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알림

전체

레지오넬라증을 확인합시다

  • 작성일2000-05-09 09:24
  • 조회수9,523
  • 담당자공보관실
  • 담당부서공보관실
▶ 국립보건원은 호주정부로부터 4. 1∼25일사이 멜버른시에 있는 수족관을 방문했던 여행자 58명(외국인 3명포함)이 레지오넬라 증세를 보이고 있음을 통보해 옴에 따라 동 기간중 동 수족관을 방문했던 사람중에서 고열, 두통, 오한, 근육통 등 감기증세가 있으면 꼭 병·의원에서 진찰 을 받아서 확인하도록 하고, 의료기관은 동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국립 보건원에 혈청검사를 의뢰토록 당부함. ▶ 한편 국립보건원은 본격적인 여름철에 대비 병원, 호텔, 백화점 등 대형 건물의 냉각탑수 점검 및 소독에 필요한 사전조치를 취 할것을 전국 시·도에 지시하였음. < 레지오넬라증의 특징 > □ 임상특징 : 냉·온수, 냉각탑 시설 등에서 성장한 레지오넬라 박테리아 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호흡기 감염증 ○ 전구증상 : 전신권태감, 식욕부진, 두통, 근육통 생긴 뒤 하루이내 갑작스런 오한과 발열(39o-40.5oC), 기침, 복통, 설사를 흔히 동반함 ○ 임상증상 및 역학적 특징에 의해 두가지로 나뉨 - 레지오넬라증(폐렴동반) · 치사율 : 폐렴으로 입원한 환자의 39% - 비폐렴성 레지오넬라증(폰티악 열) · 사망없음 · 2∼5일 후 치료없어도 자연회복 □ 병원체 : 레지오넬라(Legionellae), 그람음성균(35종 45개 혈청형) □ 진단 ○ 호흡기 가검물의 직접면역형광 염색에 의한 원인균 배양 ○ 소변의 방사선면역분석(RIA)에 의한 항원 검출 □ 발생특징 ○ 1947년 최초환자 발생 ○ 1957년 미네소타주에서 최초 집단발병 ○ 주로 미대륙, 호주, 유럽, 아프리카 등에서 발생 ○ 연중 발생가능하나 여름, 가을철에 주로 집단발병 ○ 호발계층 - 50이상 노년층(20세 이하는 드뭄) - 흡연자, 당뇨 및 만성 폐질환자, 신장질환자, 암환자 등 - 면역결핍증, 스테로이드제제 치료자, 장기이식수술자 - 남 : 여 = 2.5 : 1 □ 전염원 및 전파방법 ○ 병원소 : 냉온수 시설, 에어컨 냉각타워, 가습기, 호흡기치료기구, 장식용 연못 등의 물 ○ 전파방법 : 호흡기 감염으로 추정됨(사람간 전파는 확인되지 않음) ○ 잠 복 기 : 레지오넬라증(5-6일), 폰티악열(24-48시간) □ 예방대책 ○ 사용치 않는 냉각탑은 반드시 비워둘 것 ○ 정기적인 냉각탑 청소 및 침전물 제거 ○ 적절한 세균성장 억제제 사용 ○ 호흡기 치료기구 사용시 수돗물 사용 금지 ○ 온수를 50oC 이상 유지할 경우 전파위험이 줄어들 수 있음 ※ 정부는 금년 8월부터 시행되는 전염병예방법에 3군전염병으로 관리할 예정에 따라 대형건물의 냉각탑수에 대한 점검을 실시하고 균 양성 시는 적절한 소독을 실시토록 적극 권고함 <참고사항 > - 연도별 레지오넬라균 양성자 확인 현황 - - > 94년(2) 95년(1) 96년(-) 97년(-) 98년(1) 99년(23) 2000년(22) { 국립보건원 방역과 380-1573 / 특수세균과 380-1468 }
공공누리 제1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