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정책

사회서비스정책

사회서비스의 정의
(사회보장기본법 제3조) 사회서비스는

‘복지·보건의료·교육·고용·주거·문화·환경 등’의 분야에서 ‘상담, 재활, 돌봄, 정보제공, 관련 시설의 이용, 역량 개발, 사회참여 지원 등’을 통해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지원하는 제도

  1. (목적) 국민의 인간다운 생활 보장과 삶의 질 향상
  2. (분야) 복지‧보건의료‧고용‧교육‧주거‧문화‧환경 등의 7대 분야
  3. (대상) 도움이 필요한 모든 국민
  4. (주체) 국가·지방자치단체 및 민간부문
  5. (방법) 상담, 재활, 돌봄, 정보제공, 시설이용, 역량개발, 사회참여 지원 등
사회서비스 관련 법률
  • 사회보장기본법
  • 사회서비스 이용 및 이용권 관리에 관한 법률
  • 사회서비스 지원 및 사회서비스원 설립ㆍ운영에 관한 법률
사회서비스 정책 추진 배경

인구구조, 기술 발전, 산업구조 변화 등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 수요가 급증하고, 양질의 서비스 공급을 위한 혁신 필요성 증대

사회서비스 정책 추진 배경-분야, 내용으로 구성된 표
분 야 내 용
인구구조 고령화·1인 가구화에 따른 요양·돌봄·의료 서비스 및 새로운 사회서비스 수요 증가
복지기술 AI, 비대면 기술 등 복지기술 접목 서비스 필요성 확대
일자리· 산업구조 고용시장 내 사회서비스분야 일자리 비중 확대와 향후 일자리 저수지로서 큰 잠재력
사회서비스 정책 추진 방향(제1차 사회서비스 기본계획(’24~’28))

체 계 도

회서비스 정책 추진 방향 체계도-비전, 목표, 추진전략으로 구성된 표
비전 약자부터 촘촘하게, 지속가능한 복지국가
목표 국민 누구나 필요할 때 누리는 질 높은 사회서비스
추진전략 사회서비스 고도화 / 복지-고용-성장 선순환

3대 분야 9대 추진과제

3대 분야 9대 추진과제-다양한서비스확충, 질 높은 서비스 제공, 공급혁신 기반 조성
다양한 서비스 확충 질 높은 서비스 제공 공급혁신 기반 조성
  • 新수요 대응 서비스 강화
  • 전 국민 서비스 확대
  • 융합서비스 확충
  • 품질 관리 강화
  • 규제 합리화
  • 공급자 성장 지원
  • 기술개발 및 사업화 촉진
  • 복지기술 활용 확산
  • 제도적 기반 강화
사회서비스 주요 정책
다양한 서비스 확충
  • ▲틈새 수요 및 新 수요 대응 서비스 확대, ▲기존 취약계층 중심 서비스를 중산층까지 확대, ▲다양한 욕구 대응 융합서비스 확충
질 높은 서비스 제공
  • ▲사회서비스 품질인증 제도화, ▲평가 내실화 등 질 관리를 강화하고, ▲역량있는 공급자 육성을 통해 혁신적 서비스 제공 지원
공급혁신 기반 조성
  • ▲사회서비스 분야에 복지기술 개발·활용 촉진,▲ 사회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기반 마련 및 ▲민관의 협력적 역할분담 강화
  • 담당부서사회서비스정책과

  • 전화번호044-202-3209

  • 최종수정일2024년 07월 18일

홈페이지 기능오류신고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