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전체
치매노인 간호요령(가족용) 보급
- 작성일2000-01-24 10:09
- 조회수18,685
- 담당자공보관실
- 담당부서공보관실
≪ 주요내용 ≫
⊙ 보건복지부는 2000. 1. 25일부터 집에서 치매노인을 모시는
가족들이 간호 및 일상생활에 참고할 내용들을 알기 쉽게 정리한
치매노인 간호요령 책자를 만들어 무료로 보급한다.
▶ 보건복지부는 2000. 1. 25일부터 전국 보건소 치매상담센타를 통하여
치매노인 가족에게 『치매노인 간호요령』안내책자를 무료로 보급할
계획이다.
▶ 이번에 제작하여 보급하는 안내서는 치매노인의 특성과 치매노인
에게 일어날 수 있는 위험증상과 대처요령, 식사·목욕·용변 등 일상
생활과 관련된 수발요령 등을 일반인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있어 치매노인을 모시는 가족의 간호 및 일상생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보건복지부는 전국의 보건소에 치매상담신고센터를 설치하여 등록·
상담·안내 등 지역사회에서의 치매관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 이 사업의 내실화를 위해 지난 10월 상담요원용 치매매뉴얼을 전국
보건소 등에 보급한 바 있으며
- 또한 치매노인이 집을 나가 배회하는 경우에 신속히 신원을 확인
하여 가족에게 인도 할 수 있도록 신원확인팔찌 를 보급하고 있다.
▶ 따라서 치매노인을 모시고 있는 가족은 보건소에 등록을 하면 치매
팔찌 와 치매노인 간호요령 책자를 무료로 받을 수 있으며 전문병원
이나 시설 또는 치매노인을 위한 의료·간호용품 등에 대한 정보를
얻거나 필요한 상담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 보건복지부는 치매문제를 한 가족의 문제로만 방치할 수 없으며
지역사회와 국가가 적극적으로 이들을 지원해야 한다고 보고 그
동안 추진해온 치매요양병원·전문시설 및 재가복지시설(가정봉사원
파견시설, 주간보호소, 단기보호소)을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보건소와
이들 시설과의 연계운영 체계 등 지역사회에서의 치매관리사업을 더욱
내실화해 나갈 계획이다.
<참고자료>
□ 치매노인현황
○ 65세이상 노인인구의 약 8.3%인 약 28만명 정도가 치매환자로 추정
- 치매 정도별 치매노인수
(2000년 현재)
--------------------------------------------
구 분 유 병 율 치매노인수
--------------------------------------------
전 체 8.3% 279천명
중 증 1.1% 38천명
중등증 2.3% 76천명
경 증 4.9% 165천명
---------------------------------------------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치매관리매핑개발연구', 1997
□ 치매지원 현황
○ 치매상담신고센타 설치운영
- 97년부터 치매예방 및 치매노인관리를 위한 치매상담센타를 전국 보건
소에 설치
- 243개 보건소 중 216개소 설치, 상담요원 463명 지정
(2000년 중 243개소에 설치)
- 치매노인관리반교육(국립보건원에서 연 2회씩 치매상담요원 교육)
※ 노인보건시설종사자를 위한 치매전문교육실시(한국치매협회)
- 치매상담매뉴얼발간( 99. 10)
- 집을 나가 배회하는 치매노인을 위한 신원확인 팔찌보급
· 99년 4,500명에게 보급, 2000년도 5,000명 보급예정
○ 노인보건시설의 확충
- 노인보건시설의 종류
·노인주거시설(요양, 전문요양)
·의료시설(치매전문요양병원, 노인전문병원)
·재가노인시설 등
- 전문요양시설(치매·중풍 등 중증질환노인 보호시설)
· 99년 24개소 → 2003년 50개소로 확충
- 시·도립치매요양병원(치매의 전문적 치료와 요양서비스)
·현재 3개소(경기, 전남, 경북)가 개원 중에 있으며 2003년까지 16개
시·도에 1개소이상씩 개원할 예정임
- 재가노인복지시설은 혼자서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가정에
필요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
·가정봉사원 파견센타 : 99년 74개소 → 2003년 135개소
·주간 및 단기보호시설 : 99년 56개소 → 2003년 115개소
* 2000년도 치매관련 세부예산 자료를 첨부합니다.
{ 노인보건과 이섬표사무관 503-7576 }
치매노인간호요령.hwp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