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로고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메인네비게이션

보도자료

이제 전국 어느 치매안심센터든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등록일 : 2020-06-30[최종수정일 : 2020-07-01]
  • 조회수 : 7016
  • 담당자 : 김현철
  • 담당부서 : 치매정책과

이제 전국 어느 치매안심센터든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7월 1일(수)부터 치매안심센터 이용 주소지 제한 완화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7월 1일(수)부터 주소지와 관계없이 어르신과 자녀들이 현재 거주하시는 곳 가까이에 있는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2017년 9월 치매국가책임제 시행 이후부터 치매안심센터는 치매 관련 통합(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사회 핵심기관으로 2019년 말 전국 256개 보건소에서 모두 정식 개소하였다.

치매안심센터는 상담, 조기검진(선별검사, 진단검사), 치매예방프로그램 및 인지지원프로그램 운영, 치매쉼터 등 경증 치매환자와 가족들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다만 그동안은 한 치매안심센터에서 등록자를 장기간 관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판단에 따라 주소지 관내 치매안심센터만 이용할 수 있었다.

- 이에 따라 자녀와 주소지를 달리 하는 어르신들의 경우 자녀의 가정에서 일정 기간 거주할 때 해당 지역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개선하여 7월 1일(수)부터는 주소지 제한이 없어져 치매 어르신과 가족들은 거주지 근처의 어느 치매안심센터든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치매 조기검진*과 일반 프로그램 참여는 어느 치매안심센터든 한 곳에서만 가능하다.

* 검진비 지원은 기존처럼 협약병원이 주소지 치매안심센터로 직접 신청

또한 치매환자 쉼터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참여자의 적응 및 참여자 간 상호작용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한 곳에서 최소한 3개월*을 이용한 후에 다른 곳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이용 기간이 3개월 미만이면 다른 치매안심센터 쉼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도록 권고

보건복지부 곽숙영 노인정책관은 “경증치매 어르신들과 자녀들이 전국 어디든 가까운 치매안심센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라고 밝혔다.

또한 “계신 곳 가까이에서 치매를 국가가 책임지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 붙임 > 치매안심센터 주요 업무

공공누리 제1유형
보건복지부가 창작한 "이제 전국 어느 치매안심센터든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 담당부서 : 홍보기획담당관

홈페이지 기능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