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왼쪽 가슴에 쥐어짜는 느낌의 통증 협심증 환자 10명 중 9명은 50대 이상
- 등록일 : 2013-01-28[최종수정일 : 2013-01-28]
- 조회수 : 10159
- 담당자 : 강하렴
- 담당부서 : 건보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왼쪽 가슴에 쥐어짜는 느낌의 통증
『협심증』환자 10명 중 9명은 50대 이상
- 전체 협심증 진료환자는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연평균 4.1%씩 ↑
- 최근 5년간 연령대별 협심증 진료환자 : 40대 이하 ↓, 50대 이상 ↑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에서 최근 5년간(2007-2011년) 심혈관계 질환 중 ‘협심증(I20)'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진료환자가 2007년 45만5천명에서 2011년에는 53만3천명으로 늘어나 연평균 4.1%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협심증’ 진료에 지출한 총진료비는 2007년 4,177억원에서 2011년 5,413억원으로 약 1.3배 증가했으며, 이 중 건강보험공단이 부담한 비용은 각각 3,175억원과 4,192억원으로 연평균 7.2%씩 상승하였다.
[연도별 ‘협심증’ 진료비 / 급여비 현황]
(단위 : 명, 천원)
구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연평균 증가율 |
---|---|---|---|---|---|---|
진료인원 | 455,076 | 462,045 | 478,614 | 503,205 | 533,489 | 4.1% |
진료비 | 417,684,940 | 449,654,778 | 489,156,449 | 522,172,632 | 541,336,816 | 6.7% |
급여비 | 317,534,307 | 339,714,139 | 370,014,870 | 404,493,608 | 419,197,506 | 7.2% |
2011년 기준 연령대별 ‘협심증’ 진료환자는 50대 이상 환자가 전체의 88%를 차지하는데, 이 중 60대가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여 전체 ‘협심증’ 진료환자의 3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연령대별 ‘협심증’ 질환 진료인원 구성비 (첨부파일 참조)
그러나 연령대별 인구수를 보정하는 경우 인구 10만명 당 ‘협심증’ 진료환자는 70대가 가장 많았으며, 남성과 여성이 각각 6,271명과 5,280명이었다.
2011년 연령대별 인구 10만명 당 ‘협심증’ 진료인원 (첨부파일 참조)
2007년부터 2011년까지 협심증 진료환자 수는 연령대별로 다른 추이를 보였는데 30대 이하와 40대는 감소 추세인 반면 50대부터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80대 이상의 경우 매년 평균적으로 14.7%씩 증가하여 2011년 협심증 환자는 2007년에 비해 1.7배 증가한 4만1,825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2007~2011년 연령대별 ‘협심증’ 진료환자 수 (첨부파일 참조)
[‘협심증’ 진료환자의 2007~2011년 연평균 증가율]
(단위 : %)
구분 | 30대 이하 | 40대 | 50대 | 60대 | 70대 | 80대 이상 |
---|---|---|---|---|---|---|
전체 | -11.8 | -6.1 | 3.4 | 3.9 | 10.3 | 14.7 |
남성 | -10.4 | -4.0 | 5.5 | 6.2 | 11.9 | 14.9 |
여성 | -14.6 | -9.7 | 0.6 | 1.4 | 9.0 | 14.6 |
작성기준
- 수진기준(양방기준, 약국제외), 2011년은 2012년 6월 지급분 반영
- 건강보험 급여실적(의료급여 제외)이며, 비급여는 제외
- 진단명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호소, 증세 등에 따라 1차진단명을 부여하고 청구한 내역중 주진단명 기준으로 발췌한 것이므로 최종 확정된 질병과는 다를 수 있음 ※ 대상 질병코드 : I20(협심증)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심장내과 양주영 교수는 협심증 환자의 증가 이유, 협심증 예방 및 관리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 협심증 환자가 증가하는 이유
협심증 환자가 점차로 증가하는 이유는 식단이 서구화됨에 따라 고혈압, 당뇨병 등과 같은 만성질환이 증가하게 되어 운동부족, 비만, 과도한 스트레스 등과 같은 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가 되는 질환이 증가하게 되고, 최근 의학적인 발전으로 평균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고령인구가 늘어나게 되고, 합병증인 동맥경화증의 증가에 따라 협심증 환자가 증가하게 된다.
- 50대 이상에서 협심증 환자가 증가하는 이유
협심증의 주된 원인은 관상동맥의 동맥경화증으로서, 혈관의 노화현상을 일컫는 동맥경화증은 20대부터 발생이 시작된다. 최근 들어서는 동맥경화증을 악화시키는 고혈압, 당뇨, 흡연 등으로 인해 동맥경화증의 진행이 빠르며, 협심증을 일으킬 정도로 진행되는 기간이 20~30년 정도 되기 때문에 50대 이상에서 협심증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 20대~40대에서는 환자가 감소한 이유
협심증의 환자가 20~40대에서 점차 감소추세를 보이는데, 이는 젊은 연령층에서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면서 운동이나 건강식을 하는 것이 영향을 주며, 주기적인 검진을 통해 위험인자를 미리 발견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를 해왔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협심증 예방 및 관리요령
- 협심증은 동맥경화증이 원인이므로 주요한 위험인자인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한데, 이러한 관리를 위해서는 적절한 약물치료와 함께 생활요법이 병용되는 것이 중요하다.
- 생활요법은 일주일에 3회 이상 운동을 하고, 저염식, 저지방 음식의 섭취와 야채, 생선과 같은 건강식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 흡연자는 절대로 금연하여야 하며, 고혈압이 있는 경우는 생활요법과 함께 항고혈압제를 투여하여 적정한 혈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중년 이후에는 이상지질혈증이 자주 나타나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에는 항고지혈증제제를 복용하여야 한다.
- 당뇨병의 경우에도 생활요법과 함께 적절한 약물치료를 시행하며 꾸준히 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당뇨병의 경우 무증상 협심증의 발생빈도가 높으므로 심혈관질환에 대한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 이밖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위험인자의 관리도 중요하지만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하여 위험인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이를 통하여 위험인자의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협심증 예방에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