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알림

전체

95-96 모성사망 조사결과

  • 작성일1998-04-08 00:00
  • 조회수16,216
  • 담당자공보관실
  • 담당부서공보관실
[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 - 담당부서 : 정보화담당관실 (503-7526) - 보도일시 : 98년 4월 8일 조간부터 보도 ★ 95-96 모성사망 조사결과 ★ < 주요내용 요약 > △ 모성사망비 : 출생아 10만명당 20 ('95, '96) △ 모성사망률 : 가임기 여성 1,000명당 0.011 ('95, '96) △ 모성사망분률 : 1.2%('95, '96) △ 생애모성사망위험 : 여성 2,408당 1명('95), 2,399명당 1명('96) < 세부내용 > ♣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우리나라의 보건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모성사망 조사결과를 발표하였음. △ 그간 우리나라는 신뢰성이 높은 모성사망지표가 없었는데 이번에 우리나라 실 에 적합한 새로운 조사방법을 개발하여 모성사망조사 를 실시하였음. △ 이번 조사는 전국민 의료보험 실시에 따라 대부분의 분만과 사망이 의료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점에 착안하여 - 인구동태 신고자료, 주민등록자료, 의료기관 신고자료 기존 모성사망 관련자료를 바탕으로 - 의료보험·보호 급여자료와 의료기관의 진료기록을 조사분석하여 실제자료에 의한 모성사망지표를 처음으로 산출하였음. ※ 모성사망(Maternal Death) 임신 또는 그 관리에 관련되거나, 그것에 의해 악화된 어떤 원인으로 인하여 임신중 또는 분만 후 42일이내에 발생한 사망을 말함. ♣ 그간의 모성사망 조사경과 △ 이번 조사는 `97년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하는 조사사업의 일환으로 통계청, 인구 및 보건 관련단 , 학계 등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조사 사업으로 선정하였고 - 조사설계와 사망지표추정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조사는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하였음. △ 이번 조사는 `95년 1월 1일부터 `96년 12월 31일 사이에 임산부로서 임신중 또는 분만후 42일이내에 임신 또는 출산과 직접 관련되어 사망하였거나 기존 질병이 악화되어 사망한 사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 통계청의 인구동태 신고자료, 내무부(현 행정자치부)의 주민등록 자료, 의료기관 신고자료의 15∼49세 여 사망자를 의료보험·보호 의 임신·분만관련자료, 의료보험 자격자료·장제비자료와 연결 하여 화일을 구축하였음. - 동 자료에서 연결된 사망자에 대하여는 진료비를 청구한 의료기관 의 진료기록부를 조사하여 모성사망 여부를 확인 였으며 동시에 모성사망이 발생할 수 있는 의료기관 및 보건기관에 추가 조사를 실시함. ♣ 모성사망 조사결과 △ 기존자료를 분석하고, 의료기관 조사를 실시하여 얻어진 95년, 96년 모성사망자비는 다음과 같음. ───── ─────┬───────┬───────── 구 분 │ 1995 │ 1996 ───────────┼───────┼───────── 모성사망수(명) │ 146 │ 142 │ │ 출생아수(명) │ 721,535 │ 699,243 │ │ 모성사망비 │ 20 │ 20 (10만명당) │ │ ───────────┴───────┴───────── △ 모성사망의 위험은 연령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모성사망비는 연령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 19세 이하가 출생아 10만명당 46으로 다소 높고, 20-24세와 25-29 세는 가장 낮아서 각각 11과 14였음. 그러나 30세 이후부터 증가 하기 시작하여 30-34세에서는 26, 35-39세에서는 77, 40세이상에서 는 223으로 급증하였고 - 연령별 모성사망자 분포를 보면 출산이 많은 연령층인 25-29세, 30-34세가 가장 많아 각각 38.5%, 26.7%를 차지하였음 △ 15-49세 성인여성 1,000명당 모성사망자수를 의미하는 모성사망률은 95년, 96년 모두 0.011로 나타났으며 - 15-49세 가임기 여성사망자수에서 모성사망자수가 차지하는 모성 사망분율(Proportion Maternal)은 1.2%로 나타났음. - 여성이 가임기간동안 임신 및 분만과 관련하여 사망할 위험을 나타내는 생애모성사망위험은 1995년에는 여성 2,408명당 1명, 1996년에는 2,399명당 1명으로 나타났음. △ 모성사망자중 직접산과적 원인에 의한 사망은 80.9%였으며, 임신 또는 산욕기간중 사고를 제외한 질환으로 인한 사망인 간접산과적 원인에 의한 사망은 19.1%였으며 - 직접 모성사망원인으로는 출혈이 25.7%로 수위를 차지하였고, 다음이 고혈압으로 16.3%, 색전증 15.6%, 자궁외 임신을 포함한 유산 6.2%, 감염 1.4% 순이였다. ♣ 모성사망 조사결과의 의의 △ 조사결과 우리나라의 95- 96 모성사망비는 10전후인 선진국에 가까운 양상을 보이고 있음. ※ 일본 18, 프랑스 15, 미국 12, 싱가포르 10, 영국 9, 카나다 6 △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전수조사에 의한 모성사망 통계를 생산하게 되었고, 사망원인 등 분석결과도 일반적으로 알려진 선진국과 같은 형태를 보이고 있어 조사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있음. △ 지난 96년에 번 조사와 같은 방법을 사용, 1993년 출생코호트를 대상으로 영아사망조사를 실시한데 이어 이번 조사를 성공적으로 마쳐 보건통계생산을 위한 새로운 조사방법을 확립하게 됨. <참고표 1> 연령별 모성사망자 분포 (단위 : 명, %) ━━━━━┯━━━━━━━━━┯━━━━━━━━━┯━━━━━━━━━━ 연 령 │ 1995 │ 1996 │ 계 ├─────────┼─────────┼────────── │모성사망수 % │모성사망수 % │모성사망수 % ─────┼─────────┼─────────┼────────── 15∼19 │4 2.7 │2 1.4 │6 2.1 │ │ │ 20∼24 │20 13.7 │10 7.0 │30 10.4 │ │ │ 25∼29 │50 34.2 │61 43.0 │111 38.5 │ │ │ 30∼34 │43 29.5 │34 24.0 │77 26.7 │ │ │ 35∼39 │21 14.4 │27 19.0 │48 16.7 │ │ │ 40∼44 │7 4.8 │6 4.2 │13 4.5 │ │ │ 45∼49 │1 0.7 │2 1.4 │3 1.1 │ │ │ 계 │146 100.0 │142 100.0 │288 100.0 ─────┴─────────┴─────────┴────────── <참고표 2> 사망종류별 모성사망 분포 (단위 : 명, %) ━━━━━━━━┯━━━━━━━━┯━━━━━━━━┯━━━ ━━━━ │ 1995 │ 1996 │ 계 ────────┼────────┼────────┼──────── │사망자수 % │사망자수 % │사망자수 % ────────┼─ ──────┼────────┼──────── 직접모성사망자수│118 80.8 │115 81.0 │233 80.9 │ │ │ 간접모성사망자수│28 19.2 │27 18.9 │55 19.1 │ │ │ 전 체 │146 100.0 │142 00.0 │288 100.0 ────────┴────────┴────────┴─────── <참고표 3> 모성사망비 ━━━━━━━┯━━━━━━┯━━━━━━━ 구 분 │ 1995 │ 1996 ───────┼──────┼─────── 모성사망비 │ 20 │ 20 ───────┴── ───┴─────── <참고표 4> 연령별 모성사망비(1995-1996) ━━━━━━━━━┯━━━━━━━━━━━━ 연 령 │모성사망비 ─────────┼──────────── 15∼19세 │46 │ 20∼24세 │11 │ 25∼29세 │14 │ 30∼34세 │26 │ 35∼39세 │77 │ 40세 이상 │223 ─────────┴──────────── <참고표 5> 모성사망 원인 (1995, 1996) ━━━━━━━━━━━━━━━━━━━━━━━━━━━━━━ 사망원인(Causes of maternal deaths) 계 ───────── No. % ────────────────────────────── Ⅰ. 직접사인 (Direct causes) 233 80.9 1. 고혈압 (Hypertensive disease) 47 16.3 전자간증 (Pre-eclampsia) 13 4.5 자간증 (Eclampsia) 13 4.5 임신성고혈압 21 7.3 (Hypertensive disease of pregnancy) 2. 출혈 (Hemorrhage) 74 25.7 분만후 출혈 (Postpartum) 61 21.2 분만중 출혈 (Intrapartum) 5 1.7 태 조기박리 (Abruptio placenta) 6 2.1 전치태반 (Placenta previa) 2 0.7 3. 색전증(Embolism) 45 15.6 양수색전증 (Amniotic fluid) 32 11.1 혈병색전증 (Blood clot) 13 4.5 4. 감염 (Infection) 4 1.4 패혈증, 생식기감염 2 0.7 (Sepsis, Genital T. infection) 양막조기파열 2 0.7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5. 유산 18 6.2 (Pregnancies with abortive outcomes) 자궁외 임신 (Ectopic) 7 2.4 유산 (Abortion) 10 3.5 포상기태 (Hydatidiform mole) 1 0.3 6. 기타 (Others) 45 15.7 난산 (Dystocia) 6 2.1 기타 합병증 (Other complications) 16 5.6 상세 불명 (Unspecified causes) 23 8.0 Ⅱ. 간접사인 (Indirect causes) 55 19.1 ────────────────────────────── 합계 (Total) 288 100.0 ────────────────────────────── ( 자료 끝)
공공누리 제1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