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서비스이용
서비스 이용방법(절차)
- 활동지원기관을 선택하여 구체적인 급여 제공계획에 관하여 상담
(시 · 군 · 구에서 발송된 안내문 참고, 장애인활동지원 홈페이지 www.ableservice.or.kr - 정보마당 - 활동지원기관 정보 참고)
- 활동지원기관과 급여이용계약 체결
- 매월 일정액의 본인부담금을 납부하고 월 한도액 만큼 지원되는 바우처로 결제
본인부담금 : 소득수준 및 급여량에 따라 차등부담
- 본인부담금 : 소득수준 및 급여량에 따라 차등부담
- 특별지원급여에 대한 본인부담금은 면제
특별지원급여에 대한 본인부담금은 면제 - 구분, 본인 부담률, 8구간(3,645천원), 7구간(4,050천원), 6구간(4,455천원), 5구간(4,860천원), 4구간(5,265천원), 3구간(5,670천원), 2구간(6,075천원), 1구간(6,480천원)으로 구성 구분 본인 부담율 8구간
(3,645천원)7구간
(4,050천원)6구간
(4,455천원)5구간
(4,860천원)4구간
(5,265천원)3구간
(5,670천원)2구간
(6,075천원)1구간
(6,480천원)생계·의료급여수급자 면제 - - - - - - - - 차상위계층 정액 20,000 20,000 20,000 20,000 20,000 20,000 20,000 20,000 기
준
중
위
소
득70%이하 4% 145,800 162,000 164,900 164,900 164,900 164,900 164,900 164,900 120%이하 6% 164,900 164,900 164,900 164,900 164,900 164,900 164,900 164,900 180%이하 8% 164,900 164,900 164,900 164,900 164,900 164,900 164,900 164,900 180%초과 10% 164,900 164,900 164,900 164,900 164,900 164,900 164,900 164,900 특별지원급여에 대한 본인부담금은 면제 - 구분, 본인 부담률, 15구간(810천원), 14구간(1,215천원), 13구간(1,620천원), 12구간(2,025천원), 11구간(2,430천원), 10구간(2,835천원), 9구간(3,240천원)으로 구성 구분 본인 부담율 15구간
(810천원)14구간
(1,215천원)13구간
(1,620천원)12구간
(2,025천원)11구간
(2,430천원)10구간
(2,835천원)9구간
(3,240천원)생계·의료급여수급자 면제 - - - - - - - 차상위계층 정액 20,000 20,000 20,000 20,000 20,000 20,000 20,000 기
준
중
위
소
득70%이하 4% 32,400 48,600 64,800 81,000 97,200 113,400 129,600 120%이하 6% 48,600 72,900 97,200 121,500 145,800 164,900 164,900 180%이하 8% 64,800 97,200 129,600 162,000 164,900 164,900 164,900 180%초과 10% 81,000 121,500 162,000 164,900 164,900 164,900 164,900 * 활동지원급여 본인부담금 상한액은 164,900원이며, 국민연금법 제51조제1항 제1호에 따른 금액의 100분의 7에 해당하는 금액에 따라 매년 변동될수 있음
- 특별지원급여에 대한 본인부담금은 면제
급여 이용자의 권리와 의무
- 이용자 및 그 가족은 급여제공기관과 활동지원급여의 종류 및 내용에 대한 선택과 판단을 존중받으며, 이용자는 인권을 침해당하지 않고 보호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 이용자 및 그 가족은 활동지원인력을 존중하여야 하고 욕설, 폭력이나 성적 불쾌감(불필요한 신체적 접촉, 과도한 노출, 성적 농담 등) 등을 주는 행동을 하면 안 됩니다.
-
이용자 및 그 가족은 이용자 본인의 자립생활에 필요한 서비스만 요청할 수 있고 다음과 같은 요구를 할 수 없습니다.
- 이용자 또는 그 보호자가 직접 수행하는 것이 적정한 경우
- 이용자의 가족 등에 대한 지원(가족의 빨래 또는 식사준비, 집안 대청소 등)
- 이용자 또는 그 가족의 생업에 대한 지원 등
- 아래의 사유가 발생한 경우는 지자체에 알려주십시오.
- 신청자격 관련 : 30일을 초과하는 의료기관 입원, 보장시설 입소, 가사간병방문서비스 등 유사서비스 이용
- 본인부담금 관련 : 건강보험료의 변경, 기초생활 차상위 지정 및 해지
- 추가급여 관련 : 1인 가구, 출산, 학교생활, 직장생활 등
장애인활동지원 관련문의
- 보건복지부 콜센터 : 국번없이 129
- 국민연금공단 콜센터 : 국번없이 1355
- 홈페이지 : www.ableservice.or.kr
- 또는 주소지 읍 · 면 · 동 주민센터나 가까운 국민연금공단 지사로 전화주시면 친절히 상담해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