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정신건강복지법 바로알기
정확한 수치들은 있나요?
정신질환 평생유병률
- 2001년 남자 38.4%, 여자 22.4% 전체 29.9%
- 2006년 남자 37.6%, 여자 19.6% 전체 26.7%
- 2011년 남자 32.0% 여자 22.8% 전체 27.4%
- 2016년 남자 29.8% 여자 23.1% 전체 26.6%
정신질환 일년유병률
- 2001년 남자 22.8% 여자 15.0% 전체 18.5%
- 2006년 남자 20.3% 여자 11.9% 전체 15.2%
- 2011년 남자 16.0% 여자 14.7% 전체 15.4%
- 2016년 남자 13.5% 여자 12.1% 전체 12.8%
한국의 강제입원 비율
한국의 강제입원 비율
- 2005년 90.3%
- 2006년 89.3%
- 2007년 88.4%
- 2008년 84.2%
- 2009년 80.4%
- 2010년 77.2%
- 2011년 76.3%
- 2012년 73.5%
- 2013년 71.0%
- 2014년 67.6%
- 2015년 65.2%
- 2016년 61.6%
각국의 정신질환으로 인한 강제 입원 비율
한국 : 61.6% / 독일 : 17% / 영국 : 13.5% / 이탈리아 : 12%
각국의 10만 명 당 정신보건인력
자료원 : Mental health Atlas country profile. WHO. 2015
각국의 10만 명 당 정신보건인력
- 영국(’13) : 318.9
- 미국(’13) : 125.2
- 핀란드(’13) : 99.2
- 한국(’15) : 42.0
정신보건서비스 이용률
정신보건서비스 이용률
- 미국 : 39.2%
- 뉴질랜드 : 38.9%
- 호주 : 34.7%
- 한국 : 15.3%
정신건강 문제 발생 후 최초 정신보건서비스 이용까지 걸리는 기간
정신보건서비스 이용률
- 한국 : 84주
- 미국 : 52주
- 영국 : 30주
정신의료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이유
미이용 사유 | 모든 정신 장애 |
---|---|
나는 정신질환이 없다(정신건강상의 문제가 없다)고 생각했다. | 82.7 |
그 정도 문제는 스스로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 77.0 |
문제가 저절로 좋아질 거라고 생각했다. | 49.8 |
문제로 인해 많이 괴롭지 않았다. | 41.2 |
문제가 저절로 좋아졌다. | 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