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알림

전체

2024년 제10차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심의위원회 개최

  • 작성일2024-10-25 10:11
  • 조회수2,273
  • 담당자김수원
  • 담당부서첨단재생의료및첨단바이오의약품심의위원회사무국

2024년 제10차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심의위원회 개최(10.24)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10월 24일(목) 2024년 제10차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심의위원회(이하 ‘심의위원회’라 함)를 개최하였다.

  이번 심의위원회에서는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임상연구계획 등 총 3건(중위험 3건)을 심의하였으며, 이 중 2건은 부적합 의결하고 1건은 재심의하기로 결정하였다.

  재심의 결정된 과제는 방사선 치료로 인해 발생하는 만성 직장염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 본인의 직장 상피세포에서 얻은 줄기세포로 만든 ATORM-C*를 이용하는 연구로 탐색적인 중위험 임상연구이다.

     * 자가 직장 상피 줄기세포를 분리한 후 오가노이드 배양기술로 증식시킨 세포치료제

  심의위원회에서는 관련 자료의 보완 후에 다시 논의하기로 결정하였다.

  한편 올해 제2차 및 제9차 심의위원회에서 각각 적합 의결된 2개의 고위험 임상연구가 10월에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최종 승인되었다. 

  그중 한 연구는 신규 교모세포종 환자를 대상으로 자살 유전자(cytosine deaminase)가 도입된 동종 골수 유래 중간엽줄기세포(MSC11FCD)를 이용하는 유전자 치료분야 연구로, 뇌종양 수술 직후 중간엽줄기세포를 투여하여 미세 잔존 종양을 제거함으로써 종양 재발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머지 연구는 소아조로증 환자를 대상으로 동종 골수유래 중간엽줄기세포를 이용하는 세포 치료분야 연구로, 동종 골수유래 중간엽줄기세포를 투여함으로써 소아조로증 환아의 주요 사망 원인인 급속 진행성 죽상경화증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우기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심의위원회 사무국장은 “이번 달에도 첨단재생의료를 이용하여 여러 중대·희귀·난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연구가 최종 승인되어 실시할 수 있게 되었다”라며,

  “앞으로도 사무국은 관련기관과 함께 생명이 위급하고 치료가 어려운 환자들에게 치료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국가 보건 산업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임상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사무국은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에 대한 소식과 정보를 전하기 위해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소식」을 분기별로 발간하고 있으며, 10월 25일에 10월호(제11호) 소식지를 첨단재생의료포털(www.k-arm.go.kr)에 게재할 예정이다.

<붙임> 제10차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심의위원회 개요

<별첨>「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소식」’24년 10월호(제11호)

첨부파일
  • hwpx 첨부파일 [보도참고자료] 2024년 제10차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심의위원회 개최.hwpx ( 94.05KB / 다운로드 207회 / 미리보기 162회 ) 다운로드 미리보기/음성듣기
  • pdf 첨부파일 [보도참고자료] 2024년 제10차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심의위원회 개최.pdf ( 244.1KB / 다운로드 256회 / 미리보기 171회 ) 다운로드 미리보기/음성듣기
  • pdf 첨부파일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소식 '24년 10월호.pdf ( 2.39MB / 다운로드 241회 / 미리보기 163회 ) 다운로드 미리보기/음성듣기
공공누리 제1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