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알림

보도설명

[보도설명자료][12.14.목.한겨레]_장애인 복지시설 보호구역 신청 관련

  • 작성일2023-12-14 14:54
  • 조회수664
  • 담당자윤민수
  • 담당부서장애인권익지원과

‘셀프 신청’탓…장애인 복지시설 3%만 보호구역 신청
- 한겨레 12월 14일자 보도에 대한 설명 -

기사 주요내용

□  한겨레는 12월 14일 「‘셀프 신청’탓…장애인 복지시설 3%만 보호구역 지정」 제하의 기사에서,

  ○ 올해 6월 기준 장애인 보호구역이 설치된 장애인복지시설이 전체의 3.1%로 어린이 보호구역의 84%와 비교할 때 대조적인데,

- 이는 셀프 신청을 해야 하는데다, 홍보 부족으로 제도 자체를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라고 보도

설명내용

□ 정부는 장애인을 교통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도로교통법」 제12조의2와 「어린이·노인 및 장애인 보호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규칙」을 통해 지자체가 장애인 보호구역을 지정하고 관리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 정부는 관련 법령이 개정*된 2022. 4. 20. 이후 장애인복지시설이 신청할 수 있도록 관련 내용을 지자체에 안내하였으며(2022년 4월, 10월),

* 장애인 보호구역을 지정할 수 있는 장애인복지시설이 「장애인복지법」 제58조 제1항 제1호의 장애인 거주시설에서 제58조 장애인복지시설 전체로 확대

- 2023년에 관련 지침인 장애인복지시설 사업안내를 해당 사항을 포함하여 개정하여 배포하였습니다.

- 정부는 앞으로도 지자체와 장애인복지시설 등에 관련 사항을 지속 안내하겠습니다.

 ○ 아울러 교통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장애인을 보호해야 할 필요성이 특별히 인정되는 경우 장애인복지시설의 신청 없이도 지자체장이 직접 장애인복지시설 주변 도로를 장애인 보호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으므로,

 

- 해당 규정의 활성화를 위해 지자체와 적극 협의하겠습니다.

첨부파일
  • hwpx 첨부파일 [보도설명자료][12.14.목.한겨레]_장애인 복지시설 보호구역 신청 관련.hwpx ( 112.97KB / 다운로드 140회 / 미리보기 126회 ) 다운로드 미리보기/음성듣기
  • pdf 첨부파일 [보도설명자료][12.14.목.한겨레]_장애인 복지시설 보호구역 신청 관련.pdf ( 127.04KB / 다운로드 188회 / 미리보기 117회 ) 다운로드 미리보기/음성듣기
공공누리 제1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