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로고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메인네비게이션

보도자료

탄저균 배달 사고 관련 미군오산기지 조사결과

  • 등록일 : 2015-05-29[최종수정일 : 2015-06-01]
  • 조회수 : 5650
  • 담당자 : 최연화
  • 담당부서 : 질병관리본부 생물테러대응과 外

탄저균 배달 사고 관련 미군오산기지 조사결과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본부장 : 양병국)는 미 국방부로부터 주한미군 오산공군기지에 배송된 탄저균의 환경내 유출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5월 28일 주한미군과 합동으로 조사를 하였다고 밝혔다.

배송 경위와 관련하여, 주한미군(오산 미군기지)은 주한미군 통합위협인식프로그램(Integrated Threat Recognition Program)의 일환으로 개최할 예정인 유관기관 초청 시연회(‘ 15. 6. 5)에서 신규 유전자 분석장비(PCR) 소개를 위해 불활화된 상태의 탄저균 샘플을 탐지 시험 목적으로 약 4주 전에 반입하였음

* PCR : Polymerase Chain Reaction, 중합효소연쇄반응

탄저균 샘플은 포자형태의 액체상태(1m)로 3중포장한 후, 냉동처리하여 민간 배송업체(FEDEX)를 통해 배송되었고, 액체상태의 탄저균 샘플은 분말 형태보다 감염력이 현저히 낮으며 공기중에 노출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이후 관련 샘플은 BSL-2급 실험실냉동고에 보관되어 있다가 5월 21일 BSL-2급 시설 내 생물안전작업대(BSC)를 이용하여 최초 해동하여 PCR 전처리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5월 27일 미 국방부로부터 검체인 탄저균 샘플이 생존해 있을 가능성이 있으니 이를 폐기하라는 통보를 받고 미51비행단 긴급대응팀은 미CDC 폐기 프로토콜에 따라 탄저균의 생균주 진위 확인 없이 무조건 폐기하였음

* BSL : Bio-Safety Level, 생물안전등급

* BSC : Bio-Safety Cabinet

이에 주한미군(오산 공군기지)은 탄저균 포장이 개봉된 오산 공군기지내 실험실을 미 보건복지부 및 미 육군감염병연구소 프로토콜에 따라 2단계 제독을 시행하였고, 제독 확인을 위해 24시간 이후 공기 포집을 통해 실험실내 탄저균 검출 (유전자 검사) 시험을 한 결과 음성으로 판정되었지만 실험실은 잠정 폐쇄 예정임

ITRP모의훈련 준비에 참여한 인원 22명 중 탄저백신 미접종자 15명에게 백신 접종과 시프로프록사신 항생제 예방치료 처방하였으며 현재 감염 증상자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음

* ITRP : Integrated Threat Recognition Program, 주한미군 통합위협인식프로그램

주한미군은 ITRP의 생물식별능력 세트 이용을 통한 모의훈련은 불활화된 상태의 탄저균 샘플을 이용할 계획이므로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1조(고위험병원체의 분리 및 이동 신고)에 해당사항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질병관리본부에 사후 통지하였음

탄저병은 현재 국내에서 유행하는 중동호흡기증후군과는 달리 사람간 전파가 되지 않고 탄저포자를 흡입이나 접촉할 경우 감염되는 질환임

향후, 미측과 협조하여 생물학 작용제 유입시부터 검역 및 통보절차 정립, 공조체제 등 법적·제도적 보완을 통해 유사사고 방지대책을 강구하겠으며, 관계부처(외교·국방부)와 협업을 강화해 나가겠음

공공누리 제1유형
보건복지부가 창작한 "탄저균 배달 사고 관련 미군오산기지 조사결과"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 담당부서 : 홍보기획담당관

홈페이지 기능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