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알림

전체

2025학년도 간호대학 입학정원전년도 대비 1,000명 증원

  • 작성일2024-02-08 13:48
  • 조회수2,563
  • 담당자이서연
  • 담당부서간호정책과


2025학년도 간호대학 입학정원전년도 대비 1,000명 증원

- 간호계·병원계, 환자·시민사회단체 등이 참여한 「간호인력 전문위원회」에서 논의·결정 -



< 요약본 >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2025학년도 간호대학 입학정원을 2024학년도에 비해 1,000명 증원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간호대학 입학 정원은 2024년 23,883명에서 24,883명으로 늘어난다. 향후 교육부가 대학별 증원 수요를 신청받아 학교별로 증원된 입학정원을 배정할 예정이다.


  이번 증원 규모는 정부(보건복지부 및 교육부), 대한간호협회, 대한병원협회, 한국환자단체연합회, 소비자단체 등이 참여한 「간호인력 전문위원회」에서 세 차례의 논의를 거쳐 결정되었다. 


  보건복지부는 올해 간호인력 중장기 수급 추계 연구를 실시하는 한편, 그동안의 간호대학 입학정원 증원정책이 간호 현장에 미친 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러한 과학적ㆍ객관적 근거를 기반으로 2026학년도 간호대학 입학정원 또한 올해 말에 「간호인력 전문위원회」에서 심층적으로 논의하여 결정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전병왕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정부는 작년에 발표한 「간호인력 지원 종합대책」을 차질 없이 이행하여 간호사들의 근무환경을 개선하는 한편, 현장의 간호인력 부족을 개선할 수 있도록 간호인력을 단계적으로 확충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상세본 >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2025학년도 간호대학 입학정원을 2024학년도에 비해 1,000명 증원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간호대학 입학정원은 2024년 23,883명에서 24,883명으로 늘어난다.


  지난 16년간 간호대 입학정원을 약 2배 늘려온 결과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임상 간호사 수도 2배 이상 증가*했다. 그러나 여전히 다른 국가에 비해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임상 간호사는 부족하고 지역 간 간호사 수급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어 간호인력 확충이 필요한 상황이다.


     * (간호대 입학정원) (‘08) 11,686명 (’23) 23,183명(1.98배 증가) (인구 천 명당 임상 간호사) (’08) 2.16명 (‘23.12) 5.25명(2.43배 증가)



<간호대학 입학정원 및 임상활동 간호사 추이(’08~’23)>



    ** (인구 천 명당 임상 간호사) OECD 평균 8.4명(’21), 한국 5.25명(’23)


<연도별ㆍ지역별 인구 천명당 임상 간호사 수(단위: 명)> : 첨부파일 참고


  이에 정부는 2019학년도부터 전국 간호대 입학정원을 매년 전년 대비 700명씩 증원해왔다.


<연도별 입학정원 추이> : 첨부파일 참고


  2023년 간호사 면허 소지자는 약 50.9만 명이다. 이 중 의료기관 활동 간호사는 26.9만 명(52.9%)이다. 국가ㆍ지자체 간호직 공무원, 119 소방대, 장기요양시설 등 보건의료 연관기관에서 종사하는 인원을 포함한 간호사 전체 활동률*은 약 73% 수준(’20)이다. 간호사의 연령대별 재취업률 등을 고려할 때 의료현장으로 복귀할 가능성이 있는 유휴 간호사는 약 4만 명에 불과**하다.


     * / ** (출처) 2019년 간호사 활동현황과 시사점 (건강보험공단)


  간호인력에 대한 중장기 수급 추계 결과, 간호사의 업무강도를 지금의 80%로 완화한다고 가정할 경우 2035년까지 간호사 5.6만 명이 부족할 전망*이다.


     * (출처) 보건의료인력 종합계획 및 중장기 수급추계연구 (보건사회연구원)


  현재 의료현장의 간호사 수급난 개선과 미래 수급전망 등을 고려할 때 한시적으로 간호대학 입학정원 증원*과 함께 근무환경 개선을 통한 간호사 이탈 방지정책이 필요하다.


     * 인구 천 명당 간호대 졸업자 수(’20) : (韓) 42.4명 < (日) 47명, (美) 52.5명


  정부는 간호사 근무환경 개선을 위하여 지난해 6월 「간호사 교대제 개선사업」을 1년 9개월 앞당겨 전면 확대하기로 하였다. 2023년 12월 현재 88개 의료기관이 이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2024년 1월에 「간호ㆍ간병 통합서비스 제도 개선방안」에서 중증 환자가 많은 종합병원도 상급종합병원처럼 근무조당 간호사 1명이 5명의 환자를 돌볼 수 있도록 ’26년 1월부터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발표하였다.


  그리고 올해부터 신규로 시행되는 「필수의료 간호사 양성 지원사업」에서 84개 종합병원에 교육전담간호사 239명의 인건비를 지원하여 수술실, 중환자실 등 필수의료분야 숙련 간호사 약 8,100명을 양성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2028년에 간호사 국가시험을 현장 사례형 문제해결방식으로 전환하여 간호사들의 현장 적응 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현재 의료법 시행규칙을 개정하고 있다. 올해 간호대학에 실습 시뮬레이션 센터 구축비용 등을 지원하는 예산을 약 2배 늘려(‘23년 30억 원 ’24년 58억 원) 간호대학의 술기 교육여건을 개선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 전병왕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정부는 작년에 발표한 「간호인력 지원 종합대책」을 차질 없이 이행하여 간호사들의 근무환경을 개선하는 한편, 현장의 간호인력 부족 현상을 개선할 수 있도록 간호인력을 단계적으로 확충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간호인력 전문위원회 위원 구성 

첨부파일
  • hwpx 첨부파일 [보도참고자료] 2025학년도 간호대학 입학정원 전년도 대비 1,000명 증원.hwpx ( 150.82KB / 다운로드 340회 / 미리보기 141회 ) 다운로드 미리보기/음성듣기
  • pdf 첨부파일 [보도참고자료] 2025학년도 간호대학 입학정원 전년도 대비 1,000명 증원.pdf ( 329.44KB / 다운로드 377회 / 미리보기 168회 ) 다운로드 미리보기/음성듣기
공공누리 제1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