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현황
산전후휴가 미활용 실태조사 및 노동시장복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작성일2008-07-22 10:43
- 조회수2,211
- 담당자 관리자
- 담당부서통계담당관
2006년 보건복지가족부 연구용역
한국여성노동연구소 (2006.12월)
목차 및 수록표
-
서론 19
- 연구목적 및 필요성 21
- 연구내용 및 방법 21
-
노동시장의 여성인력 현황 분석 23
- 노동시장의 개황 23
- 여성 노동시장의 특징 27
-
근로여성의 산전후 휴가와 관련한 제반 실태 및 정책조사 32
- 모성보호관련 제도의 변화 32
- 산전후 휴가관련 실태 34
-
산전후휴가 미활용 실태 분석 36
- 근로자의 산전후휴가 사용실태 36
- 퇴직여성의 산전후휴가 사용실태 55
- 산전후휴가의 경제적 영향 64
-
산전후휴가와 여성의 경제활동 72
- 산전후휴가 후 업무복귀 72
- 출산여성의 경제활동 복귀 77
- 가정과 직장 양립을 위한 기업분위기 84
-
여성의 경제활동과 노동시장 복귀 95
- 여성의 노동시장과 산전후휴가 95
- 산전후휴가와 관련된 조사내용 분석 96
- 결론 및 정책제언 107
별첨
- 모집단의 분포 1
- 응답자 속성별 분포 2
-
설문조사서 8
- 복귀 근로자 대상 설문조사서 9
- 퇴직자 대상 설문조사서 16
- 기업체 대상 설문조사서 23
- 설문문항 서술 답변 30
- 외국의 출산휴가 55
- 여성인력개발센터 재취업 교육과정 현황 : 2006년도 59
- 표 목 차 -
- <표 1> 인구추이 24
- <표 2> 경제활동인구 변화 추이 24
- <표 3> 성별 경제활동참가율, 실업률, 고용률 추이 25
- <표 4> 연령대별 실업률, 고용률, 경제활동 참가율 추이 26
- <표 5> 직종별 취업자 수 추이 26
- <표 6> 여성의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 28
- <표 7> 혼인형태별 평균연령 28
- <표 8> 여성 취업자의 연령별 구성비 29
- <표 9> 성별 임금, 근로시간 차이, 이직률 29
- <표 10> 취업자의 종사상지위별 구성비 30
- <표 11> 성별 근속년수별 근로자 구성비 31
- <표 12> 여성취업자와 보험적용 가입자 수 34
- <표 13> 모성보호급여 실시 현황 35
- <표 Ⅳ- 1> 산전후휴가 사용기간 : 근로자 37
- <표 Ⅳ- 2> 산전후휴가 사용기간 : 근로자 속성별 38
- <표 Ⅳ- 3> 산전후휴가 사용기간 : 업종별 38
- <표 Ⅳ- 4> 산전후휴가 사용기간 : 기업체 규모별 39
- <표 Ⅳ- 5> 근로자들의 산전후휴가 사용기간 : 기업체 40
- <표 Ⅳ- 6> 산전후휴가 사용기간 : 기업체 업종별 40
- <표 Ⅳ- 7> 산전후휴가 사용기간 : 기업체 규모별 41
- <표 Ⅳ- 8> 기업체 입장에서 적정한 산전후 휴가기간 41
- <표 Ⅳ- 9> 산전후휴가기간 미사용 사유 42
- <표 Ⅳ-10> 산전후휴가기간 미사용 사유 : 근로자 속성별 43
- <표 Ⅳ-11> 산전후휴가기간 미사용 사유 : 기업체 업종별 43
- <표 Ⅳ-12> 산전후휴가기간 미사용 사유 : 기업 규모별 44
- <표 Ⅳ-13> 산전후휴가기간 중 업무담당 45
- <표 Ⅳ-14> 산전후휴가기간 중 업무담당 : 근로자 속성별 46
- <표 Ⅳ-15> 산전후휴가기간 중 업무담당 : 기업규모별 46
- <표 Ⅳ-16> 산전후 휴가자의 업무담당 : 기업체 47
- <표 Ⅳ-17> 산전후휴가자의 업무담당 : 기업규모별 48
- <표 Ⅳ-18> 산전후휴가자의 업무담당 : 업종별 49
- <표 Ⅳ-19> 대체인력의 업무평가 50
- <표 Ⅳ-20> 대체인력을 미활용 이유 51
- <표 Ⅳ-21> 대체인력을 미활용 이유 : 업종별 51
- <표 Ⅳ-22> 산전후휴가의 업무 영향 52
- <표 Ⅳ-23> 산전후휴가가 업무에 미친 영향이 큰 이유 53
- <표 Ⅳ-24> 대체인력 사용을 위한 제도적 보완 53
- <표 Ⅳ-25> 산전후휴가 중 급여 54
- <표 Ⅳ-26> 산전후휴가 중 급여 : 고용형태 55
- <표 Ⅳ-27> 산전후휴가 사용기간 56
- <표 Ⅳ-28> 퇴직여성 산전후휴가 사용기간 57
- <표 Ⅳ-29> 산전후휴가 미사용 사유 57
- <표 Ⅳ-30> 산전후휴가 미사용 사유 : 퇴직근로자 속성별 58
- <표 Ⅳ-31> 산전후휴가 미사용 사유 : 규모별 59
- <표 Ⅳ-32> 산전후 휴가기간 미사용 사유 59
- <표 Ⅳ-33> 산전후 휴가기간 미사용 사유 : 퇴직근로자 속성별 60
- <표 Ⅳ-34> 산전후 휴가기간 미사용 사유 : 규모별 61
- <표 Ⅳ-35> 산전후 휴가기간 미사용 사유 : 업종별 61
- <표 Ⅳ-36> 산전후휴가 90일의 법적제도 인지여부 62
- <표 Ⅳ-37> 법적보호 인지에 따른 상황변화 가능성 62
- <표 Ⅳ-38> 산전후휴가 중 업무담당 63
- <표 Ⅳ-39> 산전후휴가 중 급여 64
- <표 Ⅳ-40> 산전후휴가로 인한 기업의 비용부담 65
- <표 Ⅳ-41> 산전후휴가로 인한 기업의 비용부담 : 업종별 66
- <표 Ⅳ-42> 산전후휴가로 인한 기업의 비용부담 : 기업규모별 66
- <표 Ⅳ-43> 비용부담 증대 이유 67
- <표 Ⅳ-44> 산전후휴가로 인한 기업의 명시적 추가비용 부담 68
- <표 Ⅳ-45> 산전후휴가로 인한 기업의 총 추가비용부담 69
- <표 Ⅳ-46> 여성근로자의 산전후휴가의 영향 70
- <표 Ⅳ-47> 기업입장에서 산전후휴가의 영향 70
- <표 Ⅳ-48> 산전후휴가 기간 중 퇴? 업무성과 : 근로자 72
- <표 Ⅴ- 2> 산전후휴가 후 복귀근로자의 업무성과 : 기업체 73
- <표 Ⅴ- 3> 산전후휴가 전후 업무(직무) 동일 74
- <표 Ⅴ- 4> 복직 후 업무변화 이유 74
- <표 Ⅴ- 5> 산전후휴가 후 인사상의 불이익 여부 75
- <표 Ⅴ- 6> 복귀 후 업무에 영향이 큰 부분 75
- <표 Ⅴ- 7> 업무효율성을 위한 개선사항 76
- <표 Ⅴ- 8> 육아문제 해결방법 77
- <표 Ⅴ- 9> 경제활동 복귀 희망여부 77
- <표 Ⅴ-10> 경제활동 복귀 희망여부 : 종사상 지위별 78
- <표 Ⅴ-11> 노동시장 복귀 희망이유 78
- <표 Ⅴ-12> 노동시장 복귀 희망이유 : 종사상 지위별 79
- <표 Ⅴ-13> 노동시장 복귀 희망시기 80
- <표 Ⅴ-14> 노동시장 복귀 시 희망 직업 80
- <표 Ⅴ-15> 노동시장 복귀 시 희망 직업 : 종사상 지위별 81
- <표 Ⅴ-16> 노동시장 복귀 희망 근무형태 81
- <표 Ⅴ-17> 노동시장 복귀 시 최우선순위 82
- <표 Ⅴ-18> 노동시장 복귀 시 장애요인 82
- <표 Ⅴ-19> 구직 경로 방법 83
- <표 Ⅴ-20> 노동시장 복귀시 필요하면 교육받을 의향 84
- <표 Ⅴ-21> 노동시장 복귀시 육아문제 84
- <표 Ⅴ-22> 직장 내 여직원 차별 여부 85
- <표 Ⅴ-23> 여직원에 대한 차별부분 86
- <표 Ⅴ-24> 직장 내 임신여성 차별 87
- <표 Ⅴ-25> 직장내 임신여성에 대한 배려나 차별 : 기업체 87
- <표 Ⅴ-26> 임신 여성에 대한 차별방식 88
- <표 Ⅴ-27> 향후 직장생활에 대한 계획 88
- <표 Ⅴ-28> 퇴사 고려 이유 89
- <표 Ⅴ-29> 다음 출산계획 시 고려요인 89
- <표 Ⅴ-30> 이직 시 우선순위 90
- <표 Ⅴ-31> 급여보다 자녀의 보육비용이 더 큰 경우 91
- <표 Ⅴ-32> 출산으로 퇴직한 근로자의 재고용 여부 91
- <표 Ⅴ-33> 재고용 시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 92
- <표 Ⅴ-34> 출산으로 퇴직한 여성근로자의 재취업 조건 92
- <표 Ⅴ-35> 여성 인력채용 기피현상 93
- <표 Ⅴ-36> 여직원의 퇴직사유 93
- <표 Ⅴ-37> 비정규직원의 출산 후 채용 94
- <표 Ⅵ-1> 산전후휴가 사용기간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