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알림

전체

1999.9.1부터 포괄수가제 시범사업 질병군 추가실시

  • 작성일1999-08-25 13:27
  • 조회수12,053
  • 담당자공보관실
  • 담당부서공보관실
■ 보건복지부는 금년 99. 9. 1부터 3차 질병별 포괄수가제도 시 범사업에 8개 소화기내과계 질병군을 추가하여 실시하기로 함. - 소화기악성종양, 위장관출혈, 복잡소화성궤양, 단순소화성궤 양, 염증성장관질환, 위장관폐색, 식도염·위장관염,기타 소화 기질환 ■ 질병별(DRG, Diagnosis Related Group) 포괄수가제란 ○ DRG란 1960년대 말부터 미국 예일대학에서 10년간에 걸쳐 개발한 입원환자 분류체계로서 입원환자들이 주진단명 및 기타진단명, 수술명, 연령, 성별, 진료결과 등에 따라 진료내용이 유사한 질 병군으로 분류되는데, 이때의 하나의 질병군을 의미함. ○ 행위별 수가제도는 투약, 처치 및 수술, 검사 등 의료행위항목에 따라 진료비를 합산하여 진료비를 결정하는 제도인 반면에 질병 별 포괄수가제란 질병군별 중증도에 따라 이미 정해진 정액진료 비를 의료행위 항목별로 따지지 않고 포괄하여 계산하는 새로운 진료비 결정방식임. ■ 금번에 추가하는 8개 질병군은 ○ 새로 추가되는 질병군은 소화기악성종양, 위장관출혈, 복잡소화 성궤양, 단순소화성궤양, 염증성장관질환, 위장관폐색, 식도염· 위장관염, 기타 소화기질환의 소화기내과계 질환 8개 질병군임. - 소화기계질환(MDC, Major Diagnostic Category 6)그룹에 속 한 모든 내과계 질병군을 대상으로 하였음. ┌────────────┬───────┬─────────────────────────┐ │ 구 분 │ 질병군수 │ 의료보험 입원건수 대비 구성비(%) │ ├─────┬──────┼───────┼─────────────────────────┤ │ MDC 6 │ 계 │19 │18.5 │ │ ├──────┼───────┼─────────────────────────┤ │ │ 외과계 │11 │6.4 │ │ ├──────┼───────┼─────────────────────────┤ │ │ 내과계 │ 8 │12.13 │ └─────┴──────┴───────┴─────────────────────────┘ ■ 이번에 소화기내과계 질병군을 추가로 실시하게 된 배경은 ○ 지난 97년 2월1일부터 현재까지 실시하고 있는 질병별 포괄수 가제 시범사업은 외과계 질병군을 주 대상으로 하고 있음. ○ 따라서 외과계 질병군과는 성격이 다른 소화기내과계 질환을 시 범사업에 추가 적용함으로서 그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현재의 질 병군별 분류체계, 모니터링체계, 수가체계 등에 대한 내과계 질 환 적용시 적절성과 문제점 등을 사전에 파악하여 그 개선방안 을 모색하기 위함. ■ 현재 실시중인 3차 포괄수가제 시범사업 현황은 ○ 3차 시범사업기간 : 99 2. 1 ~ 2000. 1. 31 ○ 99. 2. 1부터 적용중인 질병군 : 9개 질병군 - 맹장염수술, 백내장수술, 치질수술, 탈장수술, 제왕절개분만, 자궁 및 자궁부속기수술, 편도선수술, 정상분만, 단순폐렴 및 늑막염 ○ 시범기관수 및 진료비 지급현황 - 전국 649개 요양기관이 참여하고 있음. - 99. 5월 현재 시범사업 진료건은 월평균 건수 36,000건으로 의 료보험 월평균 ( 99 상반기)대비 10.39%이며, 시범사업 진료비 는 월평균 진료비 276억원으로 의료보험 월평균( 99 상반기)대 비 8.71%를 차지함. ○ 질병별 포괄수가제도하 입원진료비 부담원칙 - 급여 · 보험자부담금 : 80% · 환자본인부담금 : 20% - 비급여 : 전액 환자본인부담 · MRI, 초음파, 식대, 상급병실차액, 지정진료료 ○ 포괄수가제도에서 환자 또는 보험자가 부담하는 진료비는 고정 비와 변동비의 합산으로 결정됨. - 고정비 : 환자의 재원일수와 무관하게 주로 입원초기에 발생하 는 진료고정비 - 변동비 : 개념적으로 진료고정비를 뺀 값으로 재원일수의 증감 에 따라 변동하는 진료비 ■ 99. 9. 1 이후 달라지는 시범사업 실시내용 ○ 시범적용 질병군 수의 확대 - 종전 9개 질병군 → 17개 질병군(의료보험 총입원건수의 37.13%) - 추가대상 8개 질병군은 의료보험 입원건수의 12.13% 차지(현 행 9개 질병군은 25% 차지) ○ 시범요양기관 수 확대 지정 - 99. 9. 1부터는 시범요양기관수가 종전 649개소에서 798개소로 확대 지정하여 보다 많은 환자와 요양기관이 포괄수가로 진료 를 받거나 진료를 할 수 있도록 경험기회를 넓혔음. ○ 내과계 질병군의 고정비율 적용 - 수술 또는 분만환자의 고정비용 비율은 현행대로 50%로 하되, 단순폐렴 및 늑막염을 포함한 8개 질병군의 고정비용 비율은 현 0%에서 15%로 조정 ○ 30일이상 장기간 입원하는 내과계 질병군 입원환자 본인부담금 산정방식 조정 - 내과계 질병군 경우는 고정비율이 외과계보다 낮아 일당진 료비가 높고 재원일이 긴 환자가 상대적으로 많으며, 30일이 상 입원기간이 장기화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의료서비스 이용강 도가 낮아지는 내과계 질환 특성상 정상군 환자의 일당진료비보 다 낮아질 수 있음. - 따라서 30일이상 입원일수가 장기화되는 환자의 경우 진료비 부 담 형평성 제고를 위해 일당진료비를 정상군 일당진료비 보다 낮 은 수준으로 조정함. · 31일부터 60일까지는 정상군 일당진료비의 80%를, 61일 이상 은 60%를 차등적용 - 현재 적용중인 단순폐렴 및 늑막염의 경우도 동일 적용함. ■ 내과계 질병군 환자 본인부담금 산정 예시 < 환자 본인부담금 산정방식 > ┌──────────────────────────────────────────────┐ │ (기준수가×고정비율×0.2)+〔기준수가×(1-고정비율)×0.2×입원일수/ │ │ 평균입원일수 〕 │ │ │ │ │ │ │ └──────────────────────────────────────────────┘ ※ 일정액 : 질병별, 기관종별 기준수가중 고정비용의 20% ※ 변동액 : 일당진료비 × 입원일수(30일이후차등적용) 계산예시 1) DRG번호 16600(복잡한 주진단이 없는 충수절제술) · 기준수가 = 908,200원(종합전문요양기관), 고정비율=0.5, 정상군 입원일수 3-11일, 평균 입원일수 6.54일 (단위 : 원) ┍━━━━━┯━━━━━━┯━━━━━━━━━━━┯━━━━━━━━━━━━━━━━━┯━━━━━━┑ │입원일수 │기준수가 │일정액 │변 동 액 │환자부담금 │ │ │ │ │ │ │ ┝━━━━━┿━━━━━━┿━━━━━━━━━━━┿━━━━━━━━━━━━━━━━━┿━━━━━━┥ │2일 │908,200 │90,820 │27,774 │118,590 │ │ │ │(908,200×0.1) │(908,200원/6.54일×0.1×2일) │ │ │ │ │ │ │ │ ├─────┼──────┼───────────┼─────────────────┼──────┤ │7일 │908,200 │90,820 │97,208 │188,020 │ │ │ │(908,200×0.1) │(908,200원/6.54일×0.1×7일) │ │ │ │ │ │ │ │ ├─────┼──────┼───────────┼─────────────────┼──────┤ │15일 │908,200 │90,820 │208,303 │299,120 │ │ │ │(908,200×0.1) │(908,200원/6.54일×0.1×15일) │ │ │ │ │ │ │ │ ┕━━━━━┷━━━━━━┷━━━━━━━━━━━┷━━━━━━━━━━━━━━━━━┷━━━━━━┙ 계산예시 2) DRG번호 08900(단순 폐렴 및 늑막염, 연령>17세) · 기준수가 = 1,069,000원(종합전문요양기관), 고정비율=0.15, 정상군 입원일수 3-24일, 평균 입원일수 8.44일 (단위 : 원) ┍━━━┯━━━━━┯━━━━━━━━━━━━┯━━━━━━━━━━━━━━━━━━━━━━━┯━━━━━┑ │입원 │기준수가 │고정액 │변 동 액 │환자 │ │일수 │ │ │ │부담금 │ ┝━━━┿━━━━━┿━━━━━━━━━━━━┿━━━━━━━━━━━━━━━━━━━━━━━┿━━━━━┥ │2일 │1,069,000 │32,070 │43,060 │75,130 │ │ │ │(1,069,000×0.15×0.2) │(1,069,000원/8.44일×0.85×0.2×2일) │ │ │ │ │ │ │ │ ├───┼─────┼────────────┼───────────────────────┼─────┤ │7일 │1,069,000 │32,070 │150,720 │182,790 │ │ │ │(1,069,000×0.15×0.2) │(1,069,000원/8.44일×0.85×0.2×7일) │ │ │ │ │ │ │ │ ├───┼─────┼────────────┼───────────────────────┼─────┤ │15일 │1,069,000 │32,070 │322,980 │355,040 │ │ │ │(1,069,000×0.15×0.2) │(1,069,000원/8.44일×0.85×0.2×15일) │ │ │ │ │ │ │ │ ├───┼─────┼────────────┼───────────────────────┼─────┤ │45일 │1,069,000 │32,070 │소계; 904,340 │936,410 │ │ │ │(1,069,000×0.15×0.2) │ 30일까지; 645,960 │ │ │ │ │ │ (1,069,000원/8.44일×0.85×0.2×30일) │ │ │ │ │ │ 31-45일까지; 258,380 │ │ │ │ │ │ (1,069,000원/8.44일×0.85×0.2×0.8*×15일) │ │ │ │ │ │ │ │ │ │ │ │ │ │ │ │ │ │ │ │ ├───┼─────┼────────────┼───────────────────────┼─────┤ │65일 │1,069,000 │32,070 │소계; 1,227,330 │1,259,390 │ │ │ │(1,069,000×0.15×0.2) │ 30일까지; 645,960 │ │ │ │ │ │ (1,069,000원/8.44일×0.85×0.2×30일) │ │ │ │ │ │ 31-60일까지; 516,770 │ │ │ │ │ │ (1,069,000원/8.44일×0.85×0.2×0.8*×30일) │ │ │ │ │ │ 61-65일까지; 64,600 │ │ │ │ │ │ (1,069,000원/8.44일×0.85×0.2×0.6**×5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 * 31일 이상의 재원일수에 대해서 80% 적용 ** 61일 이상의 재원일수에 대해서 60% 적용 ■ 질병별 포괄수가제 실시에 따른 기대효과는 ○ 포괄수가제 하에서 급여범위는 초음파료, MRI료, 상급병실차액, 지정진료료, 식대의 5개 비급여 항목을 제외하고는 모두 포괄화 한 수가에 포함하고 있으므로, 나열된 5개 항목을 제외하고는 수 진자에게 별도의 추가비용을 부담시킬 수 없으므로 환자부담금이 종전제도에 비해 경감되었음. - 2차 사업결과에 의하면 행위별 수가제와 비교시 환자 1인당 정상분만은 평균 40,392원, 제왕절개분만은 평균 96,426원, 백 내장수술은 평균 130,751원을 환자가 덜 부담하였음. - 아울러 포괄수가제로 환자를 진료한 병·의원 역시 행위별 수 가 적용경우와 비교시 재원일수의 단축과 항생제 사용액의 감 소, 검사횟수의 감소 등 불필요한 서비스 감소와 수가현실화 로 환자 1인당 평균 97,558원의 진료수입 증가가 있는 등 동 제도가 병·의원으로 하여금 적정진료를 하도록 유인하고 있 어 환자와 병원 모두에게 유리한 것으로 평가되었음. - 그러나 현재 포괄수가제하에서의 보험자 부담은 행위별 수가 와 비교시 보험급여 범위 확대와 수가 수준의 현실화로 행위 별 수가보상 수준보다 높게 보상되고 있어 단기적으로는 증가 하게 되나, 행위별 수가제하에서의 의료공급자에 의한 진료량 증대에 따른 의료비 증가현상이 없어지게 되어 전면도입후 2 ~ 3년부터는 지속적으로 낮아져 보험재정 절감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됨. ○ 행위별 제도에 비하여 간편·단순화된 진료비 청구 및 심사제도 로 인한 보험관리 비용의 절감뿐만 아니라 그 간에 잦았던 진료 비 과다부담 여부에 관한 환자와 병원간의 민원발생 등 불신 발 생을 최소화할 수 있음. ■ 소화기내과계 질병군 추가실시에 따른 문제점 및 대책은 ○ 내과계 질병군 추가실시시 예상되는 문제점은 - 입원의 필요성이나 진료결과가 확실한 외과환자와 달리 내과 환자 는 병원수입 증대를 위해 불필요한 입원이나 1회 입원으로 치료를 끝내지 않은 상태에서의 재입원 유도 현상이 더 발생할 수 있으며, - 진료패턴이 외과환자와는 달리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서비스 과소 제공으로 인한 의료서비스의 질저하 가능성이 보다 높 을 수 있다 하겠음. - 그외 비용이 많이 들것으로 예상되는 중환자의 진료기피, 질병 코드 조작에 의한 진료비의 과다청구의 가능성, 무리한 환자의 조기퇴원 유도 등이 포괄수가제도하에서 발생될 수 있겠음. ○ 이에 대한 대책으로는 - 질병코드부여 지침을 개발하여 각 시범요양기관에 이를 제공하 므로서 정확한 코딩 부여원칙을 설정해 나가고, - 내과계 환자에 대한 입·퇴원적정성기준 을 관련학회 자문으로 검토하여 이를 시범요양기관에 제공하므로서 질병군 환자의 불필요한 입원과 부적절한 조기퇴원을 방지해 나가는 등 요양 기관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함. - 또한 진료비 심사기구의 현장방문에 의한 진료비 사후확인심사 를 강화하여 질병코딩 조작여부, 불필요한 재입원유도 여부, 과 소진료 제공여부에 대한 정기적 또는 수시 점검을 실시할 것이 며, 시범사업 기간중에는 시정조치내지는 시범사업 참여제한 등 행정적 조치만을 취하겠지만 본 사업시에는 점검결과에 따 라서는 현지조사와도 연계관리할 것임. ■ 향후 추진방안은 ○ 금년이 마지막 3차 시범사업이며, 3년간의 시범사업 운영결과 및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모든 요양기관으로의 전면 실시에 타 당한 질병군을 선정하게 되며, 최종 선정된 질병군은 2000. 7. 1 부터는 행위별 수가제로 지불하던 방식에서 질병별 포괄수가제 로 전환하여 지불하게 됨. ■ 8개 질병군별 기준수가표(붙임 참조) 〈붙임〉 질병군별(DRG) 기준수가( 99.9.1 적용) (단위:원) ┌──────────┬────────┬─────────┬─────────┬─────────┐ │질병군 │기관 종별 │중증도 0 │중증도 1 │중증도 2 │ │ │ │ │ │ │ ┝━━━━━━━━━━┿━━━━━━━━┿━━━━━━━━━┿━━━━━━━━━┿━━━━━━━━━┥ │1720 │의 원 │480,700 │619,000 │1,072,000 │ │소화기 ├────────┼─────────┼─────────┼─────────┤ │악성종양 │병 원 │599,200 │867,200 │1,494,000 │ │ ├────────┼─────────┼─────────┼─────────┤ │ │종 합 │764,100 │1,117,500 │1,914,400 │ │ ├────────┼─────────┼─────────┼─────────┤ │ │종합 전문 │798,400 │1,202,800 │2,001,400 │ ┝━━━━━━━━━━┿━━━━━━━━┿━━━━━━━━━┿━━━━━━━━━┿━━━━━━━━━┥ │1740 │ 의 원 │412,900 │684,400 │966,000 │ │위장관 출혈 ├────────┼─────────┼─────────┼─────────┤ │ │ 병 원 │582,200 │959,200 │1,210,300 │ │ ├────────┼─────────┼─────────┼─────────┤ │ │ 종 합 │756,700 │1,236,800 │1,554,800 │ │ ├────────┼─────────┼─────────┼─────────┤ │ │ 종합 전문 │797,800 │1,296,500 │1,628,800 │ ┝━━━━━━━━━━┿━━━━━━━━┿━━━━━━━━━┿━━━━━━━━━┿━━━━━━━━━┥ │1760 │의 원 │387,300 │571,800 │1,464,400 │ │복잡한 주진단이 ├────────┼─────────┼─────────┼─────────┤ │있는 소화성궤양 │병 원 │549,300 │798,000 │2,028,600 │ │ ├────────┼─────────┼─────────┼─────────┤ │ │종 합 │719,900 │1,025,400 │2,579,400 │ │ ├────────┼─────────┼─────────┼─────────┤ │ │종합 전문 │759,500 │1,076,700 │2,678,700 │ ┝━━━━━━━━━━┿━━━━━━━━┿━━━━━━━━━┿━━━━━━━━━┿━━━━━━━━━┥ │1770 │의 원 │233,200 │419,500 │466,500 │ │복잡한 주진단이 ├────────┼─────────┼─────────┼─────────┤ │없는 소화성궤양 │병 원 │295,100 │586,400 │654,600 │ │ ├────────┼─────────┼─────────┼─────────┤ │ │종 합 │384,100 │753,600 │845,600 │ │ ├────────┼─────────┼─────────┼─────────┤ │ │종합 전문 │413,900 │806,800 │907,800 │ ┝━━━━━━━━━━┿━━━━━━━━┿━━━━━━━━━┿━━━━━━━━━┿━━━━━━━━━┥ │1790 │ 의 원 │389,400 │870,200 │1,142,000 │ │염증성 장관질환 ├────────┼─────────┼─────────┼─────────┤ │ │ 병 원 │551,700 │1,212,800 │1,593,300 │ │ ├────────┼─────────┼─────────┼─────────┤ │ │ 종 합 │722,000 │1,554,500 │2,045,100 │ │ ├────────┼─────────┼─────────┼─────────┤ │ │종합 전문 │761,200 │1,620,400 │2,136,300 │ ┝━━━━━━━━━━┿━━━━━━━━┿━━━━━━━━━┿━━━━━━━━━┿━━━━━━━━━┥ │1800 │의 원 │159,900 │357,300 │405,400 │ │위장관 폐색 ├────────┼─────────┼─────────┼─────────┤ │ │병 원 │205,000 │500,100 │573,100 │ │ ├────────┼─────────┼─────────┼─────────┤ │ │종 합 │279,900 │644,400 │747,900 │ │ ├────────┼─────────┼─────────┼─────────┤ │ │종합 전문 │294,600 │673,900 │786,700 │ ┕━━━━━━━━━━┷━━━━━━━━┷━━━━━━━━━┷━━━━━━━━━┷━━━━━━━━━┙ ┍━━━━━━━━━━━┯━━━━━━━━┯━━━━━━━━━┯━━━━━━━━━┯━━━━━━━━━┑ │1820 │의 원 │160,100 │241,600 │413,300 │ │식도염, 위장관염 및 ├────────┼─────────┼─────────┼─────────┤ │기타 소화기 질환(성인)│병 원 │251,600 │419,500 │645,800 │ │ ├────────┼─────────┼─────────┼─────────┤ │ │종 합 │279,100 │446,000 │690,000 │ │ ├────────┼─────────┼─────────┼─────────┤ │ │종합 전문 │293,300 │480,600 │745,800 │ ┝━━━━━━━━━━━┿━━━━━━━━┿━━━━━━━━━┿━━━━━━━━━┿━━━━━━━━━┥ │1821 │ 의 원 │137,800 │142,400 │235,600 │ │식도염, 위장관염 및 ├────────┼─────────┼─────────┼─────────┤ │기타 소화기 질환(소아)│ 병 원 │216,700 │249,500 │411,000 │ │ ├────────┼─────────┼─────────┼─────────┤ │ │ 종 합 │233,300 │268,400 │439,600 │ │ ├────────┼─────────┼─────────┼─────────┤ │ │종합 전문 │252,200 │290,700 │473,900 │ ┝━━━━━━━━━━━┿━━━━━━━━┿━━━━━━━━━┿━━━━━━━━━┿━━━━━━━━━┥ │1880 │의 원 │238,700 │436,000 │877,600 │ │기타 소화기질환 ├────────┼─────────┼─────────┼─────────┤ │(성인) │병 원 │337,600 │613,200 │1,227,300 │ │ ├────────┼─────────┼─────────┼─────────┤ │ │종 합 │454,500 │795,200 │1,580,100 │ │ ├────────┼─────────┼─────────┼─────────┤ │ │종합 전문 │475,700 │855,300 │1,691,800 │ ┝━━━━━━━━━━━┿━━━━━━━━┿━━━━━━━━━┿━━━━━━━━━┿━━━━━━━━━┥ │1881 │의 원 │165,700 │347,500 │376,600 │ │기타 소화기질환 ├────────┼─────────┼─────────┼─────────┤ │(소아) │병 원 │235,500 │491,600 │658,300 │ │ ├────────┼─────────┼─────────┼─────────┤ │ │종 합 │319,100 │642,400 │858,500 │ │ ├────────┼─────────┼─────────┼─────────┤ │ │종합 전문 │334,900 │693,900 │909,700 │ ┕━━━━━━━━━━━┷━━━━━━━━┷━━━━━━━━━┷━━━━━━━━━┷━━━━━━━━━┙
공공누리 제1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