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로고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메인네비게이션

보도자료

코로나19 환자 증가세 반전을 위한 특별 방역관리주간 운영(4.26~5.2)

  • 등록일 : 2021-04-25[최종수정일 : 2021-04-26]
  • 조회수 : 12533
  • 담당자 : 박영운
  • 담당부서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중앙사고수습본부

코로나19 환자 증가세 반전을 위한 특별 방역관리주간 운영(4.26~5.2)
- 집단감염 중 약 50%가 다중이용시설 감염, 22시 운영제한 업종의 비중 증가 - - 부처별 소관시설 주 1회 점검, 수도권·경남권은 광역자치단체장이 지역별 특별방역대책 시행 - - 일 평균환자 659.1명으로 전주 대비 37.9명 증가(6.1%)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본부장: 국무총리 직무대행 홍남기)는 오늘 홍남기 국무총리 직무대행 주재로 정부서울청사 영상회의실에서 각 중앙부처, 17개 광역자치단체와 함께 ▲주요 지자체 코로나19 현황 및 조치사항 ▲특별 방역관리주간 운영계획 등을 논의하였다.

홍남기 본부장은 백신 확보를 위한 전방위적인 노력의 결과로, 정부는 어제(4.24) 화이자사와 4천만 회분(2천만 명분)의 코로나19 백신 추가구매계약을 체결하여,

우리나라는 총 1억 9,200만 회분, 인구 9,900만 명분의 백신을 확보하였고, 이는 3차 접종, 접종연령 확대 등 만일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추가소요에도 모두 대응할 수 있는 확실하고도 충분한 물량임을 강조하였다.

또한, 홍 본부장은 최근 확진자 수가 800명 선을 위협하고 있어 이번 주가 방역 분기점이 될 수 있는 엄중하고 중차대한 시기이므로,

정부는 이번 주 첫째 ‘특단의 방역관리조치’와 둘째 ‘최고속도의 백신접종’ 2가지에 방역역량을 집중할 계획임을 발표하였다.  

① 먼저 이번 주 일주일(4.26~5.2)을 ‘특별 방역관리주간’으로 설정해 전 부처/지자체/공공기관들은 물론 기업 등 민간도 소속직원 관리, 소관시설 점검, 각자 방역노력 등의 측면에서 접촉감염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함께 전개해나갈 것을 요청하였고,

② 두 번째로 4월 말까지 300만명 접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번 주 내내 일평균 14~15만명의 접종시행이 반드시 이루어져야한다고 강조하며,  

- 지역별 백신잔고와 접종 실수요가 잘 매칭되어 금주 백신접종이 계획대로 실시되도록 방역당국/지자체/예방접종센터 등이 일사불란하게 협력대응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마지막으로 홍 본부장은, 방역이 어려워지면 어려워질수록 그만큼 방역정도가 강화되고, 방역이 강화되면 그만큼 국민 불편이 커지고 민생이 어려워지므로

이번 주 확진 반전의 변화를 가져오거나 향후 반전가능성에 대한 기대·확신을 보여주기 위해 이번 한 주간 모두 한마음 한뜻으로 방역에 힘을 모아 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1. 특별 방역관리주간 운영계획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는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 장관 권덕철)로부터 ‘특별 방역관리주간 운영계획’을 보고받고 이를 논의하였다.

지난 3주간 국내 확진자의 급격한 증가는 없으나, 매주 30~40명씩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국내 발생 일 평균 확진자 수 : (4.4∼4.10) 579.3명 → (4.11∼4.17) 621.1명 → (4.18∼4.24) 659.1명

- 특히, 수도권은 유행이 지속되고 있으며, 부산 등 경남권의 확진자도 급증하고 있다.

* 수도권 : (4.4∼4.10) 375.4명 → (4.11∼4.17) 419.1명 → (4.18∼4.24) 421.6명
경남권 : (4.4∼4.10) 78.4명 → (4.11∼4.17) 93.6명 → (4.18∼4.24) 114.4명

유행양상은 가족 지인 등 확진자 접촉(38.8%), 집단발생(28.2%), 해외 유입(3.6%), 병원·요양원(1.8%) 순으로 감염이 발생(’21.4월 기준)하고 있다.

- 집단감염은 다중이용시설 發 감염(50% 내외)이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감염 위험도가 높은 운영시간 제한(22시) 대상 업종*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 음식점·카페, 노래연습장, 실내체육시설, 목욕탕, 파티룸, 방문판매홍보관, 실내스탠딩공연장

** 13.6%(1.4∼1.17) ➝ 67.1%(3.29∼4.11)    ※ 조사 결과에 따라 추후 변동 가능

이동량은 지속 증가하여 3차 유행 직전의 11월 중순 이동량에 근접한 수준이다.

* 주말(’21.4.17.∼18.) 이동량은 6,811만 건으로, 3차 유행 전 수준(7,403만 건, ’20.11.14.∼15.)에 근접

현재의 거리두기 기간(4.12~) 중에는 급격한 환자 수 증가는 없으나, 지속적·점진적 증가 양상을 보임에 따라

- 아직 의료체계의 여력은 있으나, 앞으로 계속 환자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급격한 확산 위험이 있어 서민경제를 어렵게 하는 운영시간 제한·집합금지 등의 방역조치 강화가 불가피하다.

이에 따라, 거리두기 단계조정 전(前) 1주간(4.26(월) ~ 5.2(일))을 특별 방역관리주간으로 지정하여 증가세 반전을 도모한다.

중앙부처는 방역조치의 이행력을 강화한다.

- 먼저, 부처별 특별 방역관리주간 동안 일 1회 이상 소관 시설 방역 현장점검을 실시(실장급 이상 참여)하고 관련 협회·단체 면담을 통해 방역수칙 준수를 당부함으로써 장관책임제 이행력을 강화한다.

- 다음으로, 부처별 상시 점검단을 구성하여 수도권·경남권의 다중이용시설에 대하여 집중 점검하고 적극 제재에 나서며, 경찰청은 유흥시설 등 방역수칙 위반이 빈번한 다중이용시설에 대하여는 집중 단속을 실시한다.

- 공공부문의 방역조치 이행력 강화를 위해 재택근무·시차출퇴근 제도를 확대 적용하고, 회식·모임을 금지하며, 방역수칙 위반 여부에 대해 불시 단속할 계획이다.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방역 관리 노력을 강화한다.

- 수도권·경남권은 현재 상황을 점검하여 광역자치단체장이 특별방역대책을 마련·발표하고 1주간 시행할 계획이다.

* 광역단체장이 주재하고, 기초단체장이 참석하는 특별방역점검회의 매일 개최 및 일일점검 실시

- 또한, 집중관리 기간 중 방역수칙 위반사례를 적극적으로 적발하고 무관용 원칙에 따라 강력하게 대응한다.

- 지자체도 중앙부처와 마찬가지로 지역축제를 포함한 불요불급한 행사 및 대면회의, 회식 등 모임을 금지하고, 재택근무 확대 등 방역 관리를 강화한다.

- 아울러, 보건소에 인력을 파견하여 행정인력 중심의 역학조사 지원팀을 구성·운영하고, 예방접종센터 내 행정업무를 분담하게 하여 보건소 인력이 예방접종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한다.

방역수칙 준수 홍보 및 사업장 관리도 강화한다.

- 특별 방역관리 주간 홍보를 통해 방역수칙 준수를 당부하고 방역 긴장감을 제고할 계획이다.

- 특히, 무료 진단검사 홍보 및 적극적인 검사 권고를 통해 환자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안내를 지속한다.

- 또한, 민간부문의 재택근무, 시차 출퇴근제를 적극 권고하고 사업장의 철저한 방역수칙 준수도 할 예정이다.

2. 방역 관리 상황 및 위험도 평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매주 방역 관리 상황과 위험도를 평가하며 대응체계를 점검하고 있다.

지난 한 주(4.18.~4.24.) 1일 평균 국내 발생 환자 수는 659.1명으로 그 전 주간(411.~4.17.)의 621.2명에 비해 37.9명 증가하였다.

60세 이상의 1일 평균 국내 발생 환자 수는 158.4명으로 그 전 주간(4.11.~4.17.)의 151.4명에 비해 7.0명 증가하였다.

< 최근 방역 관리 상황 비교 >

최근 방역 관리 상황 비교
  3.28~4.3 4.4~4.10 4.11~4.17 4.18~4.24
국내발생 일일 평균 신규 확진자 수 477.3명 579.3명 621.2명 659.1명
  60세 이상 119.0명 142.3명 151.4명 158.4명
해외유입 일일 평균 신규 확진자수 18.1명 22.0명 22.1명 26.6명
집단 발생1) (신규 기준) 67건 81건 65건 34건
감염 경로 조사 중 비율 24.1% 24.1% 25.9% 30.3% (1,456/4,800)
방역망 내 관리 비율2) 41.6% 43.2% 44.4% 41.9%
즉시 가용 중환자실 622개 (4.3.21시기준) 616개 (4.10.21시기준) 611개 (4.17.21시기준) 564개 (4.24.21시기준)

1) 집단 발생 건수는 신고일 기준 (신규 확진자 수·감염경로 조사 중 비율은 보고일 기준)

2) 방역망 내 관리 비율 : 신규 확진자 중 자가격리 상태에서 확진된 사람의 비율

※ 조사 결과에 따라 추후 변동 가능

지난 한 주(4.18.~4.24.) 1일 평균 수도권 환자는 421.6명으로 지난주보다 증가하였으며, 비수도권 환자도 237.5명으로 확인하였다.

< 권역별 방역 관리 상황(4.18.~4.24.) >

권역별 방역 관리 상황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경북권 경남권 강원 제주
국내발생 일일 평균 신규 확진자 수 421.6명 40.1명 25.1명 38.0명 114.4명 17.0명 2.9명
  60대 이상 101.0명 10.9명 5.9명 9.4명 25.9명 5.1명 0.3명
즉시 가용 중환자실(4.24. 21시기준) 329개 55개 44개 35개 72개 21개 8개

정부는 선제적인 진단검사를 확대하여 적극적으로 환자를 찾고, 역학조사를 통한 추적과 격리를 실시하는 등 강화된 방역 대응을 유지하고 있다.

어제도 전국의 선별진료소를 통해 2만 1868건, 임시 선별검사소를 통해 2만 6153건을 검사하는 등 대규모 검사가 이루어졌다.

- 익명검사가 가능한 임시 선별검사소는 총 116개소*를 운영 중이며, 그간(12.14.~4.25.) 총 440만 1134건을 검사하였다.

* 수도권 : 97개소(서울 26개소, 경기 65개소, 인천 6개소)

비수도권 : 19개소(전북 6개소, 울산 3개소, 충남 3개소, 부산 2개소, 대구 1개소, 광주 1개소, 대전 1개소, 세종 1개소, 경북 1개소)

- 어제는 전국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2만 6153건을 검사하여 103명의 환자를 찾아내었다.

- 정부는 임시 선별검사소에 의료인력 400명을 배치하여 검사를 지원하고 있다.

지속적으로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병상을 확보한 결과, 병상 여력은 안정적인 상황이다.

생활치료센터는 총 37개소 6,620병상을 확보(4.24.기준)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53.4%로 3,086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 이 중 수도권 지역은 4,968병상을 확보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58.5%로 2,061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감염병전담병원은 총 8,723병상을 확보(4.24.기준)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전국 38.8%로 5,338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수도권은 2,326병상의 여력이 있다.

준-중환자병상은 총 426병상을 확보(4.24.기준)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전국 51.9%로 205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수도권은 125병상의 여력이 있다.

중환자병상은 총 766병상을 확보(4.24.기준)하고 있으며, 전국 564병상, 수도권 329병상이 남아 있다.

< 중증도별 병상 현황(4.24.기준) >

중증도별 병상 현황
구분 생활치료센터 감염병 전담병원 준-중환자병상 중환자병상
보유 가용 보유 가용 보유 가용 보유 가용
전국 6,620 3,086 8,723 5,338 426 205 766 564
수도권 4,968 2,061 3,865 2,326 281 125 472 329
  서울 2,454 1,168 1,843 1,143 84 45 217 166
경기 1,489 346 1,259 492 166 58 204 117
인천 382 261 763 691 31 22 51 46
강원 - - 362 216 5 5 24 21
충청권 304 270 905 511 46 29 65 55
호남권 254 185 1,013 772 10 3 51 44
경북권 - - 1,403 929 28 11 47 35
경남권 899 375 940 375 51 29 99 72
제주 195 195 235 209 5 3 8 8

이러한 병상 확보 노력과 함께 의료기관, 생활치료센터, 임시 선별검사소, 예방접종센터 등에 의사, 간호사 등 1,638명의 의료인력을 파견하여 치료와 검사를 지원하고 있다.

3. 코로나19 현황 및 조치사항 (서울, 경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는 서울특별시(시장 오세훈), 경기도(도지사 이재명)로부터 코로나19 현황 및 조치사항을 보고받고 이를 논의하였다.

서울특별시는 방역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노숙인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선별 진료소를 운영(4월)하고 있다.

- 서울시와 영등포구는 합동으로 4월 매주 수요일에 영등포 지역의 쪽방촌 거주민, 시설 노숙인 등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선제검사를 실시(568명)한 결과, 전원 음성으로 확인되었다.

* 4.28(수) 09시∼12시, 영등포 보현종합지원센터 내 선별진료소 운영 예정

- 서울시는 감염 취약지역에 대해 찾아가는 선별진료소 등 선제검사와 방역 지원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경기도는 지속적으로 코로나19 환자 치료를 위한 병상을 확보한 결과, 병상 여력(4.24일 기준)은 안정적인 상황이다.

- 경증환자를 치료하는 생활치료센터는 7개소로 총 1,426병상을 확보하고 있으며, 가동률은 77.0%로 172병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 준-중증/중등증 환자 병상은 총 851병상을 확보하였으며, 가동률은 64.3%로 304병상을 이용할 수 있다.

- 중환자 병상은 총 93병상을 확보하고 있으며 55병상이 남아 있다.

4. 자가격리자 관리현황 및 사회적 거리 두기 이행상황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행정안전부(장관 전해철)로부터 ‘자가격리자 관리현황 및 사회적 거리 두기 이행상황’을 보고 받고 이를 점검하였다.

  4월 24일(토) 18시 기준 자가격리 관리 대상자는 총 7만 6204명으로, 이 중 해외 입국 자가격리자는 2만 4330명, 국내 발생 자가격리자는 5만 1874명이다.

   - 전체 자가격리자는 전일 대비 2,200명 증가하였다.

 4월 24일(토)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식당·카페 4,265개소, ▲학원 2,257개소 등 22개 분야 총 1만 1892개소를 점검하여, 방역수칙 미준수 55건에 대해 현장지도하였다.

  한편, 클럽·감성주점 등 유흥시설 1,866개소를 대상으로 경찰청 등과 합동(104개반, 501명)으로 심야 시간 특별점검을 실시하였다.

 방역수칙 위반행위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고발 266건, 고발 진행 239건, 행정명령 2,103건, 계도 7,223건을 조치(’20.12.10~’21.4.24)하였다.

  주요 위반사항은 5인 이상 집합금지 위반, 22시 이후 운영시간 제한 위반, 마스크 착용 미흡 등으로 확인되었다.

< 붙임 > 1. 지역별 거리 두기 단계 현황
2. 2단계 방역조치 요약표(’21.4.12∼’21.5.2)
3. 1.5단계 방역조치 요약표(’21.4.12∼’21.5.2)
4. 사회적 거리 두기 관련 Q&A
5. 감염병 보도준칙

공공누리 제1유형
보건복지부가 창작한 "코로나19 환자 증가세 반전을 위한 특별 방역관리주간 운영(4.26~5.2)"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 담당부서 : 홍보기획담당관

홈페이지 기능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