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로고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메인네비게이션

보도자료

2017년 지역별 장기요양기관 이용률 현황

  • 등록일 : 2018-04-10[최종수정일 : 2018-04-11]
  • 조회수 : 8212
  • 담당자 : 류제덕
  • 담당부서 : 요양보험운영과

2017년 지역별 장기요양기관 이용률 현황
- 2017년 장기요양시설 이용률은 전년 대비 1.6∼2.1%p 소폭 증가(노인요양시설 84.3%, 주야간보호시설 63.5%)
- 지역별 장기요양시설 인프라 확충 계획 수립 자료로 활용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2017년도 전국 시군구별로 장기요양기관을 대상으로 조사한『지역별 장기요양기관 이용률 현황』을 발표하였다.

작년 말 기준 전국 시군구별로 노인요양시설과 주야간보호시설의 수와 정원 대비 현원의 이용률을 조사한 것이다.

작년 말 기준 장기요양기관 이용률을 보면 노인요양시설은 84.3%, 주야간보호시설은 63.5%를 차지하였다.

지역별 이용률 현황을 볼 때 노인요양시설은 시·구별로 99.1%인 서울 마포구와 울산동구, 군별로는 전남장흥군(98.9%), 주야간보호시설은 시·구별로는 충남서산시(97.4%), 군별로는 경북영양군(100.0%)이 가장 높았다.

이는 노인에 대한 장기요양 이용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장기요양시설이 부족한 것으로, 해당 지자체의 인프라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용률 높은 지역 - 시·구별, 군별의 노인요양시설, 주야간보호시설 이용률로 구성
구분 시·구별 군별
노인요양시설 서울마포구(99.1), 울산동구(99.1), 강원동해(98.6), 
울산남구(98.4)
전남장흥(98.9), 전남완도(95.6), 충북단양(95.4)
주야간보호시설 충남서산(97.4), 부산중구(93.5), 서울서초(90.6) 경북영양(100.0), 강원영월(93.3), 충남청양(90.9)

반면, 이용률이 가장 낮은 지역을 보면 노인요양시설은 시·구별로 부산강서구(42.6%), 군별로 경북울릉군(39.1%), 주야간보호시설은 시·구별로는 충남계룡시(32.1%), 군별로는 경북의성군(11.2%)이 차지했다.

이용률 낮은 지역 - 시·구별, 군별의 노인요양시설, 주야간보호시설 이용률로 구성
구분 시·구별 군별
노인요양시설 부산강서(42.6), 경기양주(66.4), 부상사상(68.0) 경북울릉(39.1), 인천옹진(47.9), 전북무주(59.6)
주야간보호시설 충남계룡(32.1), 인천중구(37.9), 경북안동(38.2) 경북의성(11.2), 충북증평(35.5), 경남함안(39.5)

전년과 비교하면 요양시설의 이용률은 1.6%p 증가하였고, 주야간보호시설은 2.1%p 증가하였다.

지역별로 볼 때 노인요양시설은 시·구별로 부산중구(14.3%p), 군별로 전북임실군(18.1%p), 주야간보호시설은 서울광진구(32.4%p), 경북영양군(100.0%p)이 가장 높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장기요양시설 부족이 예상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인프라 확충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지자체로 판단된다.

전년도 대비 이용율 증가한 지역 - 시·구별, 군별의 노인요양시설, 주야간보호시설 이용률로 구성
구분 시·구별 군별
노인요양시설 부산중구(14.3), 부산연제(13.7), 부산수영(12.6) 전북임실(18.1), 경남남해(12.1), 전북장수(11.5)
주야간보호시설 서울광진(32.4), 부산동구(24.2), 전북김제(22.9) 경북영양(100.0), 강원정선(44.4), 전남진도(35.2)

반면, 노인요양시설은 시·구별로 경남통영시(-14.1%p), 군별로 전북무주군(-24.3%p), 주야간보호시설은 시·구별로 인천중구(-35.2%p), 군별로 충북증평군(-40.8%p)이 전년대비 이용률이 가장 많이 하락하였다.

전년도 대비 이용율 하락한 지역 - 시·구별, 군별의 노인요양시설, 주야간보호시설 이용률로 구성
구분 시·구별 군별
노인요양시설 경남통영(-14.1), 전남나주(-13.3), 부산진구(-11.2) 전북무주(-24.3), 충남금산(-18.6), 충북괴산(-11.6)
주야간보호시설 인천중구(-35.2), 충북제천(-32.7), 경기김포(-29.4) 충북증평(-40.8), 경남함안(-35.5), 충남홍성(-26.4)

향후 보건복지부는 지역간 균형성 측면을 위해 지역별 장기요양기관 이용률 현황을 매년 발표할 계획이다.

또한, 동 자료를 통해 해당 지자체가 지역별 적정기관 확보 등 지자체별 목표와 수급계획을 수립하고, 지역 내 수급여건(노인수, 인정자 대비 과잉공급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기관수를 확보해 나갈 수 있도록 유도해 나갈 예정이다.

이 자료는 보건복지부 홈페이지(www.mohw.go.kr→정보→현황)와 노인장기요양보험 홈페이지(www.longtermcare.or.kr→알림·자료실→알림방→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붙임>

  1. 17년 노인요양시설(공생포함) 시군구별 이용률
  2. 17년 주야간보호시설 시군구별 이용률
  3. 17년 노인요양시설(공생포함) 이용률(시·구 및 군 구분)
  4. 17년 주야간보호시설 이용률(시·구 및 군 구분)
  5. 전년 대비 노인요양시설(공생포함) 이용률 증감
  6. 전년 대비 주야간보호시설 이용률 증감
공공누리 제1유형
보건복지부가 창작한 "2017년 지역별 장기요양기관 이용률 현황" 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 담당부서 : 홍보기획담당관

홈페이지 기능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