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로고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메인네비게이션

보도자료

코로나19 상황에서 1·2차 의료급여기관이 1년간 노숙인진료시설로 지정된다

  • 등록일 : 2022-03-22[최종수정일 : 2022-03-24]
  • 조회수 : 4055
  • 담당자 : 오경희
  • 담당부서 : 자립지원과

코로나19 상황에서 1·2차 의료급여기관이 1년간 노숙인진료시설로 지정된다
- 코로나 19 상황에서「노숙인진료시설 지정 등에 관한 고시」 제정으로 노숙인 의료 접근성 개선 -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3월 22일 ’주의‘ 이상의 감염병 위기단계 발령 시 「의료급여법」에 따른 제1차 또는 제2차 의료급여기관(요양병원은 제외)을 노숙인진료시설로 지정하는 「노숙인진료시설 지정 등에 관한 고시」를 제정·고시하였다.

이번 고시 제정으로 시·군·구청장이 의료기관과 협의를 통해 지정해오던 노숙인진료시설의 범위에 「의료급여법」 상 제1·2차 의료급여기관이 별도의 절차 없이 포함됨에 따라 노숙인의 의료이용 접근성이 개선*될 전망이다.

※ 노숙인진료시설 현황(’22.2월 말 기준) : (고시 제정 전) 291개 → (고시 제정 후) 73,398개

보건복지부는 노숙인진료시설 확대에 따라 노숙인의료급여 이용 방법과 절차를 정비하였다.

앞으로 노숙인의료급여수급자도 일반 의료급여수급자와 동일하게 1차 의료급여기관을 우선 이용하고, 1차 의료급여기관의 의료급여의뢰서가 있는 경우에 2차 의료급여기관을 이용할 수 있다.
보건복지부는 이번 고시를 발령일로부터 1년간 한시적으로 시행하며, ’노숙인 의료지원 제도개선방안 연구용역‘을 통해 노숙인진료시설 확대에 따른 노숙인 의료접근성 개선 성과 및 문제점, 공공 의료지원 등 제도운영 현황을 진단하고 중장기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곽숙영 보건복지부 복지정책관은 “올해는 노숙인의료급여가 도입된 지 11년 차 되는 해로서 의료급여를 포함하여 다양한 의료지원제도가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전반적인 점검이 필요한 때이다”라며,

“노숙인 의료이용 및 제도운영 실태를 면밀히 분석하고, 노숙인 의료수요와 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더욱 공고한 노숙인 의료지원체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붙임> 1.「노숙인진료시설 지정 등에 관한 고시」주요 내용
2. 노숙인의료급여 개요 및 주요 변경사항

공공누리 제1유형
보건복지부가 창작한 "코로나19 상황에서 1·2차 의료급여기관이 1년간 노숙인진료시설로 지정된다"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 담당부서 : 홍보기획담당관

홈페이지 기능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