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첨단의료복합단지 개요
첨단의료복합단지 의의
첨단의료복합단지 추진배경
첨단 의료산업을 미래 핵심 전략산업으로 육성
- 의료산업의 첨단화 지연시 선진국의 국내시장 진출 확대, 개도국 추격 등으로 국내 의료산업의 급속한 경쟁력 상실 우려
- 경쟁력 약화로 인하여 최근 의료산업 분야 무역수지 적자가 지속적으로 확대
의약품 · 의료기기 무역수지 적자 : ('01) △1.6조원 → ('05) △2.7조원 → ('09) 4.1조원
- 경쟁력 약화로 인하여 최근 의료산업 분야 무역수지 적자가 지속적으로 확대
- 첨단의료분야는 미래 유망산업이나 아직 시장형성 초기단계로 전략적 집중 투자시 비교우위 시장 선점 가능
- 선진국도 이제 막 정부, 대기업 등의 주도하에 전략적 집중투자가 이루어지고 있고 개도국은 기술격차로 시장접근이 어려울 전망
- 우리의 경우, IT분야의 세계적 경쟁력, 의료분야 우수한 인적자원 등 의료산업 첨단화를 위한 필수 핵심자원을 보유
- 최근 의료산업과 BINT 융합추세로 우리의 IT 분야 비교우위 활용 여지 상승
- '90년대말 이후 BT, 의료 등 분야에서 성장가능성을 보여주는 세계적인 기초연구 성과 등이 나타나기 시작
-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국가 전체적으로 첨단제품 개발 인프라가 미흡한 실정
- 의약품 : 혁신신약 개발을 뒷받침할 만한 후보물질 도출 인프라
- 의료기기 : 첨단의료기기 설계 · 시제품제작 · 성능평가와 관련된 종합적인 인프라
- 임상시험 : 혁신신약 후보물질, 첨단의료기기 시제품 등의 임상적용 가능성 검증, 시험방법 개발 등을 위한 전문 임상시험 인프라
- 취약점을 보강하고 연구개발 투자확대를 통해, 고성장 추세를 지속하고 있는 첨단의료산업을 미래 핵심 전략산업으로 육성 필요
첨단의료복합단지 주요내용
- 의료산업을 국가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글로벌 신약과 첨단의료기기 개발에 필요한 인적 · 물적 인프라가 집적된 의료 R&D 허브
- 후보물질 도출(신약), 설계-시제품제작-성능평가(첨단의료기기), 초기 임상시험 등 민간에서 취약한 R&D 인프라 구축
- 대학 · 연구소 등의 기초연구 성과를 단지내 인프라 및 규제특례 등을 활용하여 임상시험이 가능한 수준으로 제품화
- 임상시험을 거쳐 개발된 첨단제품은 기존단지 등의 생산시설, 의료기관을 통해 국내외 의료서비스 시장에 공급 · 확산
- 국내외 병원, 연구기관, 생산기업 등과의 공동연구 활성화 등을 통해 Hub-Spoke 관계 구축
첨단의료복합단지 추진경과
- 제1차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위원장: 국무총리)에서 첨단의료복합단지 추진 결정 : '05.10.
- 제5차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에서 첨단의료복합단지조성방안 확정 : 07.6.
- 첨단의료복합단지 지정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 : '08.3.
- 첨단의료복합단지위원회 구성(위원장: 국무총리) : '08.11.
- 대구 신서지구, 충북 오송지구 2곳을 첨단의료복합단지로 선정(제5차 첨단의료복합단지위원회) : '09.8.
- 최종입지 선정에 따른 첨단의료복합단지 지정고시 : '09.12
- 단지별 조성계획 결정: '10.01.
- 대구 첨단의료복합단지 : 합성신약, IT기반 첨단의료기기로 각각 특성화 추진
-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 : 바이오신약, BT기반 첨단의료기기로 각각 특성화 추진
-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대구경북/오송) 법인 설립 : '10.12.
- '11~'13년 첨단의료복합단지 3개년 “종합계획” 수립 : '11.3.
- 대구경북 ·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 핵심인프라 건축공사 착공 : '11.10.
- 대구경북 ·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 핵심인프라 준공 : ´13.11.
- ´14~´16년 첨단의료복합단지 3개년 “종합계획” 수립 : ´13.12.
- 대구경북·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기타공공기관으로 지정 : ’15.1.
- 첨단의료복합단지 제3차 종합계획(‘17.∼’19.) 수립 : ‘17.5.
- 연구개발목적기관으로 별도 분류 : ’19.1.
- 첨단의료복합단지 제4차 종합계획(‘20.∼’24.) 수립 : ‘20.8.
첨단의료복합단지 비전 및 전략
- 비전
바이오헬스 산업 강국 국가 비전 실현을 위한 R&BD 허브 구축
- 1단계(1~3차 종합계획)
- 거점 클러스터 기반조성(~2019년)
- 2단계(4~5차 종합계획)
- 성과확산과 산업혁신의 중심(~2029년)
- 3단계(6~7차 종합계획)
- 글로벌 의료산업국 도약의 리더(2038년)
- 1단계(1~3차 종합계획)
- 목표
- 바이오헬스산업 전주기 지원 거점기관으로의 위상 확립
- 혁신신약기술 이전 및 임상진입 성공지원(건) : 61건
- 혁신의료기기기술 이전 및 시장진출 성공지원(건) : 48건
- 신성장동력 선도기업 육성 허브 실현
- 신규 창업기업 육성(건) : 36건
- 자생적 생태계 정착을 통한 혁신 클러스터 도약
- 바이오헬스 전문인력양성 : 2,595명
- 바이오헬스산업 전주기 지원 거점기관으로의 위상 확립
- 전략과제
- 첨단의료기술 R&BD 성과확산
- 신약 전주기 지원 성과확대
- 의료기기 사업화 성과확대
- 임상시험 연계·활용을 통한 성과 창출
- 기업 맞춤형 지원체계 고도화
- 창업·벤처·중소기업 밀착 지원
- 기술서비스 확대 및 고도화
- 입주기업 특화 지원프로그램 강화
- 혁신생태계 기반 클러스터 활성화
- 첨복단지 혁신생태계 기반 확립
- 산·학·연·병 상생협력체계 구축
- 국내외 클러스터 간 네트워크 강화
- 첨단의료기술 R&BD 성과확산
- 운영기반
- 안정적 예산확보와 재단 자립화 실현
- 기업지원을 위한 제도개선 및 기금마련
- 정주여건 개선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개요
조성지역
- 대구경북(신서)
- 충북 오송
총 조성면적
- 216만㎡(신서 102만㎡, 오송 113만㎡)
주요시설
- 핵심 인프라
- 신약개발지원센터
-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 첨단임상시험센터(병원)
- 연구지원시설
- 전임상센터·비임상지원센터
- (바이오)의약생산센터
- 편의시설 및 벤처연구시설
- 커뮤니케이션센터
- 벤처연구센터
사업기간
- 2009~2038년(단지조성 2009~2013년)
총 사업비
- 8조 6천억원 내외(2개지역) (시설 및 운영비 : 약 3조 7천억원, R&D투자 : 약 4조 9천억원)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모형
- 핵심인프라 구역:대학, 연구소, 출연연구원, 임상시험기관(병원), 위탁연구기관(CRO), 벤처기업
- 신약개발지원센터: 정부부담
-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 정부부담
- 첨단임상시험센터(병원) : 민간부담
- 연구지원시설 구역
- 전임상센터·비임상지원센터 : 정부부담
- (바이오)의약생산센터 : 정부부담
- 입주기관입주 구역: 금융, 투자기업
- 국내외 기업,대학 등 연구소 : 민간부담
- 국내외 전임상시험기관 : 민간부담
- one-stop비즈니스센터 : 정부부담
- 벤처연구타운 : 민간부담
- 편의시설 구역
Communication 센터(연구원 숙소 등 주거시설 포함) : 지자체부담
- 신약, 첨단의료기기 생산 기업 : 벤처기업, 금융, 투자기업
- 병원, 요양시설 등
- 국내, 외 의료서비스 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