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알림

보도자료

상병수당 시범사업 4개 지역 추가, 총 14개 지역 시행

  • 작성일2024-06-30 12:01
  • 조회수2,043
  • 담당자전하윤
  • 담당부서보험정책과

상병수당 시범사업 4개 지역 추가, 총 14개 지역 시행 

- 7월 1일부터 충주시, 홍성군, 전주시, 원주시에 3단계 시범사업 추가 실시 -

- 취업자 기준 완화, 재산 기준 폐지, 최대보장일수 확대 등 제도 개선 -

- ’22년 7월부터 지난 2년간 총 1만 3천여 건, 평균 약 86만 원 지급 -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7월 1일(월)부터 상병수당 3단계 시범사업을 4개 지역*에서 추가로 시행한다고 밝혔다.


 * 충북 충주시, 충남 홍성군, 전북 전주시, 강원 원주시


  상병수당이란 근로자가 업무와 관련 없는 부상·질병으로 경제활동이 어려운 경우 치료에 집중할 수 있도록 소득을 보전하는 제도로, ’22년 7월 4일부터 서울 종로구 등 10개 지역*을 대상으로 2년간 13,105건이 지급되었으며, 평균 18.7일간 평균 86만 2,574원(24.6.21 기준)이 지급되었다.


* (1단계) 서울 종로구, 경기 부천시, 충남 천안시, 전남 순천시, 경북 포항시, 경남 창원시

  (2단계) 대구 달서구, 경기 안양시, 경기 용인시, 전북 익산시 


   기존 1단계 시범사업 및 2단계 시범사업은 그대로 운영하면서, 상병수당 3단계 시범사업은 신규 4개 지역의 소득 하위 50% 취업자 대상이며 지급금액은 2024년 최저임금의 60%로 기존 시범사업과 동일하다. 

 * (연령) 15세 이상부터 65세 미만, (지급금액) 일 47,560원 


  정부는  1·2단계 시범사업 운영 시 주요 현장 의견 및 건의 사항을 반영하여, 아프면 쉬실 수 있는 국민들이 많아지실 수 있게 7월 1일(월)부터  취업자 기준 완화, 재산 기준 폐지, 최대보장일수 확대 등 제도 개선을 추진하였다.


  우선,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또는 고용?산재보험 가입자는 1개월(30일) 간 가입자격을 유지해야 했으나, 직전 2개월(60일) 중 30일 이상 유지 시 신청이 가능하도록 기준을 완화하여 신청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추었다.


  * 일용근로자(단기 노무제공자)는 직전 1개월(30일) 중 10일 이상 또는 직전 2개월(60일) 중 20일 이상 근로 및 고용·산재보험 가입자격 유지


  또한 2단계 및 3단계 시범사업에 적용되는 소득 및 재산기준* 중 재산기준을 폐지하고 각 지역별 최대보장일수를 30일 더 연장**(150일)하여 보장혜택을 확대하였다.


  *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가구 합산 건강보험료 기준) & 가구 재산 7억 원 이하

 ** (1단계) 120일(부천, 포항, 순천, 창원)~150일(종로, 천안), (2단계) 150일(안양, 달서, 용인, 익산)



  보건복지부 이중규 건강보험정책국장은 “지난 2년간 1만 3천여건의 상병수당 지급을 통하여 업무 이외의 부상이나 질병으로 근로를 할 수 없게 된 분들이 아프면 쉴 권리를 보장받으셨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하며 “보건복지부는 3단계 시범사업 지역 추가를 통하여 총 14개 지역에서 더 많은 주민들이 혜택을 보실 수 있도록 차질없이 운영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상병수당 시범사업 개요

             2. 상병수당 시범사업 주요 통계 

             3. 상병수당 3단계 시범사업 포스터

첨부파일
  • hwpx 첨부파일 [7.1.월.조간] 상병수당 시범사업 4개 지역 추가, 총 14개 지역 시행.hwpx ( 3.3MB / 다운로드 295회 / 미리보기 138회 ) 다운로드 미리보기/음성듣기
  • pdf 첨부파일 [7.1.월.조간] 상병수당 시범사업 4개 지역 추가, 총 14개 지역 시행.pdf ( 1.27MB / 다운로드 319회 / 미리보기 125회 ) 다운로드 미리보기/음성듣기
공공누리 제1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