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알림

보도자료

2022년 자살률(인구 10만 명당 명) 25.2명, 전년 대비 0.8명(3.2%) 감소

  • 작성일2023-09-21 12:00
  • 조회수8,542
  • 담당자김명희
  • 담당부서자살예방정책과

2022년 자살률(인구 10만 명당 명) 25.2명,  전년 대비 0.8명(3.2%) 감소
- 자살 사망자 수는 12,906명으로 전년 대비 446명(3.3%) 감소
-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사회적 고립 완화 등이 긍정적 영향 추정 -

<요약본>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2022년 자살사망자 수가 지난해 대비 소폭 감소하였으며, 사회안전망을 더욱 강화하여 자살위험으로부터 국민의 생명을 지키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통계청이 발표(′23.9.21.)한 2022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2022년 자살사망자는 12,906명으로, 2021년보다 446명 감소(3.3%)하였으며, 자살사망률(인구 10만 명당 명, 이하 자살률)은 25.2명으로 지난해 대비 3.2% 감소(′21년 26.0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도 자살사망자 12,906명, 자살률 25.2명은 2018년 이후 제일 낮은 수치**이다. 

 * 고의적 자해(자살) 등을 포함, 매년 9월경 전년도 통계 발표(통계청)

** (자살률) (’18) 26.6명, (’19) 26.9명, (’20) 25.7명, (’21) 26.0명, (’22) 25.2명

성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대비 남성과 여성 자살률 모두 감소하였다.

 * (남성) (’21년) 자살사망자 9,193명, 자살률 35.9명 → (’22년) 자살사망자 9,019명, 자살률 35.3명

   (여성) (’21년) 자살사망자 4,159명, 자살률 16.2명 → (’22년) 자살사망자 3,887명, 자살률 15.1명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자살률이 대부분 연령대에서 지난해 대비 감소하였으며, 특히 70대(-9.6%), 20대(-9.2%), 30대(-7.2%) 순으로 감소 폭이 컸다. 40대(2.5%), 10대(0.6%)는 전년 대비 다소 증가하였다. 자살률은 80세 이상(60.6명)이 가장 높았고, 뒤이어 70대(37.8명), 50대(29.0명), 40대(28.9명), 60대(27.0명) 순으로 높았다.

 * (연령대별 자살률) 80대(60.6명) 〉 70대(37.8명) 〉 50대(29.0명) 〉40대(28.9명) 〉 60대(27.0명) 〉 30대(25.3명) 〉 20대(21.4명) 〉 10대(7.2명)

자살은 사회구조적, 개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므로, 자살률 증감의 원인을 어느 하나로 설명하긴 어렵다. 정부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우울감 증가 등에 따른 자살 증가 우려에 대응하여 자살예방 정책을 강화해 왔으며, 2022년에는 자살시도자, 자살유족 등 자살 고위험군에 대한 상담‧치료지원*을 확대한 바 있다.

 * 자살시도자‧유족 정보를 자살예방센터(정신건강복지센터)로 연계하여 상담‧치료 (’22.8~), 자살 유족 맞춤형 지원을 위한 자살 유족 원스톱 서비스 확대(’22.6~, 3개 시도 → 9개 시도) 등

지난해 자살률 감소는 코로나19 유행 이후 등교, 출근, 영업시간 정상화 등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일상회복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전문가들은 20대 자살률 감소(-9.2%)는 사회적 고립감 완화, 30대 여성 감소(-19.6%)는 부양부담 완화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곽숙영 정신건강정책관은 “지난해 자살률이 소폭 감소하였으나 올해부터 코로나19 이후 상대적 발탁감, 정신건강문제 등이 본격적으로 나타나면서 자살률 증가 우려에 적극 대응이 필요하다”라며 ,“ 자살의 가장 큰 동기가 정신적인 부분임을 고려하여 정신건강혁신방안을 연내 마련하여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사회안전망을 더욱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

<상세본>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2022년 자살사망자 수가 지난해 대비 소폭 감소하였으며, 사회안전망을 더욱 강화하여 자살위험으로부터 국민의 생명을 지키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통계청이 발표(′23.9.21.)한 2022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2022년 자살사망자는 12,906명으로, 2021년보다 446명 감소(3.3%)하였으며, 자살사망률(인구 10만 명당 명, 이하 자살률)은 25.2명으로 지난해 대비 3.2% 감소(′21년 26.0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도 자살사망자 12,906명, 자살률 25.2명은 2018년 이후 제일 낮은 수치**이다. 

 * 고의적 자해(자살) 등을 포함, 매년 9월경 전년도 통계 발표(통계청)

** (자살률) (’18) 26.6명, (’19) 26.9명, (’20) 25.7명, (’21) 26.0명, (’22) 25.2명

성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대비 남성과 여성 자살률 모두 감소하였다.

* (남성) (’21년) 자살사망자 9,193명, 자살률 35.9명 → (’22년) 자살사망자 9,019명, 자살률 35.3명

  (여성) (’21년) 자살사망자 4,159명, 자살률 16.2명 → (’22년) 자살사망자 3,887명, 자살률 15.1명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자살률이 대부분 연령대에서 지난해 대비 감소하였으며, 특히 70대(-9.6%), 20대(-9.2%), 30대(-7.2%) 순으로 감소 폭이 컸다. 40대(2.5%), 10대(0.6%)는 전년 대비 다소 증가하였다. 자살률은 80세 이상(60.6명)이 가장 높았고, 뒤이어 70대(37.8명), 50대(29.0명), 40대(28.9명), 60대(27.0명) 순으로 높았다.

* (연령대별 자살률) 80대(60.6명) 〉 70대(37.8명) 〉 50대(29.0명) 〉40대(28.9명) 〉 60대(27.0명) 〉 30대(25.3명) 〉 20대(21.4명) 〉 10대(7.2명)

자살은 사회구조적, 개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므로, 자살률 증감의 원인을 어느 하나로 설명하긴 어렵다. 정부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우울감 증가 등에 따른 자살 증가 우려에 대응하여 자살예방 정책을 강화해 왔으며, 2022년에는 자살시도자, 자살유족 등 자살 고위험군에 대한 상담‧치료지원*을 확대한 바 있다.

 * 자살시도자‧유족 정보를 자살예방센터(정신건강복지센터)로 연계하여 상담‧치료 (’22.8~), 자살 유족 맞춤형 지원을 위한 자살 유족 원스톱 서비스 확대(’22.6~, 3개 시도 → 9개 시도) 등

지난해 자살률 감소는 코로나19 유행 이후 등교, 출근, 영업시간 정상화 등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일상회복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전문가들은 20대 자살률 감소(-9.2%)는 사회적 고립감 완화, 30대 여성 감소(-19.6%)는 부양부담 완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정부는 OECD 최고 수준인 자살률 감소를 위해 총력을 다 하고 있다. 전 국민 마음건강 투자를 핵심 국정과제로 선정하여 예방부터 자살고위험군 선제적 발굴‧지원, 생명존중문화 확산 등을 추진하고 있으며, 올해는 자살시도자, 유족 등의 신체 손상치료비, 심리검사 등을 받을 수 있도록 자살고위험군 치료비 지원을 시작하였다.

아울러 지난 4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5차 자살예방기본계획」(′23~′27) 을발표하여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고립과 경제적 어려움 등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자살위험이 급증할 것에 대비해 자살예방정책을 더욱 강화하였다. 

기본계획에는 정신건강검진 확대, 유해환경 개선, 생명존중문화 조성 등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자살예방정책부터 경제문제 또는 정신적 어려움을 겪는 사람에 대한 대상자 맞춤형 정책까지 자살예방을 위한 전 주기 정책이 담긴 청사진을 마련하였다. 

또한 생명존중 문화조성을 위한 전 국민 대상 생명존중 인식개선을 위해 국가, 지자체, 각급 학교, 사업장 등에 자살예방 교육을 의무화하는 자살예방법 개정안이 올해 7월 공포되어 내년 7월부터 시행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 곽숙영 정신건강정책관은 “지난해 자살률이 소폭 감소하였으나 올해부터 코로나19 이후 상대적 발탁감, 정신건강문제 등이 본격적으로 나타나면서 자살률 증가 우려에 적극 대응이 필요하다”라며, “ 자살의 가장 큰 동기가 정신적인 부분임을 고려하여 정신건강혁신방안을 연내 마련하여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사회안전망을 더욱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자살사망 통계

첨부파일
  • hwpx 첨부파일 [보도참고자료] 2022년 자살률(인구10만명당 명) 25.2명_ 전년대비 0.8명(3.2%) 감소.hwpx ( 383.63KB / 다운로드 968회 / 미리보기 207회 ) 다운로드 미리보기/음성듣기
  • pdf 첨부파일 [보도참고자료] 2022년 자살률(인구10만명당 명) 25.2명_ 전년대비 0.8명(3.2%) 감소.pdf ( 786.15KB / 다운로드 1242회 / 미리보기 228회 ) 다운로드 미리보기/음성듣기
공공누리 제1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