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전체
노인장기요양보호정책기획단 제2차회의 결과
- 작성일2000-04-24 15:15
- 조회수12,644
- 담당자공보관실
- 담당부서공보관실
⊙ 『노인장기요양보호 정책기획단』 제2차 회의가 4월 19일 보건복지부
대회의실에서 복지부 차관(기획단장)과 학계, 관계 공무원 등 16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되었다
○ 이번 제2차 회의에서는 동 기획단 실무작업반에서 추진한 연구진행
사항을 토대로 장기요양보호 수요 추계 방안과 요양서비스 공급 방안,
그리고 서비스 공급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재정부담 증가에 어떻게
대처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활발한 토론이 있었다.
○ 수요·공급·재정 분야별 실무작업반에서는 이번 회의를 통해 정리된
사항을 바탕으로 세부적으로 소관별 연구를 진행하되 각 분야간의
연구가 보다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수시로 실무
작업반 전체회의를 갖기로 하였다.
○ 동 기획단은 오는 6월 9일(금) 제3차 회의를 개최하여 실무작업반에서
추진한 연구진행사항을 검토하기로 하였으며, 당초 예정대로 오는 8월
에는 『중간보고서』를 내놓고 12월까지는 『노인장기요양보호 정책
방향(안)』을 발표하기로 하였다.
<토론 요지 >
○ 장기요양보호 수요를 추계하기 위하여 일상생활 수행능력(Activities
of Daily Living : ADL)을 측정도구로 활용하여
①자립, ②집에서 활동가능(house-bound), ③휠체어 등 사용시 활동
가능 (chair-bound), ④ 침대생활 즉 일상생활 곤란(bed-bound) 등
생활곤란 등급을 마련하는 방안
○ 장기요양보호 서비스 공급을 추계하기 위하여 수발자(노인을 돌보는
가족 등) 유무와 일상생활 수행 능력(ADL) 개수를 조합하는 방안
【예】수발자가 전혀 없고(0=최소치) 일상생활 수행 능력(ADL)이
6개 모두 제한(최대치)인 경우는 요양보호 또는 전문요양보호
서비스 수준 제공 대상으로 분류, 즉 1인당 최대 요양보호
공급량 해당
○ 요양보호에 필요한 재정 규모는 요양 수요와 서비스 공급을 토대로
세우되, 우리나라 여건 즉, 민간자본 중심의 의료시설, 의료보험재정의
불안정, 국가재원의 한계, 장기요양보호대상의 급증등을 참작하여 결정
※ 참고사항『노인장기요양보호 정책기획단』구성·운영
- 우리나라 65세 노인 인구비율은 올해 7.1%(337만명) 수준으로 OECD
국가들 (15% 내외)에 비해서 아직 낮으나 점차 치매·중풍 등 노인성
질환이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노인요양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고,
- 이에 대비하여 보건복지부 차관을 단장으로 하고 학계 및 관련 전문가와
관련 공무원 등 14명의 위원으로 ,'99. 12.『노인장기요양보호 정책
기획단』을 구성하여 향후 노인요양정책의 『등대』역할을 할 수 있는
『노인장기요양보호 정책방향(안)』을 올해 12월까지 제시하기로 한 바
있다.
{ 노인보건과 조남권서기관 500-3067 }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