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전체
2010년 한국의 미래보건산업기술 예측
- 작성일2001-08-21 16:34
- 조회수9,035
- 담당자정미화
- 담당부서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장임원)의 미래보건산업기술예측 연구결과에 의하면 오는 2010년경에는, 현재 눈부신 생명·보건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한 연구결과가 가시화 되어 당뇨병의 병인규명, 새로운 기전의 항암제, AIDS치료제, 완전이식형 인공장기, 합성혈액 등이 실용화 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 진흥원은 보건복지부주관 \''보건의료기술진흥사업\''의 관리기관으로서, 2000년 6월부터 2001년 4월까지 11개월에 걸쳐 보건산업을 의료기술, 의약품기술, 의료공학기술, 식품과학기술, 화장품기술로 기술분류체계를 구축한 후, 총 58명의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자문위원회를 통해, 미래 유망 보건산업기술 547과제를 발굴하여 산·학·연 전문가 338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기술예측의 한 방법인 delphi법을 이용하여 그 실현시기, 중요도, 기술수준 등에 대한 기술예측조사를 실시하였다.
- 우리나라 보건산업기술수준 선진국대비 51.5%, 지속적 상승
▶ 그 결과, 우리나라 보건산업분야의 기술수준은 선진국대비 51.1% 수준정도에 이르고 있어, 1999년에 한국과학기술평가원과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 \"제2회 과학기술예측조사 결과\"에서 발표한 보건·의료 44.0%, 생명과학 41.0%와 비교해 지속적으로 기술수준이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보건산업 5대 분야별 중요도 상위과제로, 의료기술에서는 \"당뇨병의 병인 규명\", \"배아(embryo)세포발생 및 분화의 응용기술개발\", \"B, C형 간염의 병인규명\", \"초대용량규모의 유전자 정보저장을 위한 DB구축기술개발\", \"한국인 호발질환에서의 유전자발현 변화정도 규명\"등이, 의약품기술에서는 \"간염 및 간경화 치료제 개발·보급\", \"노인성 치매에 대한 유효한 치료제 개발\", \"새로운 기전의 항암제 개발\", \"암의 발생을 억제하는 암 예방제 개발\", \"효과적 당뇨병 치료제 개발\"등이 조사되었다.
또한, 의료공학기술에서는 \"생체조직공학기술을 이용한 인공조직 실용화\", \"합성혈액 개발\", \"인공관절장치 개발\", \"휴대형 혹은 이식형 인공신장 개발\", \"디지털X선 영상장치 개발\"등이, 식품과학기술에서는 \"전 식품산업체에 HACCP시스템 도입\", \"김치,장류,술 등 전통식품의 품질규격화와 제조공정의 과학적 관리화\", \"GMO관련 안전성 평가기술개발\", \"식품·포장중 위해물질의 신속자동검출시스템 개발\", \"생분해성 포장재와 환경친화적 식품포장재 사용\"등이 조사되었다.
그리고, 화장품기술에서는 \"현재의 retinoid 보다 우수한 주름개선의 신소재 개발\", \"멜라닌 생성과 미백작용의 정량적 평가 실험법 개발\", \"기미, 주근깨 등을 원인 치료하는 유효성분 개발\", \"각종 항산화제의 평가 실험법 개발\", \"합성공정 기술개발로 저가 대량생산 가능한 lecithin 및 유도체가 개발\"등이 조사되었다.
▶ 이러한 미래 유망 보건산업기술개발의 활성화를 위한 전제조건으로 산·학·연 협력 연구개발 추진체계의 구축에 의한 연구비확충, 인프라구축, 인력양성 등이 가장 시급한 제도적 과제로 나타났다.
▶ 장임원 원장은 \"공공적 성격이 강하고 국민복지와 직결되는 특성을 지닌 생명·보건산업을 국제적 경쟁우위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미래 보건산업 기술예측\"을 실시하여 이를 분야별로 세분화 된 \"기술로드맵\"으로 연계하는 중장기 사업모형을 개발해 정부와 민간부문의 연구개발 투자효율성제고는 물론 궁극적으로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국가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산업진흥기획단 2194-7403 }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