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정보

현황

「2008년 치매 유병률 조사」 결과

  • 작성일2009-04-13 17:38
  • 조회수9,869
  • 담당자 관리자
  • 담당부서노인정책과
  • 「2008년 치매 유병률 조사」 결과입니다.조사결과에 대한 문의사항은 우리부 노인정책과(02-2023-8533)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치매노인수: 천명 %>

    2008년 치매유병률조사
    연도 2008 2009 2010 2020 2030 2040 2050
    인구(65세이상) 5,016 5,193 5,357 7,701 11,811 15,041 16,156
    치매노인수(65세이상) 421 445 469 750 1135 1685 2127
    치매유병률(%) 8.4 8.6 8.8 9.7 9.6 11.2 13.2
  • 결과보고서

    표 목차

    • 표 1. 치매의 원인 질환
    • 표 2. 치매 중증도에 따른 알쯔하이머 치매의 증상 변화
    • 표 3. 치매 중등도에 따른 치료 비용
    • 표 4. 연령에 따른 치매 유병률의 변화
    • 표 5. 한국인에서 아포지단백 유전자형에 따른 치매 위험도
    • 표 6. ADAMS 연구 표본의 특성
    • 표 7. 캐나다 치매 환자수 추이
    • 표 8. MRC-CFAS 연구에서 추정된 영국 노인의 치매 유병률
    • 표 9. 선진국의 전국적 치매 역학 연구 요약
    • 표 10 국내 치매 유병률 연구 현황
    • 표 11. 노인장기요양보험 재정 추계 (보건복지부)
    • 표 12. 국내 조호 부담 관련 연구
    • 표 13. 표본 추출 전략 및 표본 단위별 연구 기관
    • 표 14. 서울센터 1차 조사 대상
    • 표 15. 경기, 인천센터 1차 조사 대상
    • 표 16. 강원, 경북, 대구센터 1차 조사 대상
    • 표 17. 경남,,부산, 제주센터 1차 조사 대상
    • 표 18. 충남, 충북센터 1차 조사 대상
    • 표 19. 전북, 전남, 광주센터 1차 조사 대상
    • 표 20. MMSE-KC의 연령, 성별, 학력별 -1.5표준편차 기준점수
    • 표 21. 한글판 축약형 노인우울척도 (SGDS-K)
    • 표 22. 사회인구학적 위험인자 조사 양식
    • 표 23. 생활습관적 위험인자와 질환력 조사 양식
    • 표 24. 치매인식도 조사 설문
    • 표 25. 치매 지식 습득 경로 조사
    • 표 26. 연구 추진 일정
    • 표 27. 1차 선별검사 및 2차 정밀검사 반응률
    • 표 28. 반응자와 거부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비교
    • 표 29. 1차 선별검사 반응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징 (1)
    • 표 30. 1차 선별검사 반응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징 (2)
    • 표 31. 1차 선별검사 반응자의 MMSE-KC 점수별 사회인구학적 특성
    • 표 32. 2차 정밀검사 결과: 치매
    • 표 33. 2차 정밀검사 결과: 경도인지장애
    • 표 34. 65세 이상 한국 노인의 치매 유병률
    • 표 35 65세 이상 한국 노인의 중증도별 치매 유병률
    • 표 36. 65세 이상 한국 노인의 치매 유병률 및 치매 환자수 추이
    • 표 37. 65세 이상 한국 노인 인구의 경도인지장애 유병률
    • 표 38. 65세 이상 한국 노인의 경도인지장애 유병률 및 경도인지장애 환자수 추이
    • 표 39. 치매, 경도인지장애, 인지정상군 인구사회학적 요인 비교
    • 표 40. 65세 이상 한국 노인에서 치매의 위험인자
    • 표 41. 사회인구학적 요인이 치매 인식도에 미치는 영향
    • 표 42. 65세 이상 한국 노인의 치매 인식도
    • 표 43. 성별, 교육수준에 따른 치매 인지도 문항별 정답률
    • 표 44. 거주지역, 나이에 따른 치매 인지도 문항별 정답률
    • 표 45. 주조호자와 보조조호자 간의 인구학적 특성 비교
    • 표 46. 조호자의 치매 환자 증상에 대한 인식
    • 표 47. 조호 대상 행위별 조호 시간
    • 표 48. 치매 유형별 조호 시간
    • 표 49. 조호 계획
    • 표 50. 치매 중증도에 따른 조호자의 조호 부담, 삶의 질 및 우울감
    • 표 51. 치매 조호자의 삶의 질, 심리적 부담 및 우울감
    • 표 52. 치매 유형에 따른 조호 부담, 삶의 질 및 우울감
    • 표 53. 거주지에 따른 조호 부담, 삶의 질 및 우울감
    • 표 54. 치매 조호자의 신체적 부담
    • 표 55. 치매 관련 서비스 욕구

    그림 목차

    • 그림 1. 연구 수행 요약
    • 그림 2. 알쯔하이머 치매의 뇌영상 소견
    • 그림 3. 치매 발병 지연이 치매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
    • 그림 4. 세계 노인인구 추이
    • 그림 5. 노인 인구 비율 증가 비교
    • 그림 6. 지역별 세계 치매 환자 증가 추이
    • 그림 7. 한국 노인의 치매 원인 질환 분포
    • 그림 8. 한국 노인의 성별 치매 유병률
    • 그림 9. CSHA 연구 센터
    • 그림 10. 영국 MRC-CFAS 참여 지역
    • 그림 11. ILSA 참여 지역
    • 그림 12. 치매의 사망률
    • 그림 13. BAJEL Project 참여 센터
    • 그림 14. EURODEM 연구의 국가별 치매 유형 분포
    • 그림 15. 세계 치매 유병률 연구 현황
    • 그림 16. 치매 중증도별 유병률
    • 그림 17. 질병 인식도와 건강 추구 행동
    • 그림 18. 일본 일반인의 치매 인식도
    • 그림 19. 일반 성인의 알쯔하이머 치매 증상에 대한 인식도
    • 그림 20. 한국 일반 성인의 치매 인식도
    • 그림 21. 미국 노인의 인종별 치매 인식도
    • 그림 22. 영국 노인의 인종별 치매 인식도
    • 그림 23. 한국 노인의 치매 인식도
    • 그림 24. 지역사회 치매 관련 자원 이용률
    • 그림 25. 치매 증상별 조호 부담
    • 그림 26. 치매 중증도에 따른 조호 비용
    • 그림 27. 정신행동증상에 따른 조호 비용
    • 그림 28. 국내 노인의료비 증가 추이
    • 그림 29. 노인 질환별 치료비
    • 그림 30. 조사원 교육
    • 그림 31. CERAD-K 평가집
    • 그림 32. 치매 진단 평가 워크샵
    • 그림 33. CERAD-K 신경심리검사 워크샵
    • 그림 34. 진단 흐름도
    • 그림 35. 연구 조직도
    • 그림 36. 조사 지역 분포
    • 그림 37. 선별검사 반응자와 2005년 인구센서스 노인인구
    • 인구학적 특징 비교
    • 그림 38. 선별 검사 대상자의 MMSE-KC 점수 분포
    • 그림 39. 선별검사 대상자의 MMSE-KC 점수 Z 값의 분포
    • 그림 40. 치매의 유형별 분포
    • 그림 41. 중증도별 치매 유병률
    • 그림 42. 치매 중증도별 상대적 비율
    • 그림 43. 2008년 광역지자체별 치매 환자수 추산
    • 그림 44. 65세 이상 한국 노인의 치매 유병률 및 치매 환자수 추이
    • 그림 45. 경도인지장애 유형별 분포
    • 그림 46. 치매 교육 여부
    • 그림 47. 치매 지식 습득 경로
    • 그림 48. 치매 인식도 문항별 정답률
    • 그림 49. 치매 중증도별 MMSE-KC 점수
    • 그림 50. 조호자의 직업 분포
    • 그림 51. 조호 동기
    • 그림 52. 가장 중요한 조호 동기
    • 그림 53. 조호자의 조호 대상 치매 환자 접촉 빈도
    • 그림 54. 치매 중증도별 조호 시간
    • 그림 55. 중증도, 치매유형, 지역에 따라 건강이 나쁘다고 응답한 조호자의 비율
    • 그림 56. 학대 행위의 유형별 빈도
    • 그림 57. 노인 장기 요양 보험 제도에 대한 인식도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