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일반
사회서비스에 혁신기술을 활용해서비스의 가치를 높여(Value-up) 나갑니다
- 작성일2024-05-16 12:00
- 조회수1,917
- 담당자김민혜
- 담당부서사회서비스사업과
사회서비스에 혁신기술을 활용해서비스의 가치를 높여(Value-up) 나갑니다
-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에 참여할 6개 복지기술, 5개 지자체 선정 -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2024년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에 참여할 복지기술과 사업을 수행할 지역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은 돌봄로봇, 디지털 기술, 인공지능(AI) 등 혁신기술이 결합된 사회서비스를 지역에서 제공하도록 지원해 기술의 실증과 상용화를 유도하고 새로운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추진된다.
사회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제공방식을 효율화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복지기술 활용이 반드시 필요하나 취약계층을 주 대상으로 하는 복지기술의 특성상 개발된 기술의 활용을 위한 별도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이에 정부는 지난 12월 ‘제1차 사회서비스 기본계획*(2024-2028)’을 통해 복지기술과 관련된 연구, 개발을 확대함과 동시에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을 통해 개발된 기술의 현장 실증과 활용을 지원하기로 하였다.
* [12.12일 보도자료 참조] “국민 누구나 필요할 때 누리는 질 높은 사회서비스”
지난 2월, 시범사업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복지기술 보유기업을 대상으로 공모를 실시한 결과 총 65개의 기업이 참여를 희망하였다. 이후 2차례의 기술 심사와 지방자치단체 모집을 거쳐 6개의 복지기술과 이를 활용할 5개 지역이 최종 선정되었다. 선정된 복지기술과 지방자치단체는 아래와 같다.
* [2.29일 보도자료 참조] 사회서비스 가치 상승을 위한 복지기술 보유기업 공모
<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 기술 및 지자체 선정결과 >
번호 | 지역 | 복지기술 보유기업 | 서비스 내용 |
---|---|---|---|
1 | 강원 홍천군 | ㈜돌봄드림 | 노인맞춤돌봄 대상자에 돌봄조끼(HUGgy)를 활용한 노인 안전·안심 서비스 제공 |
2 | 경북 안동시 | ㈜누비랩 | 어린이집에서 푸드 스캐너 및 아동 대상 식습관 개선 유도 컨텐츠를 활용해 보육서비스 질 제고 |
3 | 충남 당진시 | ㈜실비아헬스 | 노인 돌봄 서비스 필요자에 키오스크 및 어플을 활용한 치매예방 및 인지평가 서비스 제공 |
㈜메디로지스 | 배뇨량이 측정되는 스마트 기저귀를 지역 내 공립요양시설에서 활용 |
||
4 | 충남 금산군 | ㈜맨엔텔 | 하지운동을 돕는 꿈의 자전거를 활용한 노인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
5 | 경기 동두천시 | ㈜마크노바 | 독거노인에 AI가 접목된 스마트밴드 및 스피커를 활용한 돌봄 및 안심 서비스 제공 |
* 서비스 내용은 세부 사업계획 수립과정에서 일부 변동 가능
최종 선정된 6개 기업에는 보유한 기술, 제품이 결합된 사회서비스를 지역 주민에 시범 제공할 수 있는 기회와 함께 과제당 1억~2억 원의 지원이 이루어진다.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우수한 성과를 입증한 기업에는 상용화 및 판로개척 등에 활용 가능한 실증결과 확인서가 제공되며, 실증을 거친 서비스 모델은 별도 절차를 거쳐 지역사회서비스 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아울러, 사업에 참여하는 지역은 지역주민에 혁신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여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업은 매칭된 지역과 기업 간의 협약 체결 및 세부 사업계획 수립을 거쳐 6월부터 본격 추진된다.
김현준 인구정책실장은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은 민간의 창의적기술을 활용해 서비스 이용자에게 보다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서비스 제공방식의 효율성을 높여 서비스 제공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어 매우 중요하다”라고 하며, “정부는 사업의 원활한 추진으로 복지기술 실증과 상용화를 지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 개요
2. 시범사업에 활용될 복지기술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