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혁
Ministry of Health & Welfare History
- 보건 · 후생 · 노동 · 주택 및 부녀문제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해 1948년 사회부 신설
- 국민보건 · 위생 · 의정 · 방역 및 약정에 관한 사항을 분장하기 위해 1949년 보건부 신설
- 의무 · 방역 · 보건 · 위생 · 약무 · 구호 · 원호 · 후생 · 주택 · 부녀문제 및 노동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해 1955년 보건부와 사회부를 통합하여 보건사회부 설립
- 보건위생 · 방역 · 의정 · 약정 · 생활보호 · 자활지원 · 여성복지 · 아동(영유아보육제외한다) · 노인 · 장애인 및 사회보장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해 1994년 보건사회부를 보건복지부로 개편
- 보건위생 · 방역 · 의정 · 약정 · 생활보호 · 자활지원 및 사회보장 · 아동(영 · 유아 보육을 포함한다) · 청소년 · 노인 · 장애인 및 가족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해 2008년 2월 보건복지부를 보건복지가족부로 개편
- 보건복지가족부의 청소년 · 가족 기능을 여성부로 이관하고 보건복지정책 중심으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해 2010년 3월 보건복지가족부를 보건복지부로 개편
보건사회부 1955~1994
근거 | 보조(보좌)기관수 | |||||||
---|---|---|---|---|---|---|---|---|
차관보 | 실 | 국 | 과 | 담당관 | ||||
2급 | 3급 | 4급 | 기타 | |||||
1955. 2. 17 (대통령령제1004호) |
6 | 22 | ||||||
|
||||||||
1957. 9. 9 (대통령령제1304호) |
6 | 22 | ||||||
|
||||||||
1960. 8. 9 (국무원령제48호) |
6 | 23 | ||||||
의정국에 치무과 신설 | ||||||||
1961. 7. 29 (각령 제73호) |
6 | 20 | 1 | |||||
원호국의 원호과 보도과 연금과를 폐지 | ||||||||
1961. 8. 25 (법률 제698호) |
6 | 20 | 1 | |||||
정부조직법 개정 - 차관 밑에 기획조정관을 둠 | ||||||||
1961. 10. 2 (각령 제198호) |
6 | 22 | 1 | |||||
|
||||||||
1962. 4. 26 (각령 제677호) |
6 | 22 | 1 | 1 | ||||
차관 밑에 "법무관"을 신설 | ||||||||
1963. 6. 18 (법률 제1092호) |
6 | 22 | 1 | 1 | ||||
정부조직법중 개정 "기획조정관"을 "기획조정관실"로 변경 | ||||||||
1963. 8. 26 (법률 제1395호) |
5 | 17 | 1 | 1 | ||||
|
||||||||
1963. 8. 31 (각령 제1501호) |
5 | 17 | 1 | 1 | ||||
국장직급을 복수직급으로 함(대통령령 제1440호 1963.8.31) | ||||||||
1963. 12. 16 | 5 | 17 | 3 | |||||
|
||||||||
1965. 1. 23 (대통령령제2041호) |
1 | 5 | 17 | 3 | ||||
총무과에 관리계 신설(총 25계) | ||||||||
1966. 7. 28 (대통령령제2670호) |
1 | 5 | 17 | 4 | ||||
기획관리실에 공보담당관을 둠(25계) | ||||||||
1967. 2. 11 (대통령령제2910호) |
1 | 5 | 21 | 4 | ||||
|
||||||||
1969. 3. 24 (대통령령제3837호) |
1 | 5 | 21 | 1 | 5 | |||
기획관리실에 "비상안전기획관 및 비상계획보좌관" 설치 | ||||||||
1970. 1. 5 (대통령령제4505호) |
1 | 5 | 20 | 2 | 9 | |||
|
||||||||
1970. 2. 13 (대통령령제4594호) |
1 | 5 | 12 | 3 | 17 | |||
|
||||||||
1970. 2. 16 (대통령령제6046호) |
1 | 5 | 11 | 3 | 15 | |||
|
||||||||
1973. 3. 10 (대통령령제6539호) |
1 | 6 | 19 | 2 | 10 | |||
|
||||||||
1973. 3. 28 (대통령령제6599호) |
1 | 6 | 19 | 3 | 9 | |||
공보담당관을 공보관(2급)으로 개편 | ||||||||
1974. 1. 4 (대통령령제7015호) |
1 | 7 | 21 | 3 | 9 | |||
|
||||||||
1975. 8. 20 (대통령령제7746호) |
1 | 8 | 28 | 4 | 9 | |||
|
||||||||
1977. 3. 12 (대통령령제8486호) |
1 | 8 | 27 | 5 | 6 | |||
|
||||||||
1977. 9. 20 (대통령령제8986호) |
1 | 8 | 27 | 6 | 5 | |||
차관 밑에 감사관(2갑)을 신설하고, 기획관리실의 감사담당관 폐지 | ||||||||
1977. 9. 23 (대통령령제9166호) |
1 | 8 | 27 | 6 | 5 | |||
각종 감시직 잡급직 43인을 정규직으로 양성화(정원 375 → 418) | ||||||||
1979. 6. 19 (대통령령제9499호) |
1 | 8 | 28 | 6 | 5 | |||
사회보험국에 보험급여과를 신설 | ||||||||
1980. 1. 5 (대통령령제9706호) |
1 | 8 | 28 | 5 | 5 | |||
환경관리관을 폐지 | ||||||||
1980. 2. 1 (대통령령제9748호) |
1 | 8 | 28 | 5 | 5 | |||
잡급직 37인을 정규직으로 양성화(정원 416 →453) | ||||||||
1981. 11. 2 (대통령령제10565호) |
1 | 6 | 24 | 3 | 5 | |||
|
||||||||
1983. 12. 31 (대통령령제11320호) |
1 | 6 | 23 | 3 | 5 | |||
사회국 해외이주과를 폐지하여 외무부로 이관 | ||||||||
1985. 2. 25 (대통령령제11637호) |
1 | 7 | 25 | 3 | 5 | |||
|
||||||||
1987. 4. 29 (대통령령제12145호) |
1 | 8 | 28 | 3 | 5 | |||
|
||||||||
1987. 12. 5 (대통령령제12295호) |
1 | 8 | 28 | 3 | 5 | |||
마약감시인력 27인 증원 (정원 536 → 563) | ||||||||
1988. 10. 12 (대통령령제12532호) |
1 | 8 | 28 | 3 | 5 | |||
마약감시인력 18인 증원 (정원 563 → 581) | ||||||||
1989. 12. 13 (대통령령제12619호) |
1 | 8 | 28 | 3 | 5 | |||
마약과를 마약관리과로 개칭하고, 마약수사업무의 검찰일원화에 따라 마약감시인력 77인을 검찰청으로 이체 | ||||||||
1990. 11. 14 (대통령령제13165호) |
2 | 6 | 34 | 5 | 7 | |||
|
||||||||
1992. 2. 17 (대통령령제13593호) |
2 | 6 | 35 | 6 | 7 | |||
|
||||||||
1992. 7. 9 (대통령령제13695호) |
2 | 6 | 35 | 6 | 8 | |||
공보관 밑에 4급 보좌관을 둠 | ||||||||
1993. 6. 15 (보건사회부령제908호) |
2 | 6 | 35 | 6 | 9 | |||
의정국에 한시조직으로 한방의료담당관 신설 | ||||||||
1994. 4. 21 (대통령령제14218호) |
2 | 6 | 32 | 6 | 1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