” > “노바백스 당일접종 지정위탁기관 현황” 메뉴에서 확인 가능
- ❶카카오톡·네이버에서 잔여백신을 예약하거나, ❷의료기관에 유선 확인 후 예비명단에 이름을 올려 당일접종 가능하다.
○ (접종현황) 2월 3주(2.13일~2.19일) 기준, 18세 이상 연령에서 1차접종은 4.3만 명, 2차접종은 4.1만 명이 신규로 접종에 참여하였다.
- 2월 14일부터 노바백스 백신 접종이 가능해짐에 따라, 전주 대비 총 1차접종 건수가 약 1.9만 건 증가(2.2주 1차 2.4만 명, 2차 6.2만 명)하였다.
- 접종 초반이기는 하나, 국민들께서 접종 경험이 많은 유전자재조합 방식으로 생산된 노바백스 백신의 도입으로 미접종자의 접종 참여가 확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에 따른 고위험군의 중증·사망을 예방하기 위하여 면역저하자와 요양병원·시설 입원·입소자 및 종사자에 대한 추가(4차)접종 계획을 발표(2.14일), 시행 중에 있다.
○ (면역저하자) 기초접종(1차·2차)으로 면역형성이 충분하지 않은 면역저하자에 대해, 추가 기초접종(3차, additional dose) 이후 부스터 접종을 통해 면역 형성을 높이고, 중증·사망을 예방하고자 한다.
- 18세 이상 면역저하자 중 3차접종을 완료한 사람은 3차접종 완료 4개월(120일) 이후*부터 mRNA 백신으로 접종 가능하다.
* 개인 사유(국외출국, 입원·치료 등)에 따라 3차접종 완료 3개월(90일) 이후부터 가능
- 2월 14일(월)부터 당일접종으로 접종받을 수 있고, 누리집(ncvr.kdca.go.kr)을 통해 예약한 후 접종도 가능하다.
○ (요양병원·시설 입원·입소자 및 종사자) 요양병원·시설 대상자의 추가(4차)접종으로 면역 형성을 제고하고, 집단 발생 증가에 따른 병원·시설 내 감염 및 전파를 억제시켜, 중증·사망을 예방하고자 한다.
- 18세 이상 요양병원·시설 입원·입소자 및 종사자 중 3차접종을 완료한 사람은 3차접종 완료 4개월(120일) 이후부터 mRNA 백신*으로 접종 가능하다.
* 단, 접종기관별 백신 수급상황에 따라 mRNA 백신 간 교차접종 가능
- 특히, 오미크론 우세종화에 따라 최근 요양병원·시설에서 집단 감염이 증가하고 있어, 3차접종 완료 3개월(90일) 이후부터 접종할 수 있도록 지자체 및 관련 부처·협회 등에 안내하였다.
□ 추진단은, “면역저하자의 면역 형성을 높이고, 요양병원·시설의 집단 발생 증가에 따른 감염을 억제시켜 중증·사망을 예방하기 위해 추가접종 대상인 고위험군이신 분들은 접종에 참여하여 주시기 바란다”고 전했다.
4. 국외발생 동향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인한 전 세계 코로나19 발생의 급증 이후 연속 2주 주간 발생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 22년 6주차(2.7.∼2.13.) 전 세계 신규발생은 1,629만명(WHO 기준)으로 전 주 대비 18% 감소하였다.
* (6주) 확진 16,291,219명(-18.0%), 사망 74,857명(+4.4%)
- 싱가포르는 최근 3주 연속 주간 발생이 역대 최다를 기록하였고 사망자도 지속 증가하고 있다. 최근 2주간 스텔스 오미크론(BA.2) 비율은 약 35%를 차지하며 증가하는 추세이고 일일 재원 중환자수는 안정적으로 유지 중(20명대)이다.
* 싱가포르 : (6주) 확진 70,004명(+51.4%), 사망 25명(+78.6%)
- 덴마크는 방역조치 해제 이후(2.1.∼) 발생이 감소세로 전환하는 듯 보였으나 최근 1주 다시 증가하여 역대 최다 확진자가 발생하였다. 입원은 증가하는 가운데 중환자 수는 1월 초보다 낮은 수준(1월 초 80명→2.10. 33명)을 유지하고 있다.
* 덴마크: (6주) 확진 322,546명(+11.5%), 사망 175명(+19.9%)
-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경우 주간 발생 정점 이후 8주 연속 감소하였으나 최근 사망자는 4주 연속 증가하고 있으며, 스텔스 오미크론(BA.2) 비율이 100%에 근접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 남아프리카공화국: (6주) 확진 17,952명(-12.8%), 사망 1,168명(+28.1%)
주요 7개국 주간 확진자 수(인구 100만 명당) 변화(’21.11.7.∼’22.2.13., WHO) : 본문 참조
【7개국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22.2.14. 기준, WHO, our world in data)】
구분 | 누적 발생(명) | 인구100만 명당 누적발생(명) | 인구100만 명당 최근 7일간 발생 (’22.2.7.∼’22.2.13.) | 예방접종률(%) (’22.2.13.) | |||||
---|---|---|---|---|---|---|---|---|---|
확진 | 사망 | 확진 | 사망 (치명률) | 확진 | 사망 | 1차 | 2차 | 3차 | |
미국 | 76,983,352 | 911,564 | 231,251 | 2,738(1.2%) | 3,717 | 51.7 | 76.0 | 64.2 | 27.6 |
프랑스 | 21,014,182 | 131,766 | 321,318 | 2,015(0.6%) | 14,885 | 34.4 | 80.0 | 77.1 | 51.1 |
영국 | 18,266,019 | 159,518 | 267,830 | 2,339(0.9%) | 6,156 | 18.7 | 77.0 | 71.5 | 55.4 |
독일 | 12,344,661 | 119,935 | 147,135 | 1,429(1.0%) | 15,758 | 14.5 | 75.4 | 74.2 | 55.0 |
일본 | 3,831,964 | 20,202 | 30,388 | 160(0.5%) | 4,950 | 7.5 | 80.5 | 79.3 | 9.5 |
이스라엘 | 3,403,167 | 9,577 | 386,724 | 1,088(0.3%) | 27,344 | 36.9 | 72.1 | 65.8 | 55.5 |
한국 | 1,350,627 | 7,081 | 26,155 | 137(0.5%) | 6,603 | 4.0 | 87.2 | 86.2 | 57.4 |
< 붙임 > 감염병 보도준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