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알림

전체

\'2000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결과

  • 작성일2001-06-14 11:47
  • 조회수9,453
  • 담당자김현진
  • 담당부서
▶2000. 6- 2001. 4월까지 전국단위의 표본조사로 실시. 전국 16개 치과대학 교수들이 조사자로 참여하였으며, 구강건강상태조사와 구강건강의식조사로 나 누어 실시 ▶ 12세에서 충치를 경험한 치아 개수는 3.30 개(선진국은 1.1-1.5)이고, 그 중에서 1.01개(30.6%)는 치료받지 않은 상태로 방치. 특히 도시보다 군지역에서 치료받지 않고 방치된 치아 많았음 ◈ \''2000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 의의: ○정부가 주관하는 최초의 전국규모 조사 ○구강보건정책목표 설정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강보건정책 수립ㆍ평가의 기초자료로 활용. ○우리나라 국민 구강수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높힐 수 있는 계기 마련. □ 조사기간: 2000. 6 - 2001. 4 □ 조사대상 ○구강건강상태조사: 21,829명(2세부터 75세 이상까지) ○구강건강의식조사: 18,219명(남자 8,651명, 여자 9,568명) □ 조사방법 ○전국단위의 표본조사-3개 거주지역(대도시, 중소도시, 군지역)에서 200개 조사구를 선정. ○전국치과대학 교수 16명이 조사팀을 구성한 후 직접 방문하여 구강건강상태조사. (구강건강의식조사는 면접설문조사) □ 조사내용 ○구강건강상태조사 ―유치우식상태 ―영구치우식상태 ―치아치료필요자수 ―의치보철필요자수 ―반점치아 ―치주처치필요자수 ―기타 ○구강건강의식조사(소득, 남녀, 교육정도, 직업, 의료보장상태 별로) ―구강진료기관 이용실태 ―구강보건의식행태 ―구강건강과 관련된 보건의식행태 □ 조사결과 ○구강건강상태조사 결과 ―5세 어린이에서 5.48개의 충치 경험 ㆍ2.57개 (46.9%)는 치료를 받지 않은 상태로 방치 ㆍ군지역 어린이에서 방치된 치아가 많았음. ― 12세는 충치 경험 치아 3.30 개 ㆍ1.01개 (30.6%)는 방치된 치아 ㆍ군지역에서 방치된 치아가 보다 많았음. ―지난 30년간 선진국은 충치 감소, 우리나라는 계속 증가 ―현존하는 치아수 ㆍ65-74 세 노인: 16. 26개 ㆍ75세 이상 노인: 10. 42개 ―의치필요자율 ㆍ35-44세: 3.2% , 65-74세 40.2% ○구강건강의식조사결과 ― 전체 국민의 1/3가량이 자신의 구강건강상태가 좋지 않다고 응답. ― 2/3 가량이 자신의 구강건강 상태에 대해 걱정하고 있다고 응답. ― 여자, 노인층, 저소득층, 의료보호대상자 일수록, 자신의 구강건강상태가 좋지 않아 걱정하고 있다고 응답. □ 조사결과의 의미 ―국민 대다수가 자신의 구강건강상태가 좋지 않거나, 걱정하고 있을 정도로 심각하다고 응답 ―선진국은 충치 감소 추세, 반면 우리나라는 계속 증가상태. ㆍ12 세 아동의 충치수가 선진국의 약 3배 ― 75세 이상 노인의 현존 영구치수가 10개 ※ 따라서, 국가가 적극적으로 공중구강보건사업 전개 필요성 절실. ― 모든 연령층에서 충치를 예방할 수 있고, 가장 실천성이 높고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방법은 \"수돗물불소화사업\" □ 조사결과활용 ○실태조사결과를 체계적-과학적으로 분석(기간:2001.6-2001.12)하여 국가구강보건 기본계획을 수립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 * 실태조사한 세부결과를 첨부합니다. { 구강보건과 500-3098 }
첨부파일
공공누리 제1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