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2017년 지역별 장기요양기관 이용률 현황
- 등록일 : 2018-04-10[최종수정일 : 2018-04-11]
- 조회수 : 8212
- 담당자 : 류제덕
- 담당부서 : 요양보험운영과
2017년 지역별 장기요양기관 이용률 현황
- 2017년 장기요양시설 이용률은 전년 대비 1.6∼2.1%p 소폭 증가(노인요양시설 84.3%, 주야간보호시설 63.5%)
- 지역별 장기요양시설 인프라 확충 계획 수립 자료로 활용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2017년도 전국 시군구별로 장기요양기관을 대상으로 조사한『지역별 장기요양기관 이용률 현황』을 발표하였다.
작년 말 기준 전국 시군구별로 노인요양시설과 주야간보호시설의 수와 정원 대비 현원의 이용률을 조사한 것이다.
작년 말 기준 장기요양기관 이용률을 보면 노인요양시설은 84.3%, 주야간보호시설은 63.5%를 차지하였다.
지역별 이용률 현황을 볼 때 노인요양시설은 시·구별로 99.1%인 서울 마포구와 울산동구, 군별로는 전남장흥군(98.9%), 주야간보호시설은 시·구별로는 충남서산시(97.4%), 군별로는 경북영양군(100.0%)이 가장 높았다.
이는 노인에 대한 장기요양 이용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장기요양시설이 부족한 것으로, 해당 지자체의 인프라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구분 | 시·구별 | 군별 |
---|---|---|
노인요양시설 | 서울마포구(99.1), 울산동구(99.1), 강원동해(98.6), 울산남구(98.4) |
전남장흥(98.9), 전남완도(95.6), 충북단양(95.4) |
주야간보호시설 | 충남서산(97.4), 부산중구(93.5), 서울서초(90.6) | 경북영양(100.0), 강원영월(93.3), 충남청양(90.9) |
반면, 이용률이 가장 낮은 지역을 보면 노인요양시설은 시·구별로 부산강서구(42.6%), 군별로 경북울릉군(39.1%), 주야간보호시설은 시·구별로는 충남계룡시(32.1%), 군별로는 경북의성군(11.2%)이 차지했다.
구분 | 시·구별 | 군별 |
---|---|---|
노인요양시설 | 부산강서(42.6), 경기양주(66.4), 부상사상(68.0) | 경북울릉(39.1), 인천옹진(47.9), 전북무주(59.6) |
주야간보호시설 | 충남계룡(32.1), 인천중구(37.9), 경북안동(38.2) | 경북의성(11.2), 충북증평(35.5), 경남함안(39.5) |
전년과 비교하면 요양시설의 이용률은 1.6%p 증가하였고, 주야간보호시설은 2.1%p 증가하였다.
지역별로 볼 때 노인요양시설은 시·구별로 부산중구(14.3%p), 군별로 전북임실군(18.1%p), 주야간보호시설은 서울광진구(32.4%p), 경북영양군(100.0%p)이 가장 높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장기요양시설 부족이 예상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인프라 확충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지자체로 판단된다.
구분 | 시·구별 | 군별 |
---|---|---|
노인요양시설 | 부산중구(14.3), 부산연제(13.7), 부산수영(12.6) | 전북임실(18.1), 경남남해(12.1), 전북장수(11.5) |
주야간보호시설 | 서울광진(32.4), 부산동구(24.2), 전북김제(22.9) | 경북영양(100.0), 강원정선(44.4), 전남진도(35.2) |
반면, 노인요양시설은 시·구별로 경남통영시(-14.1%p), 군별로 전북무주군(-24.3%p), 주야간보호시설은 시·구별로 인천중구(-35.2%p), 군별로 충북증평군(-40.8%p)이 전년대비 이용률이 가장 많이 하락하였다.
구분 | 시·구별 | 군별 |
---|---|---|
노인요양시설 | 경남통영(-14.1), 전남나주(-13.3), 부산진구(-11.2) | 전북무주(-24.3), 충남금산(-18.6), 충북괴산(-11.6) |
주야간보호시설 | 인천중구(-35.2), 충북제천(-32.7), 경기김포(-29.4) | 충북증평(-40.8), 경남함안(-35.5), 충남홍성(-26.4) |
향후 보건복지부는 지역간 균형성 측면을 위해 지역별 장기요양기관 이용률 현황을 매년 발표할 계획이다.
또한, 동 자료를 통해 해당 지자체가 지역별 적정기관 확보 등 지자체별 목표와 수급계획을 수립하고, 지역 내 수급여건(노인수, 인정자 대비 과잉공급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기관수를 확보해 나갈 수 있도록 유도해 나갈 예정이다.
이 자료는 보건복지부 홈페이지(www.mohw.go.kr→정보→현황)와 노인장기요양보험 홈페이지(www.longtermcare.or.kr→알림·자료실→알림방→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붙임>
- 17년 노인요양시설(공생포함) 시군구별 이용률
- 17년 주야간보호시설 시군구별 이용률
- 17년 노인요양시설(공생포함) 이용률(시·구 및 군 구분)
- 17년 주야간보호시설 이용률(시·구 및 군 구분)
- 전년 대비 노인요양시설(공생포함) 이용률 증감
- 전년 대비 주야간보호시설 이용률 증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