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검색어
통합검색
뉴스/법령 : 206 건
-
- 「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 일부개정 2024.12.27.
- 5항까지, 제9조제1항, 제11조제1항, 제12조제2항 및 제13조 제1항·제3항에 의한 「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보건복지부 고시 제2024-269호, 2024.12.24.)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발령합니다. 2024년 12월 27일 보건복지부장관 「건강보험 행위 급여·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 일부개정 가. 주요 개정사항 ○ '25년...
- 홈 > 정보 > 법령 > 훈령/예규/고시/지침
-
-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 일부개정 2023.12.13.
- 규칙」 제5조제2항에 의한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보건복지부 고시 제2023-235호, 2023.12.11.)」을 다음과 같이 개정ㆍ발령합니다. 2023년 12월 13일 보건복지부 장관 ○ 주요내용 : 신생아 외 2세미만 입원 시, 입원기간 중 만 2세를 기산점으로 한 본인부담률 0% → 5% 적용 등 본인일부부담금 면제 ○ 시행일 : 2024. 1. 1. ○ 문의 : 보험급여과...
- 홈 > 정보 > 법령 > 훈령/예규/고시/지침
-
- 「의료급여수가의 기준 및 일반기준」일부개정 2021.04.20.
- 제2021-64호, 2021.2.26.)을 다음과 같이 개정발령합니다. 2021년 4월 20일 보 건 복 지 부 장 관 개정이유 및 주요 내용 의료급여법 시행령 개정(대통령령 제31633호, 2021.4.20.)으로 항정신병 장기지속형주사제에 대한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외래 본인부담률이 인하(10% 5%)됨에 따라 필요한 사항을 정비하고자 함 시행일 : 21.4.20. ※ 문의처 : 보건복지부 기초의료보장과...
- 홈 > 정보 > 법령 > 훈령/예규/고시/지침
이미지/동영상 : 185 건
-
2025년도 기준 중위소득 6.42%로 역대 최대 인상 2024.07.29.
-
2025년도 기준 중위소득 6.42%로 역대 최대 인상 2024.07.29.
-
필수의료체계 지속 유지 위한 수련병원 건강보험 선지급 추진 2024.05.14.
-
2023년 제9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개최 2023.06.01.
정보 : 23 건
-
- 2024년 사회복지시설 관리안내 2024.01.10.
- 2024년 사회복지시설 관리안내입니다. * 오기 정정 안내 9. 사회복지시설 평가 > 다. 평가결과 사후관리 > 금전적 인센티브 제공 (p.64) 구분 우수시설 개선시설 대상 총점기준 상위 5% 내외 이전 평가대비 개선점수 기준 상위 3% 내외 지원내용 시설당 7,000천원 시설당 3,500천원 '이내' → '내외''로 정정합니다.
- 홈 > 정보 > 법인/시설/단체
-
- 법령개정_요청 2005.07.01.
- 기부시 필요경비 인정범위를 현행 5%에서 10%로 확대하는 소득세법 제34조 및 법인세법 제24조 개정안을 기 요청(복지지원과-1408,2004.6.1)하였으나 반영되지 않아, 붙임과 같이 개정을 요청하오니 금년도 관계법령 개정시에 필히 반영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소득세법, 법인세법 개정개요. 끝.받는 곳 : 재정경제부장관(소득세제과장), 재정경제부장관(법인세제과장)
- 홈 > 정보 > 법인/시설/단체
-
- 2016년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인건비 가이드라인 2016.01.25.
- 15년도 인건비 권고기준 + 공무원 보수 인상률(3%) ※ 일부 호봉의 호봉간 편차 조정을 위한 인상율 조정으로 공무원 보수대비 평균 96.1% 수준 예상 나. 기타 개정사항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일반직) 5급 기본급 권고기준 추가 제시 사회복지이용시설(사회복지직, 사회복지직외 직종) 승진 최소 소요연한관련 단서 신설
- 홈 > 정보 > 법인/시설/단체
정책 : 90 건
-
- 임신·출산 지원 < 출산정책 < 인구아동 < 정책 : 힘이 되는 평생 친구, 보건복지부 2025.04.24.
- % 초과 (예외지원) 4,122 6,155 9,278 인력3명 C-가-?형 자격확인 15 25 40 6,192 10,320 16,512 6,068 9,288 13,541 C-통합-?형 150% 이하 5,574 8,257 12,385 C-라-?형 150% 초과 (예외지원) 4,769 7,121 10,733 사태아 이상 (중증+ 삼태아 이상) 인력2명 D-가-?형 자격확인 15 25 40 5,760 9,600 15,360 5,644 8,640 12,597 D-통합-?형 150% 이하 5,185 7,682 11,522 D-라-?형...
- 정책 > 인구아동
-
- 입원전담전문의제 소개 < 의료자원정책 < 보건의료 < 정책 : 힘이 되는 평생 친구, 보건복지부 2025.04.25.
- 현황 : 약 5만명(전체 의사의 약 5%)의 전문의가 호스피탈리스트로 근무, 내과 전문의가 주를 이루나 소아과, 산부인과, 가정의학과로 확산 주요 업무 : 입원환자에 대한 주치의 역할, 중환자실 환자 관리, 내 · 외과적 협진, 응급실 내과환자 진료, 야간 · 주말 근무, 학생 · 전공의 교육 등 성과 : 재원일수, 재입원 감소 등 의료의 질을 높이고, 의료사고를 감소시켜 환자안전 강화...
- 정책 > 보건의료
-
- 청년사회서비스사업단 < 사회서비스 사업 < 사회서비스 < 정책 : 힘이 되는 평생 친구, 보건복지부 2025.04.24.
- 차상위 서비스 금액의 5% 기준 중위소득 80% 이하 서비스 금액의 10%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서비스 금액의 20% 기준 중위소득 140% 이하 서비스 금액의 40% 기준 중위소득 160% 이하 서비스 금액의 70% 기준 중위소득 160% 초과 서비스 금액의 100% 신청방법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신청 방문전 해당 사업단 읍·면·동 주민센터에 사전 문의 청년사회서비스 사업단...
- 정책 > 사회서비스
보건복지부웹문서 : 174 건
-
- 병원소개 > 미션 및 비전 2025.08.30.
- 55% 마음건강서비스 수혜자 수 30만명 (호남권역 인구의 5%) 내외부 고객만족도 최고 등급(90점) 핵심가치 (Core Value) + 경영이념 「공익」 국민중심 공공성 「신뢰」 따뜻한 동행 「혁신」 미래지향 변화 + + 전략방향 & 9대 전략과제 정신질환자의 전 주기적 통합지원 강화 입원심사 및 적시입원을 통한 입원적합성 제고 환자중심 맞춤형 의료 서비스 강화 정신질환자 재활...
- 국립나주병원
-
- 진료분야 > 행동장애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2025.08.30.
- 틱장애 품행장애 중독장애(게임·약물) 개요 소아의 5% 정도에서 나타나고, 남아에서 더 흔하게 발병합니다. 발병 시기는 보통 3~6세로 7세 이전에 발병합니다. ADHD 아동은 유아기부터 자극에 지나치게 민감하며 소음, 빛, 온도 등의 환경변화에 과민반응을 보이고, 잠들기가 어려우며 자주 웁니다. 걸음마기 이후에는 활동이 부산하고 위험한 행동을 서슴없이 합니다. 유치원이나...
- 국립나주병원
-
- 스스로 선택하고 이용하는 장애인 개인 예산제 | 디딤돌 여름호 2025.08.16.
- 80%, 음성화면 해설 10%, 수어 5%)을 의무화했고 방송·통신 규제기구 오프콤(OFCOM)에 매년 해당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규정한다. 오프콤이 발간한 <접근성 보고서 2018(Access service report 2018)>에 따르면 자막 기능을 제공하는 VOD 플랫폼 비율은 51.4%에서 57.8%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음성화면 해설은 16.7%에서 15.3%로 감소, 수어 제공은 6.9%로 전년도와...
- 한국장애인개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